공공미술은 우리의 일상 공간 안에서 다양한 형태로 존재한다. 공공미술이 다양한 형태로 존재하는 이유는 ‘공공(公共, public)’이라는 사회적 가치를 내포하고 있기 때문이다. 공공이라는 ... 공공미술은 우리의 일상 공간 안에서 다양한 형태로 존재한다. 공공미술이 다양한 형태로 존재하는 이유는 ‘공공(公共, public)’이라는 사회적 가치를 내포하고 있기 때문이다. 공공이라는 개념은 불변하는 것이 아닌 사회적 요구에 따라 정치·경제·사회·문화 등 다양한 시각에서 영구적으로 변화한다. 미술의 한 영역이기 때문에 이전 공공미술 연구는 미학적 측면에서 다양한 각도로 다루어져 왔다. 그러나 현재 공공미술은 변화하고 있으며 미학적 연구를 넘어서 사회학·인문학·도시학적 관점으로 다원화하여 연구되고 있다. 본 논문은 공공미술을 인문 사회학적으로 분석한다. 인문사회학적 기준으로 ‘공공성 개념에 대한 논의’를 통해 공공미술이 어떻게 가변적으로 변화하고 있는지를 연구한다. 또한 공공성이 추구해야 하는 방향을 고찰하여 이를 공공미술의 나아가야 할 지향점과 연결한다. 공공성은 불변하는 성질을 지니고 있고 사회와 정치세력·구성원들에 따라 달라지기 때문에 한 마디로 정의하기 힘들다. 범위 또한 사적영역에서 발생한 문제가 공적인 문제로 여겨지면서 그 경계가 모호하다. 그러므로 공공성의 작동원리는 여러 가치에 따라 세분화하여 접근해야 하고, 구현되는 과정에서 통합 가치로 동일하게 적용되어야 한다. 또한 결과 중심이 아닌 실현하는 과정에 중점을 둔다면 공공성은 사람이 인간다운 삶, 함께하는 삶을 구현할 수 있도록 발휘된다. 공공미술은 도시 공간의 특성에 따라 목적과 형태, 도시민들과의 관계가 달라진다. 도시의 성장을 위한 공공미술은 대중에게 가려야 하는 것을 분리하여 목적에 따라 보여준다. 공간을 분리하고 차별화 하며 거주민의 삶에 대해 무관심한 도시 공간에서 공공성이 적용된다면 이러한 모순을 극복할 수 있다. 도시 공간은 탈 중심적이면서 어느 공간이나 조합·재조합 될 수 있는 리좀적 특징을 지닌다. 이는 도시와 상관관계가 높은 공공미술에도 적용함으로써 나아가야 할 공공적 가치를 제시한다. 공공성을 추구하는 방향으로 작품 수용자의 역할이 관객에서 참여자로 변화하며, 다루는 내용의 범위 또한 확장된다. 그리고 공공미술의 장소는 단순히 작품을 전시하는 공간에서 사용자 혹은 수용자가 적극적으로 개입하고 참여하는 하나의 문화 공공성의 장소로 변모한다. 공공미술의 흐름은 공공성이 실현하는 과정에 중점을 두는 것처럼 사이의 위치하여 과정을 중시하는 방향으로 나아간다. 공공미술은 자본, 작가와 사용자 사이에 존재하며 최종적으로 소통과 논쟁을 통해 완성해 나간다. 즉 공공미술은 참여 주체의 다양성을 인정하고, 협력·합의와 같은 과정에 주목하며 변화하며 발전한다. 본 연구의 의의는 공공성과 공공미술의 관계를 통해 공공미술의 인문 사회적 가치를 고찰하고, 공공성을 바탕으로 하는 접근법을 통해 공공미술에 대한 시각을 확대하여 새로운 비평의 틀을 제시하는 것이다. 이는 공공미술의 발전방향에 대한 의미 있는 접근이 될 것이다.
The study of Public Art is more and more required in a variety of fields including humanities, social and urbanology. Social scientists have studying a new methodology regarding the study of Public Art. For example, Malcome Miles views the Public Art ... The study of Public Art is more and more required in a variety of fields including humanities, social and urbanology. Social scientists have studying a new methodology regarding the study of Public Art. For example, Malcome Miles views the Public Art as being connected to cities, policies, public and social issues. Publicness constantly changes according to social needs from various perspectives -political, sociological, economical, cultural. Public Art also has various forms because it has a meaning of “publicness”. The meaning of Public Art depends on how to explain the relationship between artists, capitalist, and public who participate in the process of production. Publicness has various components. In general, if one of the components is satisfied above conditions, it is conventionally considered publicness. Likewise, if an artwork and a project have one of the publicness’s components, it is regarded as Public Art. But, this is insufficient because Public Art evolves within the context of the place and artistic experience of the general public. Public Art needs an audience to exist. Also, Public Art is considered the category of city planning and city designing for improving the urban environment and creating a new city. It is closely related to the common experience of urban community and place because it is not worth to consider the city without the public. If you focus on the process of publicness, you will live more like a human being rather than the result. Publicness plays an important role in communicating with members of the city through participation in Public Art. Public Art is changing based on social needs. Therefore, Public Art should reflect public’s everyday and social issues. Art is responsible for listening to the voice of the public. Public Art is indicative of the possibility for a confluence of arts and society and a function as a public sphere, thereby placing a value of publicness. ,韩语毕业论文,韩语论文题目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