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간 특성에 따른 문화예술공간의 역할 비교 : 재수정된 문화의 다이아몬드 모델을 중심으로 [韩语论文]

资料分类免费韩语论文 责任编辑:金一助教更新时间:2017-04-28
提示:本资料为网络收集免费论文,存在不完整性。建议下载本站其它完整的收费论文。使用可通过查重系统的论文,才是您毕业的保障。

본 논문은 시대별로 대표되는 자생적 문화예술공간의 특성따른 역할을 사례연구를 통해 비교분석하고자 했다. 재수정된 문화다이아몬드 모델을 기반으로 분석표를 만들어 1900년대의 ...

본 논문은 시대별로 대표되는 자생적 문화예술공간의 특성따른 역할을 사례연구를 통해 비교분석하고자 했다. 재수정된 문화의 다이아몬드 모델을 기반으로 분석표를 만들어 1900년대의 다방과 2000년대 문래창작촌, 그리고 2010년대의 광주 바림의 역할을 살펴보았다. 재수정된 문화의 다이아몬드 모델의 생산자-매개 지점에서는 작업 공간·교류의 공간으로 역할 하는지에 대해 살펴보았으며 소비자-매개 지점에서는 공연전시·교육을, 예술 작품-매개 지점에서는 예술 작품과 해당 공간과의 연관성을 살펴보았다. 마지막으로 사회-매개 지점에서는 사회와 해당 공간과의 연계성에 대해 살펴보았다. 다방은 전문 문화예술공간이 아니었음에도 불구하고 당시 문화예술인들의 작업 공간이자 교류의 공간으로 역할했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그 외의 예술 작품과 매개 공간과의 연관성, 사회와 매개 공간과의 연계성은 다소 미약했으며, 공연·전시 측면과 교육 측면에서도 문래창작촌과 바림에 비해 그 역할이 미미하였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문래창작촌은 예술가들의 작업 공간이자 교류의 공간으로 활발하게 역할하였으며, 예술 작품과 매개 공간과의 연관성, 사회와 매개 공간과의 연계성에서도 강한 연결성을 보였다. 그러나 공연·전시 공간으로써의 역할은 하였지만 교육 측면에 있어서는 그 역할이 미미하였기 때문에 소비자와 매개 공간 지점에서는 다소 약한 연결성을 보였다. 마지막으로 바림은 작업 공간·교류의 공간, 예술 작품과 매개 공간과의 연관성, 사회와 해당 공간과의 연계성, 공연·전시와 교육의 역할을 모두 담당하였으며 그 중에서도 특히 작업 공간·교류의 공간으로써 가장 활발하게 역할 한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이는 바림이 공연·전시 공간이기보다는 레지던시 공간으로써 역할하고 있다는 점을 드러낸다. 따라서 각각의 문화예술공간의 특성에 따른 역할을 재수정된 문화의 다이아몬드 도식으로 나타냈을 때, 바림은 1900년대의 다방의 역할이 전반적으로 증폭된 형태의 문화예술공간 이다. 이 연구를 통해 다방은 20세기 중반 무렵까지 그 당시의 문화예술인들의 아지트이자 창작공간의 역할을 수행하였다는 것을 다시 한 번 확인할 수 있었다. 다방을 재수정된 문화의 다이아몬드 관점을 보았을 때, 생산자 측면이 할발한 형태의 문화예술공간이라는 것을 알 수 있었으며 바림 역시 그와 비슷했다. 바림은 작가들에게 자율성을 주고 작품의 결과 보다는 과정에 초점을 맞춘 대안 공간으로써, 레지던시에 집중하고 있는 바림의 운영 시스템은 정체성을 잃어버리고 사라져가는 대안 공간들에게 좋은 본보기가 될 수 있을 것이다.

This study is a comparative study that deals with the role of art space by characteristic of cultural art space. It used an analysis table based on the re-modified cultural diamond model to research about the role of DA-BANG in the 1900s, MULLAE ART V...

This study is a comparative study that deals with the role of art space by characteristic of cultural art space. It used an analysis table based on the re-modified cultural diamond model to research about the role of DA-BANG in the 1900s, MULLAE ART VILLAGE in the 2000s, and BARIM in the 2010s. In the producer-mediation point of the re-modified cultural diamond model, we closely examine if the above point works as production cum communication area. In the consumer-mediation point, we observe if the space works as space for performance and education. Lastly, we deal with the role of space as linkage between society and space. Although DA-BANG was not a specialized space in art and culture, it functioned as a space for creativity and interactivity for the artists in those days. An association between art and intermediate space was weak and a connectivity between social world and intermediate space was also weak. DA-BANG as space for performance/exhibition and education side was relatively weak in comparison with MULLAE ART VILLAGE and BARIM. MULLAE ART VILLAGE functioned as a space for creativity and interactivity. Linkage between art and intermediate space and a connectivity between social world and intermediate space were strong. However, receiver-mediate point was not active because education side was weak. Finally, BARIM carried out all the roles, especially it functioned as a space for creativity and interactivity to the artists. BARIM is a residency rather than performance/exhibition space. Therefore, From the view of the re-modified cultural diamond model, BARIM is an augmented/extended form of art and culture space.. It was revealed that DA-BANG was a space for creativity to the artists until the mid-1900s. From the viewpoint of the re-modified cultural diamond model, producer-mediate point was active in the case of DA-BANG and it is similar to BARIM. BARIM is an alternative space which gives artists the autonomy to create art and consider the process as more important than the result. It focus on the residency, and its operation system is one good example to alternative spaces that have disappeared without identities.

韩语论文网站韩语论文
免费论文题目: