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학교의 학교조직문화에 관한 초등교사들의 인식연구 [韩语论文]

资料分类免费韩语论文 责任编辑:金一助教更新时间:2017-04-28
提示:本资料为网络收集免费论文,存在不完整性。建议下载本站其它完整的收费论文。使用可通过查重系统的论文,才是您毕业的保障。

The research school refer to schools that endorse the educational theory, methods and materials developed and applied by the school members in regard to the educational issues facing the schools at the moment. research school can either be designated ...

The research school refer to schools that endorse the educational theory, methods and materials developed and applied by the school members in regard to the educational issues facing the schools at the moment. research school can either be designated by the municipal/provincial office of education upon the request of the Ministry of Education or designated and operated by the municipal/provincial of education itself.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lve into the school organization culture at both general and research school and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teachers’ personal traits and their recognition toward the school organization culture. In order to conduct the research, we surveyed a total of 340 elementary school teachers in the southern Gyeonggi Province (with 175 of them being from 9 general schools and 165 of them from 6 research schools). The study is based on 88.8% of the questionaries submitted by the teachers, ruling out the rest 11.2% (not received or containing unfaithful response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study has revealed the differences in the level of the recognition toward the school organization culture between teaching staff of the general schools and that of the research school. We have learned that the research school teachers hold more positive recognition about school organization culture. According to the results of the analysis by sub - variables, school organization culture of research school was more significant than sub – variables. Second, according to the analysis of the relationships between the teachers' personal traits and their recognition toward the school organization culture, their gender didn’t serve as a significant factor in their recognition, while teachers with over 21 years of experience showed a more positive level of recognition. As for the teachers’ educational background, teachers attending or having graduated from graduate schools held a more positive level of recognition. In examining the corelation between the teachers’ level of position and their recognition, we’ve discovered that head teachers have more positive views and understanding than those of the ordinary teachers. Third, there was no gender difference in the level of recognition of teachers' personal background and decision making participation, which is a subordinate variable of general school and school culture of research school. There were no differences in gender, teachers with more than 21 years experience, Teachers' perceptions of participation in decision making were significant. In the survey on the relationship with the administrators, it was found that the level of awareness of participation in decision making was significant in the teachers who had more than 21 years of experience, more than the graduate school teachers, and the manager teachers. However, the relationship with peer teachers was not related to the personal background of the teachers (gender, educational experience, academic background, and position). In the survey on the relationship with students,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perceptions among teachers with more than 21 years of experience and teachers of graduate school or higher.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we propose the following. First, given the fact that the research school teachers have more positive recognition toward the school organization culture than those of the general schools, it is necessary to maintain the system of the research school. Second, amidst the trends of the school organizational culture, which is shifting from male-centered culture to gender-equality, the education authorities and the related personnel should ensure the autonomy of each school as they implement the education policies. At the same time, they need more close examination in their efforts to improve the customs and cultures at the schools. Third, in order to raise the efficiency of the research school, schools and the Education Offices need to make efforts to provide training opportunities and support them in taking graduate courses. Fourth, this study is based on the survey results from the schools of the southern Gyeonggi Province, so the results should only concern the characteristics of that limited region.

연구학교는 현재 직면하고 있는 교육적 문제에 대해 학교구성원들이 공동협력하여 개발·적용한 교육이론·방법·자료를 단위학교에 지원하는 학교이며 교육부의 지정 요청을 받아 시·도교...

연구학교는 현재 직면하고 있는 교육적 문제에 대해 학교구성원들이 공동협력하여 개발·적용한 교육이론·방법·자료를 단위학교에 지원하는 학교이며 교육부의 지정 요청을 받아 시·도교육청에서 지정하거나 시·도교육청 자체적으로 지정하여 운영하는 학교라고 한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일반학교와 연구학교의 학교조직문화에 차이가 있는지와 교사의 개인배경과 일반학교와 연구학교의 학교조직문화의 차이를 분석하였다. 연구문제를 수행하기 위해 경기도 남부 지역에 근무하는 초등학교 교사를 모집단으로 하여 일반학교 9개교 175명, 연구학교 6개교 165명, 총 340명을 대상으로 무선 표집하여 설문조사를 실시하고 총 340부 중에 불성실한 응답 및 미회수 된 응답지 38부를 제외한 302부(88.8%)를 연구에 활용하였다. 본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일반학교와 연구학교의 학교조직문화에 대한 교사들의 인식의 차이가 있는지 분석한 결과 일반학교에 비해 연구학교가 학교조직문화에 있어 더 긍정적으로 인식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하위변인 별로 분석한 결과, 일반학교보다 연구학교의 학교조직문화가 하위변인별로 더 유의미한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교사의 개인배경과 일반학교와 연구학교의 학교조직문화에 대한 인식의 차이를 분석한 결과, 교사의 개인배경에 관한 측면 중 성별에서는 별다른 유의미한 차이가 없었고, 교육경력에 관하여는 21년 이상 경력의 교사들이 학교조직문화에 대한 인식이 긍정적이었다. 최종학력에 관하여는 대학원 이상 재학 중인 교사들의 학교조직문화에 대한 인식이 대학교만 졸업한 교사들에 비해 긍정적이었으며 직급에 관한 학교조직문화의 인식은 부장교사들이 일반교사에 비해 긍정적인 이해와 참여를 보였다. 셋째, 교사의 개인배경과 일반학교와 연구학교의 학교조직문화 하위변인인 의사결정 참여에 대한 인식수준의 차이에 있어서는 성별의 차이가 없었으며 21년 이상 경력의 교사, 대학원 재학이상의 교사, 부장교사들의 인식 수준이 유의미한 결과로 나타났다. 행정가와의 관계에 대한 인식조사에서도 21년 이상 경력의 교사, 대학원 재학이상의 교사, 부장교사들의 인식 수준이 유의미한 결과로 나타났다. 그러나 동료교사와의 관계에서는 교사의 개인배경(성별·교육경력·최종학력·직급)과 상관없는 결과로 나타났다. 학생과의 관계에 대한 인식조사에 있어서는 21년 이상 경력의 교사, 대학원 재학이상의 교사들만 유의미한 인식의 차이가 발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바탕으로 다음과 같이 제언하고자 한다. 첫째, 일반학교에 비해 연구학교가 학교조직문화에 대한 교사들의 인식이 긍정적이었기에 연구학교의 제도는 계속적으로 유지할 필요가 있다. 둘째, 연구학교의 학교조직문화가 남성중심에서 양성평등화되는 흐름 속에서 교육당국과 관계자들은 교육정책을 운영할 때 단위학교의 자율성을 보장하되 관행문화 개선을 위해서는 좀 더 면밀히 파악하고 대처할 필요가 있다. 셋째, 연구학교 운영의 효율성을 높이기 위해 교원에 대한 연수 및 대학원 수업 수강에 대한 지원체계를 갖추어 연구의 전문성을 높일 수 있도록 학교와 교육청에서는 노력을 해야 한다. 넷째, 본 연구는 경기도 남부의 학교를 표집대상으로 연구하였기에 이 지역의 특성에 비추어 연구결과를 한정할 수 있다.

참고문헌 (Reference)

免费论文题目: