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개인의 문화 성향과 성 정체감에 따른 외상 후 성장 개념에서의 차이를 확인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는 외상 경험이 있는 만 18세 이상의 성인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총 484명이 연구... 본 연구는 개인의 문화 성향과 성 정체감에 따른 외상 후 성장 개념에서의 차이를 확인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는 외상 경험이 있는 만 18세 이상의 성인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총 484명이 연구에 참여하였다. 연구 참여자들에게는 외상 후 성장 척도(PTGI)의 21개 각 문항이 ‘본인이 생각하는 성장의 개념’을 잘 표현하고 있는지 평가하도록 하였다. 먼저, 한국 문화권에서 지각되는 외상 후 성장 개념 하위 요인 간 유의한 차이가 있는지 알아보기 위해 일원분산분석(one-way Analysis of Variance)을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 외상 후 성장 개념 하위 요인 간 유의한 차이가 있었으며, 한국 문화권에서는 개인 개념, 가능성 개념과 감사 개념, 대인 개념, 영적 개념 순으로 중요하게 지각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음으로 성별의 효과를 통제한 후, 문화 성향과 성역할 정체감이 외상 후 성장 개념을 예측하는지 알아보기 위해 중다회귀분석(Multiple Regression Analysis)을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 문화 성향(개인주의/집단주의)과 성 정체감(여성성/남성성)이 외상 후 성장 개념의 하위 요인을 예측하는 정도에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개인 강점의 발견 개념(개인 개념)은 성별, 개인주의 및 여성성이 정적 예측력을 나타냈다. 대인관계의 변화 개념(대인 개념)은 집단주의와 남성성이 정적 예측력을 보인 반면, 개인주의는 부적 예측력을 보였다. 새로운 가능성의 발견 개념(가능성 개념)은 개인주의와 집단주의가 정적 예측력을 나타냈다. 영적 변화 개념(영적 개념)은 집단주의와 남성성이 정적 예측력을 보였으며, 개인주의가 부적 예측력을 나타냈다. 삶에 대한 감사 개념(감사 개념)은 집단주의, 여성성, 남성성이 정적 예측력을 보이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본 연구는 외상을 경험한 사람들에게 보다 문화적으로 적합한 성장의 방향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의 제한점과 후속 연구를 위한 제언을 논의하였다. ,韩语论文,韩语论文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