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 베트남 사이의 상호지향적 국가 이미지에 관한 연구 [韩语论文]

资料分类免费韩语论文 责任编辑:金一助教更新时间:2017-04-28
提示:本资料为网络收集免费论文,存在不完整性。建议下载本站其它完整的收费论文。使用可通过查重系统的论文,才是您毕业的保障。

National image is an overall picture of a country, a synthesized belief and impression of what people think about that country. This phenomenon is not static and unchanging, but it is a long-lasting impression and is difficult to change. This is the r...

National image is an overall picture of a country, a synthesized belief and impression of what people think about that country. This phenomenon is not static and unchanging, but it is a long-lasting impression and is difficult to change. This is the reason why the goal of the process of enhancing the national image will generate positive feedback about that country, thus creating the value of a nation. The foundation basis for this process must start from analysis of the evaluation of the perception of a foreign country through the most common social aspects of life. In this line of argument, the objective of the study was to analyze the consensus when assessing national images and specific analysis on two groups. A survey was conducted among 120 Vietnamese people who were living in Vietnam and 120 Korean people who were living in Korea. This study utilized Chaffee and McLeod's (1968) co-orientation model on the subjects. For data analysis, T-test analysis, three comparative standards including agreement, congruence and accuracy were leveraged to find difference in perception between the two groups. In addition, Levene statistics provide a comparison score between Korean and Vietnamese students’ perceptions of the nations’ image across all sectors. Findings reveal both groups’ high regards for development prospects of the other country. However, each group of participants had a different area of concern when it comes to the other country. When applying the co-orientation model to analyze the results of the study, findings indicate a substantial difference between the two groups when assessing the other nation’s image and agreement was only achieved in a few categories. Inconsistency when considering the national image of both groups of respondents will set the premise for the two countries to find solutions to promote diplomatic relations between the two countries. The implications for solutions also have been discussed in detail in this study. The significance of this thesis is providing a foundation for subsequent research which utilize the co-orientation model. The findings not only provide implications for future research in national images between any two countries but also for research that investigate perceptions of a more diverse population in society.

어떤 국가이미지는 그 국가의 전체 그림이자 다른 나라 사람의 그 나라에 대한 인상이나 인식이라고 할 수 있다. 국가 이미지는 가만히 있거나 무변한 것이 아니고 어떤 대상에 대한 매우...

어떤 국가의 이미지는 그 국가의 전체 그림이자 다른 나라 사람의 그 나라에 대한 인상이나 인식이라고 할 수 있다. 국가 이미지는 가만히 있거나 무변한 것이 아니고 어떤 대상에 대한 매우 견고하고 쉽게 변할 수 없는 인상이다. 따라서 국가 이미지가 긍정적으로 되는 경우에 그 국가에 대한 실질적인 가치로 돌아올 수 있고 어떤 경우에는 경제적 가치의 증진으로 연결되기도 한다. 이런 의미에서 한 국가의 이미지를 정확히 파악하고, 그것이 지니는 함의를 객관적으로 해석하는 일이 선행되어야 한다. 따라서 본 연구베트남과 한국 대학생들을 대상으로 상대방 국가 이미지 및 상대방 대학생들이 자국에 대한 인식에 대한 평가에 있어서의 차이를 밝히기 위하여 베트남에 거주 중인 베트남 대학생 120명과 한국에서 거주중인 한국인 대학생 120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본 연구는 Chaffee와 McLeod의 상호지향성 모델을 바탕으로 베트남과 한국 대학생들의 상대방 국가 이미지 및 상대방 대학생들의 자국에 대한 인식에 대한 평가 사이의 정확도, 객관적 일치도, 주관적 일치도를 검증하였고, 네 가지 이미지 평가 사이의 차이를 종합적으로 비교하였다. 본 연구에서의 연구 방법 및 주요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본 연구는 조사(survey)를 통한 연구로 진행되었다. 설문조사지의 구조는 설문조사에 참여하는 참여자의 인구통계학적 특징을 알아보기 위한 부분, 6가지 그룹으로 분류된 40개 질문(정체경제 7개, 외교 2개, 문화관광 3개, 국민 이미지 14개, 사회복지 8개, 전반적 평가 6개)으로 구성되어 있다. 모든 질문은 Likert Scale로 응답자가 자기 생각대로 평가할 수 있도록 5가지 척도로 작성되었다. 그 외에 한국 대학생과 베트남 대학생의 양국 관계에 대한 평가, 호감도와 관심이 있는 상대방 국가 분야를 알아보기 위해 4개의 질문으로 구성된 항목을 하나 더 추가하였다. 둘째, 본 연구는 한국과 베트남에서 2개의 대학교 학생 240명을 대상으로 하여 조사되었다. 수집된 데이터를 입력한 다음에 분석 작업을 들어가기 전 데이터의 신뢰도를 측정하였으며, 설문에 사용된 각 변인 측정 항목에 대한 신뢰도를 알아보기 위해서 Cronbach ⍺계수를 측정하였다. 각 변인들의 신뢰도 측정결과는 두 집단의 응답 결과에서 한국 대학생의 경우에는 0.948, 베트남 대학생의 경우에는 0.927이다. 셋째, 본 연구는 상대방의 국가 이미지에 대한 한국과 베트남 대학생 사이의 인식 차이를 확인하기 위해 객관적 일치도, 주관적 일치도, 정확도를 위주로 분석하였다. 먼저 상대방의 국가 이미지에 대한 한국과 베트남 대학생들 간의 객관적 일치도를 살펴보면, 국가 이미지 요인의 경우 정치경제, 외교, 국민 이미지, 사회복지, 전반적 평가 분야에서 두 집단 간에는 대체적으로 불일치하는 경향을 나타냈으며, 문화관광 요인에 있어서만 비슷하게 인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 다음으로 주관적 일치도I의 경우를 보자. 한국 대학생 집단(A)의 국가 이미지 요인에서 정치경제, 외교, 국민 이미지, 사회복지, 전반적 평가에 대해서는 한국 대학생과 베트남 대학생의 인식이 불일치 경향을 보였으나, 문화관광 요인에서는 비슷한 인식을 하고 있다고 나타났다. 주관적 일치도II, 즉 베트남 대학생 집단(B)의 국가 이미지 요인에서 정치경제, 외교, 문화관광, 국민 이미지, 사회복지에 대해서는 인식이 불일치 경향을 나타낸 반면, 전반적 평가 요인에 있어서만 비슷한 인식을 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정확도I(한국 국가 이미지)의 국가 이미지 요인에서 외교, 문화관광, 국민 이미지에 대해서는 한국과 베트남 대학생 사이의 인식이 불일치 경향을 보였으나, 정치경제, 사회복지, 전반적 평가 등에 있어서는 비슷한 인식을 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정확도II(베트남 국가 이미지) 국가 이미지 요인에서는 정치경제, 외교, 문화관광, 국민 이미지, 사회복지, 전반적 평가 등에 있어서 인식이 불일치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객관적 일치도 및 주관적 일치도, 정확도라는 상호지향성 요소를 통해 탐색해 결과, 특히 베트남 대학생들이 인식하는 한국의 국가 이미지와 한국 대학생들의 베트남 대학생들이 한국 이미지를 어떻게 인식하고 있을 것인지를 추정한 결과를 비교하는 정확도I(한국 국가 이미지)에 있어서 정치경제, 사회복지, 그리고 전반적 평가 등 총 3가지 분야에서 유의성을 찾아 볼 수 있었다. 연구결과가 지니는 함의는 첫째, 일원화된 정치 체계를 지닌 베트남 환경에서 성장한 베트남 대학생들이 상대적으로 다원적 민주주의적 체계인 한국의 정치 상황에 대해 보다 긍정적으로 인식하고 있었다. 또 최근 급속히 성장하고 있는 인터넷, 휴대폰, 컴퓨터와 같은 한국의 정보통신기술 산업에 대한 베트남 대학생들의 긍정적 인식이 한국 경제, 사회복지 전반에 대한 높은 평가로 이어지고 있었다. 그 외에 전반적 평가 분야에서도 통계적으로 의미있는 차이를 찾아 볼 수 있었다. 이러한 사실은 베트남 대학생들이 보이는 한국의 정치, 경제, 사회 발전에 대한 긍정적 평가가 근본적으로 다양성이 담보되는 정치체계, 복지사회, 민주주의를 갈망하는 베트남 젊은 세대들의 심리를 반영하는 것이라 할 수 있다.

免费韩语论文韩语毕业论文
免费论文题目: