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의 목적은 전통한지(傳統韓紙)의 재료적 특성에 내재된 정신성과 연구자의 정신적 배경인 불교의 중도사상을 기반으로 작품을 분석하고 재료와 기법의 확장을 제안하는 것이다. 우... 본 연구의 목적은 전통한지(傳統韓紙)의 재료적 특성에 내재된 정신성과 연구자의 정신적 배경인 불교의 중도사상을 기반으로 작품을 분석하고 재료와 기법의 확장을 제안하는 것이다. 우리나라에서 제지술의 전래는 불교의 전파와 깊은 연관이 있다. 사찰들은 불경보급을 위한 용지의 자급을 위해 한지 생산능력을 갖추고 있었다. 기록을 위한 바탕재로 사용되던 한지는 세월을 거듭하면서 한지를 만드는 사람들과 사용하는 선조들의 지혜를 담아 원료, 색, 두께, 광택, 용도 및 생산지 등에 따라 다양한 이름의 한지로 제작되었다. 현대에는 천연재료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면서 다양한 분야에 한지가 활용되기 시작하였다. 본 연구는 첫째, 한지에 투영된 역사와 제작과정을 통해 재료의 특성에 내재된 정신성을 살펴보고 불교의 중도사상에 대해 고찰하였다. 그리고 한지에 사용된 전통적인 천연재료들을 알아보기 위해 한지를 사용한 유물과 공예품들을 재료별로 분류하고 특징을 살펴보았다. 한지는 한반도의 자연환경과 역사, 문화 속에서 우리의 삶이 투영된 재료이며 한지의 내면적 특성은 우리의 삶과 닮아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또한 연구자의 삶에 내재된 불교의 중도사상과도 일맥상통함을 알게 되었다. 그리고 한지에 사용된 옻, 천연염재, 기름과 밀랍 등의 천연재료들은 공통적으로 내구성을 증진시킬 뿐 아니라 재료별 특성에 따라 다른 기능도 더해졌음을 확인하였다. 둘째, 1980년대부터 한지를 한국적 감성이 담긴 조형재료로 인식하고 작품에 사용한 함섭과 한기주를 표본작가로 선정하여 이들의 작품을 연구하였다. 함섭은 한지를 ‘보는 이의 시선을 품어 안음으로 느껴지는 안정과 포근함’으로 인식하며 작품에는 한국인의 감성기질 중 외향적 특징이 주로 표현되었음을 파악하였다. 반면 한기주는 한지에 대해‘삶의 기호를 담을 수 있는 포근함과 상처를 보듬어 주는 소재’로 인식하며 작품에 한국인의 감성기질 중 내향적 특징이 주로 반영됨을 확인하였다. 셋째, 이론적 배경과 표본작가에 대한 고찰을 바탕으로 연구자의 작품을 분석하고 천연재료를 활용한 표현방법을 제시하였다. 삶을 수행과 자기성찰, 치유의 경험을 공감하고 나누면서 깨우침을 얻는 과정으로 보는 연구자에게 한지소재는 따뜻함, 포근함, 안정감, 휴식 그리고 완전한 재생(再生)으로 인식된다. 연구자는 작품 제작과정에서 집중과 반복을 통한 수행으로 자기성찰을 하고 한지에 내재된 정신성을 통해 내면세계와 소통함으로써 치유되고 공감하게 됨을 경험하였다. 또한 한지의 내구성을 증진시킬 수 있는 옻칠화 기법과 철의 부식을 이용한 염색방법 및 밀랍을 재료로 한 엔코스틱 기법을 활용하여 한지의 표현방법을 확장하였다. 본 논문은 한지에 대한 고찰과 한지를 사용한 작가의 작품에 대한 연구 및 연구자 작품 분석 등의 과정을 통하여 한지가 한국인의 정신을 표현할 수 있는 적절한 조형재료이며 잠재된 가능성을 지니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또한 한국적 감성이 담긴 한지에 사용되었던 천연재료들을 살펴보고 현대적인 기법과 융합된 표현방법을 제시하였다. 이 같은 연구는 작품 제작과정에서 자신의 수행방법을 찾아 정진하여 건강한 자아를 발견해가는 사례이며 한지를 조형재료로 사용하는 작가들을 위하여 표현재료와 기법의 확장에 대해 탐구한 연구이다.
The objective of this research is to analyze the artworks based on the state of mind inherent in the material characteristics of Hanji, traditional Korean , along with a spiritual background of Buddhist’s middle-way philosophy, and then to prop... The objective of this research is to analyze the artworks based on the state of mind inherent in the material characteristics of Hanji, traditional Korean , along with a spiritual background of Buddhist’s middle-way philosophy, and then to propose the extension of source materials and presentation techniques of Hanji. The progression of -making skills in Korea had a strong relationship with the propagation of Buddhism. Temples had the ability to produce Hanji for the purpose of Buddhist Scriptures dissemination. Hanji being used as a primary material for recording has been manufactured using various names, depending on the source of raw materials, colors, thickness, luster, usages, places of origin, and so on, combined with the wisdom of those who made Hanji and those who used it. More recently, as the interest in natural materials has increased, Hanji has emerged in a wide variety of applications. First, based on the history of Hanji and the manufacturing processes, the state of mind inherent in Hanji and its spiritual connection to the Buddhist’s middle-way philosophy are examined. In order to understand the natural materials employed in traditional Hanji, various Hanji artifacts and handicrafts are classified according to the materials involved, and their characteristics are investigated. Hanji has been regarded as a material that reflects the lives in the natural environment, history, and culture of the Korean Peninsula, and its internal characteristics are intimately related with our lives. Moreover, it turns out that Hanji is spiritually connected to the Buddhist’s middle-way philosophy residing in the author’s mind. It is also confirmed that the natural materials such as lacquer, raw material for natural dyes, oil, and beeswax used in Hanji not only have enhanced its durability, but also have provided additional functions according to the characteristics of each material. Second, the world of artworks of Ham Sup and Han Kijoo is particularly chosen for the study, and carefully examined due to the fact that they have used Hanji since the 1980s in recognizing it as a formative material encapsulating Koreans’ sensibility. Ham Sup perceived Hanji as "a feeling of stability and mildness obtained when embracing the viewer's eye," and has largely expressed the extroverted tendency contained in Koreans’ emotional temperament in his artworks. On the other hand, Han Kijoo considered Hanji to be "a feeling of cozy warmth that holds tastes of life and a material that treats one’s wound," and has largely exploited the introverted tendency residing in Koreans’ emotional frame of mind. Third, by reflecting the theoretical backgrounds and studies on the artworks of the sampled artists, the author’s own artworks are presented. The expression methods and skills utilizing the natural materials are proposed. Hanji is recognized as a material for warmth, calmness, comfort, relaxation, and complete regeneration, particularly for people like the author who regards life as a long process of practice, self-reflection, and enlightenment obtained by sympathizing and sharing healing experiences. The author has experienced self-reflection through concentration and repetition in the process of producing the artworks, and felt sympathy and healing emotion when communicating with the inner world of the spirits inherent in Hanji. This study suggests the usage of natural materials such as Ottchil, Korean lacquer, raw material for natural dyes, and beeswax for enhancing the durability of Hanji. The utilization methods of Hanji are extended by applying an Ottchil technique in Hanji, a dyeing skill using the iron corrosion and an Encaustic technique using beeswax. In this study, Hanji is verified to be an appropriate formative material for expressing the spirits of Koreans through a sequence of investigations of Hanji materials, artworks of those who work with Hanji and the author’s artworks of the author. The modern methodology for utilizing the natural materials and their presentation skills are proposed. This study is an example of the healthy self-discovery in search of the way of self-practices while working on a artwork. The possible expansion of expression materials and utilization techniques are investigated for the sake of those artists who are using Hanji as a formative material. ,韩语论文,韩语论文范文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