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9 개정 교육과정에 의한 중학교 음악 교과서 분석 : 생활화영역 中 국악활동을 중심으로 [韩语论文]

资料分类免费韩语论文 责任编辑:金一助教更新时间:2017-04-28
提示:本资料为网络收集免费论文,存在不完整性。建议下载本站其它完整的收费论文。使用可通过查重系统的论文,才是您毕业的保障。

우리의 삶에 있어서 음악은 뗄 수 없는 관계이고 삶의 본질이다. 각 나라의 대표적인 문화 중 하나인 음악은 역사와 정서, 생활을 알 수 있고, 우리민족 고유의 특수성을 지니며 전승되어 왔...

우리의 삶에 있어서 음악은 뗄 수 없는 관계이고 삶의 본질이다. 각 나라의 대표적인 문화 중 하나인 음악은 역사와 정서, 생활을 알 수 있고, 우리민족 고유의 특수성을 지니며 전승되어 왔다. 그렇기 때문에 우리의 삶과 일상생활에 밀접하게 연관되어있는 수많은 종류의 음악들이 우리 생활전반에 어떻게 활용되어 있는지 알아 볼 필요가 있다. 또한 생활 속에 고스란히 담겨있는 우리의 정서를 느끼고, 가치를 인식하기 위해 자연스럽게 전통음악을 활용하고 생활화하도록 해야 한다. 본 논문은 2009 개정 교육과정에 의한 18종 중학교 음악교과서별로 생활화영역의 제시 현황 및 내용을 살펴보며 다양한 활동이 수록되어 있는지와 생활화 내용을 다양하게 활용하여 학습할 수 있는 가창, 감상, 기악, 문화, 사회, 창작, 체험으로 나누어 음악의 기능적 활동을 살펴보았다. 또한 전통음악을 바탕으로 한 활동들이 교과서별로 어떤 내용들을 수록하였고, 사용된 제재곡과 매체를 통해 국악활동의 반영에 대하여 분석하였다. 2009 개정 교육과정에 의한 18종 음악교과서 중 생활화영역의 제시 현황 및 내용을 분석한 결과 가장 많은 생활화영역의 활동을 수록한 교과서는 지학사이며, 가장 적은 생활화영역의 활동을 수록한 교과서는 ㈜금성출판사와 성안당이다. 이처럼 각 교과서별로 다른 영역에 비해 생활화영역의 내용을 많이 다루고 있지 않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생활화영역의 내용을 기능별로 나누어 가창, 감상, 기악, 문화, 사회, 창작, 체험의 기능별 활동 중 문화활동이 18종 음악교과서 전체 중 가장 많이 수록이 되었으며, 내용으로는 지역 또는 여러 나라의 축제에 관련된 활동을 가장 많이 수록하였다. 생활화영역 중 국악을 바탕으로 한 활동의 18종 교과서별로 제시된 현황 및 내용은 경기도 교육청이 가장 많았으며, 세광음악출판사는 수록되어있지 않았으며 유네스코 세계 인류 무형 문화유산에 등재된 문화재에 관련된 내용이 가장 많았다. 이처럼 국악활동이 교과서에 다양하게 수록되어있지만 교과서마다 생활화영역에서의 국악활동은 많지 않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본 연구를 통하여 학교교육에서 음악의 생활화내용은 어떻게 제시되어 학습하고 있는지 와 우리 전통음악을 바탕으로 생활 속에서 자연스럽게 활용할 수 있는 활동을 살펴보았다. 그러나 아직까지 우리는 전통음악에 대한 인식과 가치가 정립되어있지 않아 현저히 낮게 보여 지고 있다. 이전에 비해 다른 영역에서도 국악가창, 국악감상 등 여러 활동이 많이 수록되어 있지만 우리음악과 문화에 관한 내용을 보완하고 제시한다면 생활 속에서 국악의 활용을 효과적으로 학습할 수 있기 때문에 확충해야 할 필요가 있다. 끝으로 전통음악을 생활 속에서 자연스럽게 즐기고, 음악문화 및 우리음악에 대한 올바른 가치관을 심어준다면 다른 나라의 음악적 가치를 인정하고 그 나라의 음악을 이해할 수 있게 되며 나아가 우리음악을 통하여 한국인의 정체성을 찾아주는 것이야말로 풍요로운 삶을 지향하고 문화적 소양을 지닌 세계시민으로 만들어주는 것에 도움이 되기를 기대해 본다.

Music is the essence and an inextricable part of life. It is a part of all national cultures and inherited with the inherent characteristics of a people as a way of understanding history, emotions, and life. For that reason, it is essential to discove...

Music is the essence and an inextricable part of life. It is a part of all national cultures and inherited with the inherent characteristics of a people as a way of understanding history, emotions, and life. For that reason, it is essential to discover how countless types of music that are closely connected to living and our daily lives are used in life as a whole. Furthermore, we must naturally use traditional music and make it a way of life to feel our emotions intact in life and to recognize value. For this study, we examined proposals and details about making music a way of life in 18 middle school music textbooks in the 2009 Revised Curriculum and investigated functional use of music by subdividing its uses into song, listening, instrumental music, culture, society, creation, and experience. We analyzed what information each textbook provided about traditional music and how Korean traditional music activities were reflected through media and pieces used. Results of textbook analysis showed that Jihaksa Publishing textbooks had the greatest number of activities to make music a way of life, while Geumseong Publishing and Seongandang had the fewest. We were able to discover that there was little information about making music a way of life compared to other fields. Among the subdivisions of functions(song, listening, instrumental music, culture, society, creation, and experience), culture was the most represented among the 18 textbooks, and this most often included information about regions or festivals from different countries. The greatest amount of information about making traditional Korean music a way of life was found in Gyeonggi-do Office of Education textbooks, while Segwang Music Publishing offered the least. Most information was about cultural assets listed on USCO's List of Intangible Cultural Heritage. While traditional music activities were included in textbooks in various ways, there were few activities about making traditional music a way of life in each textbook. This study examined how making music a part of life is suggested in education and how traditional music is naturally used in life. However, awareness and the value of traditional music are not established and are still considered low. Various activities such as singing and listening to traditional music are included, but more information about Korean music and culture must be supplemented and proposed so students can effectively use traditional music in their lives. If proper values for musical culture and traditional music are implanted and traditional music is naturally enjoyed within life, this will help students be able to recognize and understand other countries' musical values and their music and, through traditional Korean music, they will discover their identities as Koreans, aim for a richer life, and become global citizens with cultural knowledge.

免费韩语论文韩语论文范文
免费论文题目: