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나라의 주거개발은 부족한 주택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1970년대 이후부터 고층고밀의 방법으로 집합주택의 개발이 이루어져 왔다. 그러나 이러한 집합주택의 개발방식은 거주환경의 ... 우리나라의 주거개발은 부족한 주택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1970년대 이후부터 고층고밀의 방법으로 집합주택의 개발이 이루어져 왔다. 그러나 이러한 집합주택의 개발방식은 거주환경의 측면에서 다양성의 결여 및 각 세대의 폐쇄성과 커뮤니티의 결여 등 많은 문제를 일으키고 있다. 특히 개별적 특징이 없는 주동의 계획과 배치 같은 형태의 평면은 정주의 공간으로서 주거가 아닌 잠시 머물기 위한 공간의 주거가 되어버렸으며, 이는 결국 집단속에서 개인의 주체성을 상실하고 각 세대의 독립성과 폐쇄성이 높아져 이웃과의 단절과 고립으로 인한 인간의 소외감과 공동체 의식의 결여로 이어져 사회적 문제를 야기 시키는 상황이 되었다. 또한, 제4차 국토종합 계획(2000~2020)을 살펴보면 선진생활 공간의 확립을 주택정책 추진의 목표로 정하고 있고, 이를 위한 추진 방법으로는 주거문화 형성에 있어서 커뮤니티가 중심이 되는 방법을 유도하고 있다. 현재의 집합주택은 단위세대를 중심으로 주동과 단지가 계획되어진 후 나머지 공간에 커뮤니티 공간을 배치하는 식의 구성으로 이루어진다고 할 수 있다. 이는 주민들의 생활여건이나 현실적인 요구를 수용하지 못한 획일적이고 단편적인 구성이라고 할 수 있다. 최근에는 이러한 커뮤니티 공간에 대한 중요성 인식이 고취되며 관심과 투자가 이루어지고 있지만 근본적으로 거주자의 요구와 행태에 대한 분석을 통한 공간형성이 아닌 단순히 상징적인 공간으로서 공간 활용이 이루어지고 있는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는 커뮤니티 증진을 위한 집합주택의 설계가 목적이며, 기존의 집합주택에서 보여 지는 가로와 주동의 관계 속에서 발생되는 커뮤니티의 형태, 내부와 외부공간의 관계 속에서 발생되는 커뮤니티 형태의 분석을 통해 새로운 형태의 커뮤니티 증진을 위한 블록형 집합주택의 모델을 제시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Housing development in Korea has been the development of high-rise and high-density housing units since the 1970s in order to solve the housing problems that are lacking. However, The lack of diversity in terms of environment and the lack of closeness... Housing development in Korea has been the development of high-rise and high-density housing units since the 1970s in order to solve the housing problems that are lacking. However, The lack of diversity in terms of environment and the lack of closeness and community of each generation have caused many problems, especially the planes and shapes of the main motions that do not have individual characteristics, It is not a house as a space, but rather a house of space for a living. This eventually loses the subjectivity of the individual in a zip-book, and the independence and closeness of each generation is high, And the lack of consciousness of the community due to the isolation and isolation of the people in the 4th National Land Total (2000 ~ 2020), it became a situation to bring about social problems. The establishment of space is defined as the goal of housing policy promotion. In this way, the way to promote community-oriented housing culture is guided. It is possible to make the present apartment house with a structure that puts the communication space in the remaining space after only the main activity is planned centering on the unit generation This is because the living environment of the inhabitants It is possible to make a fragmented and fragmented structure that has not received a demand for it. Recently, awareness of the importance of these community ties spaces has been heightened, interest and investment has been made, It is true that space is utilized as a symbolic space rather than the formation of space through analysis of residents' needs and behaviors. In this study, we aimed to design a multi-family house for strengthening community.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internal and external spaces in the form of community generated in the relationship between lateral and main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esent a model of a block type apartment house to promote new type of community through the analysis of the type of community generated in the building. ,韩语论文题目,韩语论文网站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