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동용 감사 척도 개발 및 타당화 [韩语论文]

资料分类免费韩语论文 责任编辑:金一助教更新时间:2017-04-28
提示:本资料为网络收集免费论文,存在不完整性。建议下载本站其它完整的收费论文。使用可通过查重系统的论文,才是您毕业的保障。

본 연구는 아동들이 자신에게 도움을 준 대상의 가치와 의미를 인식하면서 어떻게 그리고 얼마만큼 고마움을 느끼고 표현하는지를 측정할 수 있는 객관적인 아동감사 척도개발하고 ...

본 연구는 아동들이 자신에게 도움을 준 대상의 가치와 의미를 인식하면서 어떻게 그리고 얼마만큼 고마움을 느끼고 표현하는지를 측정할 수 있는 객관적인 아동용 감사 척도개발하고 타당도를 검증하는 데 목적이 있다. 첫 번째 단계로는 감사 척도 개발을 위해 개념 정립을 위한 탐색과 구성 요소를 추출 하였다. 첫째, 감사 개념을 정립하기 위해 문헌 연구, 개방형 설문 조사 및 개인 면접 조사를 토대로 70문항의 예비문항을 개발하였다. 연구 결과 ‘감사란 인간이 보편적으로 지니고 있는 긍정적인 정서이자 심리적인 상태로서, 자신에게 도움을 준 대상 즉, 자기 자신, 타인, 사물, 사건, 자연현상, 신의 가치와 의미를 인식하고 고마움과 기쁨의 긍정적인 정서를 느끼며 감사함을 표현하는 것’으로 정의하였다. 둘째, 감사의 구성요소인 인지적 · 정서적 · 행동적 요소들을 바탕으로 감사 척도의 구성요소를 추출하였다. 본 조사는 서울을 비롯한 5개 도시의 초등학교 3∼6학년 아동 2,500명을 대상으로 실시하였다. 수합된 자료는 SPSS 23.0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기술 통계, 최종 문항에 대한 통계량, 상관관계 및 신뢰도 분석, 탐색적 요인분석, 검사-재검사 신뢰도 검사를 실시하였다. 그 결과 아동용 감사 척도는 6요인 31문항이 추출되었다. 하위 요소는 자연에 대한 감사 6문항, 부모에 대한 감사 7문항, 친구에 대한 감사 4문항, 이웃에 대한 감사 5문항, 정서적 체험 5문항, 행동적 표현 4문항이었다. 개발된 아동용 감사 척도의 각 요인별 신뢰도 수준은 유의미하게 높게 나왔으며, 약 한 달 후 재검사를 실시한 신뢰도 수준에서도 적절한 계수를 나타냈다. 두 번째 단계로는 감사 척도의 타당화에 대한 연구를 실시하였다.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개발된 아동용 감사 척도의 내적 타당도를 검증하기 위해 수합된 자료로 확인적 요인 분석을 실시하였다. 확인적 요인분석을 실시한 결과 적합도 지수에 따라 감사 척도의 6요인 모형이 선정되었다. 한편 감사 척도의 구성 개념에 대한 타당성을 알아보기 위해 집중타당성과 판별타당성을 검증하였다. 집중타당성을 검증한 결과 개념신뢰도가 모두 .70 이상으로 통계적으로 유의한 수준을 보였다. 이에 따라 6개의 하위요소들의 특성에 잘 부합되는 측정 문항들로 구성되어 있음이 확인되었다. 또한 판별타당성을 검증한 결과 변수 간 상관계수의 제곱값이 평균분산추출값보다 낮아 판별타당성을 확보하였다. 둘째, 개발된 아동용 감사 척도의 외적 타당도를 검증하기 위해 교차타당도와 공인타당도를 실시하였고 상관관계로 공인타당도를 검증 하였다. 교차타당도 검증은 남녀별 집단과 학년별 집단으로 나눈 뒤 감사 도구가 다른 표집에도 일반화할 수 있는 모형인지를 검증하였다. 공인타당도의 결과 감사와 준거 척도인 심리적 안녕감 척도, 낙관성 척도, 친사회적 행동 척도와 의미 있는 상관관계가 있음이 나타났다. 그 결과 개발된 감사 측정도구는 다른 집단에도 일반화가 가능한 것으로 검증되었다. 이상의 연구결과를 통해 본 연구는 아동의 감사 성향을 고려한 아동용 감사 척도를 개발하였고, 척도의 타당도를 확인할 수 있었다. 이는 아동의 감사 성향을 객관적으로 측정하는 도구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감사 개념을 한국의 사회문화적 배경에 적합하게 재개념화한 한 점에서도 의의를 찾을 수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and validate the gratitude scale to investigate how children aware the value and meaning of helpers and how much they express their appreciation. For the first step, I explored the concepts of gratitude and 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and validate the gratitude scale to investigate how children aware the value and meaning of helpers and how much they express their appreciation. For the first step, I explored the concepts of gratitude and extracted the relevant components for developing the gratitude scale. I initially developed 70 preliminary items based on the literature review for conceptualization, open surveys, and personal interviews. In this study, gratitude is conceptualized as a positive emotion and psychological condition that the human universally experiences, and as an expression of thankful hearts to helpers, themselves, others, materials, events, natural phenomenon, or divine value and meaning. Second, components of gratitude scale were extracted based on the cognitive, emotional and behavioral factors. The survey was responded by the total of 2,500 children who were third to six grades attending elementary schools located in the five different cities including Seoul.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via SPSS 23.0 program and descriptive statistics, statistics regarding the final items, correlation and reliability, exploratory factor analysis and reliability test were conducted. As a result, six factors and 37 items were generated for the gratitude scale. Six items related to the appreciation for nature, five items related to the appreciation for friends, six items related to the appreciation for neighbors, six items for emotional expression and seven items for behavioral expression. The levels of reliability among factors of the gratitude scale for children were significantly high and the reliability test conducted after the reexamination a month later showed a proper coefficient. For the second step, I examined the validity of the gratitude scale. Here is a brief summary. First, a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was conducted with the collected data to examine the internal validity of the designed gratitude scale for children. After conducting the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the gratitude scale model with six factors was selected based on the fit indexes. In a meanwhile, I tested the concentration validity and distinction validity to examine the feasibility of the structural concept of gratitude scale. The convergent validity showed statistically significant as every construct reliability was above .70. This proves that the items were well aligned with the characteristics of six sub-factors. Additionally, after examining the average variance extracted, I found that the average variance extracted was appropriate as the coefficient of determination was lower than the average variance extracted. Second, I examined cross-validity and concurrent validity to evaluate the external validity of the developed gratitude scale for children, and cross-correlation was conducted to examine the validity. The subjects were separated by sex and grade for cross-validation and the tool was verified to examine whether it can be generalized in other samples. The relationship between psychological well-being, optimism, and prosocial behavior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As a result, it was proved that the developed gratitude scale could be generalized to other groups. In conclusion of the study, I was able to develop the gratitude scale for children with consideration of children's gratitude characteristics and to examine its validity. The scale can be used as an object tool for measuring children's gratitude. Additionally, I find this study meaningful as it reframed the concepts of the gratitude suitable to Korean sociocultural backgrounds.

韩语毕业论文韩语毕业论文
免费论文题目: