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1세기의 문화자본주의 시대에 맞춰 소비자들의 니즈는 계속 변화하고 다양해지면서 문화 소비주체들이 ‘종이책’이라는 물리적인 형태에서 벗어나 다양한 융합 매체를 통해 만들어진 새... 21세기의 문화자본주의 시대에 맞춰 소비자들의 니즈는 계속 변화하고 다양해지면서 문화 소비주체들이 ‘종이책’이라는 물리적인 형태에서 벗어나 다양한 융합 매체를 통해 만들어진 새로운 가치가 소비자의 니즈를 충족시켜주고 있다. 이에 기존의 종이책 가치는 떨어지고 책 문화 역시 위기에 직면하였으며 서점공간의 장소의 정체성도 잃어가고 있다. 삶의 질이 개선되면서 이제 공간은 단순히 머물며 거주하는 기능적 역할이 아닌 개성이 있는 인간의 삶을 대변하는 상징적 공간으로 그 의미가 변화하고 있다. 공간의 의미가 변화했듯이 소비자들의 소비패턴도 수동적이었지만 점차 능동적으로 변화하여 최근에는 사람들의 형태를 수중에 넣어 물건을 파는 것만이 아닌 라이프스타일까지 제안하는 형태의 숍들이 늘어나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소비자에게 문화, 체험, 감성 등의 정보를 포함하고 있는 라이프스타일 숍의 개념을 적용한 서점 공간디자인의 설계 계획에 대한 방법을 모색해 보고자 한다. 또한 소비자의 니즈에 집중해 서점 공간을 디자인함으로써 일반적 소매 상업공간과는 차별화 되는 공간으로 소비자로 하여금 책 문화 소비에 있어 다양성을 경험하게 하는 것을 목적으로 두고 있다. 더 나아가 라이프스타일 숍의 개념을 서점 공간에 적용하여 보다 테마화 된 공간의 디자인을 통해 일방적인 소비의 공간이 아닌 커뮤니케이션이 가능한 공간으로 구성하여 소비자에게 관심을 유발하고자 한다. 본 연구는 라이프스타일 숍에 대한 기본적인 이해와 조사를 기반으로 라이프스타일 숍의 실내디자인의 표현 특성을 도출하여 소비자들과 상호작용하는 소통의 장으로의 서점 공간을 구성하고자 한다. 특히 다양한 라이프스타일을 제안할 수 있도록 특화된 프로그램 공간들을 배치하여 현존하는 서점들과 차별화를 두고 정적인 형태의 서점이 아닌 역동적인 복합문화공간으로의 서점을 제안하고자 한다. 이는 앞으로의 다양한 서점공간의 등장의 계기가 되어 테마형 서점의 아이덴티티를 강화하고 소비자에게 다양한 공간을 제공할 수 있기를 바란다.
Along with the emergence of cultural capitalism of the 21st century, consumers' needs change and diversify and new values which are created through various convergence media instead of the physical books are satisfying consumers' needs. With thi... Along with the emergence of cultural capitalism of the 21st century, consumers' needs change and diversify and new values which are created through various convergence media instead of the physical books are satisfying consumers' needs. With this trend, the value of books is decreasing, the culture of books is facing crisis, and bookstores are losing their spatial identity. As the quality of life improves, the meaning of space is changing. Now space does not simply serve the functional role of providing places where people stay and reside but it is becoming a symbolic place which represents human life. As the meaning of space has changed, the consumption pattern of consumers has changed from passive to active, so nowadays, other than shops that sell products, there is increasing number of shops that suggest lifestyles. Against this background, this study intends to search ways of designing space that applied the concept of lifestyle shop that includes information such as culture, experience, and emotion for consumers. Also, by designing the space of bookstores focusing on consumers’ needs, it aims to make consumers experience diversity in the consumption of book culture with space that is different from general retail commercial pace. Also, by applying the concept of lifestyle shops to bookstore space and using spatial design with themes, it aims to construct space where communication is possible, not the space of unilateral consumption. Based on basic understanding and research about lifestyle shops, this study aims to deduce the characteristics of expressions in the interior design of lifestyle shops, and construct bookstore space as the space of communication where interaction is made with consumers. Especially by arranging program space specialized for suggesting various lifestyles, it was aimed to be differentiated from existing bookstores and to create dynamic complex cultural space that is not static. It is expected that this will become a chance for the appearance of various bookstore space, strengthen identities of bookstores, and provide various space for consumers. ,免费韩语论文,韩语论文题目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