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선후기 숙·영조연간은 사회가 안정되면서 사회전반에 변화가 진전된 시기이다. 특히 문인들의 사상적 변화는 새로운 문학과 새로운 회화의 등장에 바탕이 되었다. 이러한 새로운 문화... 조선후기 숙·영조연간은 사회가 안정되면서 사회전반에 변화가 진전된 시기이다. 특히 문인들의 사상적 변화는 새로운 문학과 새로운 회화의 등장에 바탕이 되었다. 이러한 새로운 문화는 한양을 중심으로 이 시기 지배세력이었던 노론계 문인들이 주도로 이루어졌으며, 그들의 의식변화에 따른 가치관을 표현하기 위한 것이었다. 이들은 사물에 대한 인식을 단순히 겉모습의 묘사가 아닌 사물이 지닌 정신을 표현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생각하였다. 이러한 인식은 실제 명소를 찾아가서 직접 본 경물의 본질을 표현하고자 하는 진경문화를 등장시켰고, 경관을 보고 지은 시는 기행문학과 기행산수화를 유행하게 하는 계기가 되었다. 또한 이 시기 문인들은 이를 시화첩으로 제작하여 자신들의 경험을 공유하는 매개체로 활용하였다. 이러한 배경은 정선의 진경산수화 등장에 중요한 원인이 된다. 정선은 조선후기를 대표하는 화가로 대담하면서도 호방한 화법으로 독창적인 작품세계를 펼쳤던 대가로 널리 알려져있다. 또한 조선전·중기의 산수화에 나타났던 송대 산수화의 양식과 관념산수화의 화풍으로 그렸던 방식에서 벗어나 사생을 통해 산의 형세를 파악하고 경관이 담고 있는 진경을 표현한 진경산수화를 창안 했다. 진경산수화의 창안은 조선 산수에 맞는 회화기법을 추구한 화법으로써 남종화와 북종화의 혼용으로 이루진 획기적인 시도이다. 이러한 새로운 화법은 정선의 작품 가운데 편년이 가장 이른 ≪신묘년풍악도첩≫에서도 찾아볼 수 있고 만년기 작품인 ≪해악전신첩≫에서도 나타나고 있다. 이는 초기화법에서 이미 기본틀을 갖추고 있었으며 만년기의 작품에서 그 기본틀에서 벗어나지 않고 있다는 것을 볼 수 있었다. 본 논문에서는 정선의 화법의 변화과정을 좀 더 상세히 파악하기 위해 금강산과 그 주변 경관을 그린 ≪신묘년풍악도첩≫, ≪관동명승첩≫, ≪해악전신첩≫의 작품분석에 중점을 두어 비교 분석하였다. 이와같은 과정을 통해 1711년에 제작된 ≪신묘년풍악도첩≫에서 경물의 대비되는 배치와 실재 경관을 사실적으로 표현하기 위한 다양한 기법으로 표현하였다. 이후 1738년에 제작된 ≪관동명승첩≫에서는 경물들을 생략하여 간략하게 배치하고 여백의 공간을 확대하여 남종화의 특징적인 화법이 중시되어 표현된 것을 볼 수 있었다. 또 정선의 개성있는 화법, 즉 수직준과 절대준으로 표현한 기암괴석과 바위, 미점을 활용한 소나무의 표현에서 독자적인 화법으로 표현하고 있었다. 후기작품인 1747년에 제작된 ≪해악전신첩≫에서는 주제를 부각시키기 위해 원형구도와 전충구도를 적극적으로 활용하여 경물을 배치하였다. 또 표현기법에서 정선은 절대준과 수직준을 혼용하여 창안된 독자적인 필법, 즉 겸재준으로 암벽과 수림 등의 경관을 절제된 형태로써 상징적으로 묘사하고 있었다. 이러한 표현은 경물이 지닌 본질의 모습, 즉 ‘진경’을 그리기 위한 화법이라고 할 수 있다. 이러한 과정을 종합하여 살펴본 결과 정선은 초기화법에서 사생을 통해 경관의 사실적인 표현을 위해 일정한 위치에 경물을 배치하고 경물마다 다양한 화법으로 표현하였다. 후기에 이르러 경물들은 생략되고 간략하게 표현되어 여백의 공간이 확장되어 주제를 강조하기 위한 공간구성으로 변화되었다. 또 표현기법에서 자신의 독자적 필법인 겸재준의 창안으로 경물의 특성을 표현하기 위한 것이며, 이러한 변화는 화가의 심성이 포함된 진경의 의미를 표현하기 위한 회화의 모습을 갖추기 위한 과정으로 볼 수 있었다. 또 정선의 진경산수화는 앞에서 언급했듯이 조선후기 문인들의 새로운 문학관의 영향으로 창안되었지만, 그의 화법을 통해서 조선 전·중기에서 전승된 전통산수화법의 계승을 볼 수 있다. 또 정선이전의 조선후기 화가인 조세걸과 한시각이 그린 실경산수화를 통해서도 이전시대의 화법을 계승하여 발전하는 과정에서 자기화된 화법이 창안되었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중국임모에서 벗어나 새로운 화풍을 제시하였고 이러한 화풍은 이후 문인화의 발전에도 영향을 준 것은 정선의 진경산수화풍이 지닌 의의라 할 수 있다. ,韩语论文网站,韩语论文范文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