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어교사 관련 정책에 대한 초등학교 교사들의 인식 연구 [韩语论文]

资料分类免费韩语论文 责任编辑:金一助教更新时间:2017-04-28
提示:本资料为网络收集免费论文,存在不完整性。建议下载本站其它完整的收费论文。使用可通过查重系统的论文,才是您毕业的保障。

A Study on the Perceptions of Elementary School Teachers about English Teacher Related Policies Lee, Une-hee Major in Elementary English Education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Gyeongin National University of Education This study aims to find o...

A Study on the Perceptions of Elementary School Teachers about English Teacher Related Policies Lee, Une-hee Major in Elementary English Education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Gyeongin National University of Education This study aims to find out the perception of primary school teachers about English Language Education Policies: Native English assistant instructors, English conversation specialists, and English language training program for the teachers. There were 80 questionnaires which were analysed to have the data what the elementary school teachers think about three policies. Five interviewees I talked with about the subjects in person. Sixty percent of the teachers who have answered the questionnaire were majored in Elementary English Language Department whether it is graduate or undergraduate. Among 80 teachers, 43(54%) people works in Gyeonggi province, 32(40%) people from Incheon, and 5(6%) from Seoul. 69(86%) women and 11(14%) men are the teachers who answered. According to age, 25(31%) in twenties, 27(34%) is in their thirties, 22(27%) in forties, and 6(8%) in their fifties. The primary school teachers have positive opinions about native English instructors who co-teach with domestic English teachers in the classroom and think they can also develop their English abilities through the native English teachers needless to say that the students have the more exposure to English learning environment. The strong negative opinion about the native English instructors is the high expense for one person and over work for the domestic Engish teacher because they are in charge of the whole job of the instructor. I think the students in the suburb area need to have native instructors more than those in the big city. We need to manage this system more regionally in terms of equal opportunity. On the contrary to native English instructors, the opinion of English conversation specialists is not that positive. The most big issue why the teachers have some negative views of them is the basic qualification that they don’t have the right to teach in the elementary school legally, although the teachers can’t ignore that the specialists are better in English abilities and have qualification in the field too. What I carefully suppose here for the problem is that the related experts, administrators, and school teachers need to have more discussion whether this system should be maintained or not and what more we need to compensate the defeat if it goes on. Over 80% of the teachers want to continue English language training course constantly and persistently regardless of policy change and more than 90% teachers welcome new English training program development for them. For the flow of times, new terms of the training program for the teachers is needed. We know that language ability is not built in one day, slow and steady is the answer. It tells all not only about English language policy but also about training program for the teachers how we plan to do. (Key words: Native English assistant instructor/ Domestic English teacher/ English conversation specialist)

영어교사 관련 정책대한 초등교사 인식 연구 이 은 희 경인교육대학교 교육전문대학원 초등영어교육 전공 본 연구는 1997년에 우리나라 초등학교에 영어가 정규 과목으로 도입된 이후 ...

영어교사 관련 정책대한 초등교사 인식 연구 이 은 희 경인교육대학교 교육전문대학원 초등영어교육 전공 본 연구는 1997년에 우리나라 초등학교에 영어가 정규 과목으로 도입된 이후 시행되었던 주요 영어교육 정책들 중 원어민 영어보조교사 제도, 영어회화전문강사 제도, 초등영어 교사 연수 제도에 대한 초등학교 현직 교사들의 인식을 알아보고 그 시사점을 찾는 것에 그 목적이 있다. 이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인천광역시, 경기도, 서울특별시 지역의 초등학교 교사 80명을 대상으로 설문을 실시하였으며, 그 중 5명을 포커스 그룹으로 선정하여 심층 인터뷰를 실시하였다. 설문과 인터뷰 결과를 통한 관련 내용은 교사들의 근무 지역, 성별, 나이(경력), 영어 연수 경험 등에 따라 분석하였으며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교사들은 원어민 영어보조교사 제도에 대해서는 전반적으로 긍정적인 인식을 나타냈다. 구체적으로 원어민 보조교사와의 협력수업은 영어 노출량의 증대, 학습 동기 증가, 문화적 체험 기회의 확대 등 여러 가지 장점이 있다고 하였다. 이러한 장점과는 달리 나타날 수 있는 문제점으로는 높은 고용 경비와 원어민 보조 교사 고용과 관련한 행정적 업무의 증가가 있다고 하였다. 원어민 영어보조교사 제도를 통한 협력수업이 지속적으로 필요한가에 대한 교사들의 인식은 지역별로 다소 다르게 나타났는데 서울 지역의 교사들이 지속적으로 필요하다는데 가장 높은 의견을 보였고, 다음으로 인천, 경기도 지역의 순으로 나타났다. 영어를 담당하는 교사들보다 일반 교사들이 원어민 영어보조교사 제도를 지속적으로 유지해야 한다는 의견이 높았는데 이는 원어민 업무를 맡는 담당 영어교사들의 과중한 업무 때문이라고 하였다. 둘째, 영어회화전문강사 제도 실시에 대해서는 경기도, 인천, 서울 지역의 순으로 높은 채용 현황을 보였다. 교사들은 이미 학교에서는 이 제도가 나름대로 효율적으로 운영되고 있고 강사들의 수업을 수행할 수 있는 영어능력은 인정하였다. 하지만 이 제도의 초기 도입에 대한 의견은 긍정과 부정 비율이 거의 대등하게 나타났다. 부정적 의견의 이유로 가장 큰 것은 이들 영어회화전문강사들이 초등학교 교사로서 갖추어야 할 기본적 자격에 다소 문제가 있다는 것이었다. 초등학생 지도를 전문으로 하는 교사 자격증이 없이도 영어교육 자격증이나 영어권 국가의 체류 경험(연수, 유학)이 선발 기준에 포함되어 선발되었기 때문에 일부 강사들에게서는 초등학교 교사로서의 학생들을 지도함에 있어서 아동에 대한 이해 등 기본적인 자질에 문제가 발생되곤 한다는 것이었다. 마지막으로, 교사들을 위한 영어 연수 제도에 대해서는 80% 이상의 응답자들이 이러한 연수 프로그램 운영이 지속적으로 유지되고 일관성 있게 추진되어야 하며 교사들의 영어 능력 개발에 도움이 된다고 인식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기존에 실시되었던 연수 가운데 6개월 심화연수가 교사들이 가장 선호하는 연수로 조사되었으며 급변하는 영어교육의 상황에 맞는 연수 방식의 개발이 필요하다고 하였다. 이상의 영어교사 관련 정책에 대한 초등학교 교사들의 인식 결과를 바탕으로 하여 우리나라 초등학교 현장에 필요한 영어교육과 관련한 제언을 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원어민 영어보조교사 제도는 지역적 특성을 고려하여 적절하게 활용할 필요가 있다. 여러 가지 이유로 원어민과의 접촉이나 개인적 학습 기회가 적은 지역을 중심으로 우선적으로 실시할 것을 제안한다. 산촌이나 도서 벽지와 같은 소외된 지역의 학교에서는 원어민 영어보조교사를 통한 영어 노출, 영어 학습 동기 부여, 타문화적 체험의 기회가 더욱 절실하기 때문이다. 둘째, 영어회화전문강사 제도가 비교적 효율적으로 진행되어왔다고 인식되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이 제도에 대한 불만도 다양하게 제시되었으므로 이에 대한 보완 및 개선이 필요하다. 영어회화전문강사 제도와 관련한 여러 가지 문제점들에 대해서 관련 행정가와 전문가, 그리고 현장 교사들과의 협의를 통하여 이 제도의 유지 방안 혹은 폐지에 대한 심도 있는 논의가 절실하다. 마지막으로, 초등영어 교사 연수 제도 또한 영어교육 패러다임의 시대적 변화에 따른 탄력적 운영이 필요하다. 다양한 상황에 따른 맞춤형 연수에 대한 꾸준한 연구 개발이 이루어져야 하며 교사들의 영어교육 능력 개발을 위한 해외 연수나 유학의 폭넓은 기회 부여도 심도있게 고려되어야 할 것이다. *주제어: 원어민 영어보조교사, 영어회화전문강사, 교사 영어 연수

韩语毕业论文韩语论文网站
免费论文题目: