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로운 도시발전 모델로 제시되고 있는 광역경제권은 물리적·환경적·문화적·경제적으로 연계된 네트워크로써 국가적 경쟁력을 확보하기 위해 세계 여러 국가에서 적용되고 있다. 광역경... 새로운 도시발전 모델로 제시되고 있는 광역경제권은 물리적·환경적·문화적·경제적으로 연계된 네트워크로써 국가적 경쟁력을 확보하기 위해 세계 여러 국가에서 적용되고 있다. 광역경제권의 중요성과 작동원리에 대해 여러 선행연구가 있으며, 공통된 주요 요인으로 도시-지역 간 네트워크 형성이 언급되고 있다. 네트워크 형성은 도시-지역 간 상호보완적 관계를 유도할 수 있으며, 산업·자본·인력·인프라·정보 등을 연계하여 도시권 전체의 역량을 극대화 할 수 있다. 따라서 도시를 구성하는 요소들이 서로 효율적이고 생산적인 상호작용 시스템 안에서 운용되는지에 따라 광역경제권 전략의 성공여부가 달라 질 수 있다. 국내에서는 2009년 제 4차 국토종합계획 수정계획에서 세계적 경제 환경변화에 대응하고 국내 지역경제를 활성화하기 위해 ‘5/2 광역경제권’을 도입하였으며, 성장거점의 자족성 확보와 주변지역과의 연계강화를 위해 인프라 조성사업을 실시하였다. 특히, 광역경제권이 글로벌 경쟁력을 갖기 위해서 성장거점 도시를 육성할 뿐 아니라 주변도시간의 연계성을 확보해야 함을 제시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의 목적은 광역경제권 형성의 주요 조건으로 알려진 경제적 의존에 따른 네트워크 형성에 있어, 국토차원(all)·광역경제권 간(between)·광역경제권 내(within) 등 상호의존 유형별 도시성장관계를 규명하고 네트워크 특성을 도출하여 지속적인 도시성장을 위한 지역정책에 대한 함의를 도출하고자 하였다. 분석방법으로는 국가교통 DB의 화물OD데이터를 활용하여 도시 간 상호의존성을 반영한 Weight Matrix를 구축 및 유형화하고 각 권역별 상호의존의 특성을 의존성·복잡성·중심성 측면에서 비교하였다. 또한 Moran’s I지수를 활용해 상호의존하는 도시들 간 성장관계가 통계적으로 유의한 성장-성장 또는 쇠퇴-성장 관계인지 규명하고 상호의존의 특성이 상이하게 나타나는지 다항로짓분석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광역경제권별 상호의존 유형에 따라 의존성·복잡성·중심성 등 상호의존 특성과 성장관계가 상이하게 나타난다. 특히, 수도권과 충청권에서는 지역보다는 국토차원의 성장관계가 활발하며 경제권 내외로 다수의 도시와 상호작용하는 특성을 보이고 있다. 동남권은 내부에 대한 의존성이 높음에도 소수의 도시들만이 성장하는 관계를 보여 지역 내 연계를 강화할 필요가 있으며 대경권과 호남권은 국토차원이 아닌 지역차원에서 상호간 성장하는 지역들이 나타나 이들 지역에 대한 성장거점전략을, 강원권은 타권역에 대한 의존이 높아 자족성을 확보하거나 경제권의 편입을 고려해 볼 수 있을 것이다. 지역정책의 초점이 지역행복생활권으로 이동하였음에도, 인접지역과의 연계성을 강화하여 광역적인 지역발전을 이루려는 노력은 계속되고 있다. 따라서 여전히 광역경제권은 물리적 기반시설을 기반으로 인접한 지역과의 네트워크 형성을 통해 지속가능한 지역발전을 위한 정책으로써 기능할 것이며 중앙정부에서는 지자체 간 수요가 있을 경우 제도적 보완을 통해 이를 뒷받침 할 필요가 있다.
Mega economic region is an economic and geographic unit extended beyond political boundaries through economic, environmental, social, and cultural interactions. It is being suggested as a new regional development model to increase economic competitive... Mega economic region is an economic and geographic unit extended beyond political boundaries through economic, environmental, social, and cultural interactions. It is being suggested as a new regional development model to increase economic competitiveness in a global economy. Although seven mega-economic regions were proposed in Korea to enhance the sustainability of regional economy, the relationships between functional interaction and employment growth have not been studied yet. The purposes of this dissertation are to analyze its relationship and provide implications for regional planning. Using weight matrices composed of interdependence, regions are categorized into three types: inter-region, intra-region, and the whole nation. The characteristics of interdependence, such as dependency, distribution, and centrality, are compared for each mega economic region. The existence of ‘growth-growth’ or ‘decline-growth’ relation is investigated with Moran’s I index, and their characteristics are analyzed using multi-nomial logit model. The results of the analysis reveal that both the characteristics and the relation are different according to mega economic regions. Especially, although some regions have more interactive and active growth relations at the national level than at the mega-economic region, others have relations of regional growth economy at the mega-economic region. This suggests that regional policies should be implemented differently to each region to promote the relations of growth in terms of functional interactions. ,韩语毕业论文,韩语论文题目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