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기업은 예로부터 실시해온 연공급제 임금체계에 대한 대안으로 종업원이나 집단의 업적이나 노동성과를 기준으로 임금을 산정하여 지급하는 임금형태인 성과중심 임금제도를 실시해 ... 한국 기업은 예로부터 실시해온 연공급제 임금체계에 대한 대안으로 종업원이나 집단의 업적이나 노동성과를 기준으로 임금을 산정하여 지급하는 임금형태인 성과중심 임금제도를 실시해 왔다. 이후 국내 학계에서도 연봉제와 성과급제도에 대한 연구가 본격화 되었다. 기존의 성과급제도에 관한 연구는 주로 성과급제 도입의 실태조사 및 제도의 효과성과 의의에 대한 주제로 이루어져 왔으며, 특히 성과급이 경영성과와 직원만족도 등에 미치는 영향을 중심으로 이루어져 왔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성과급의 유형 및 특징에 대해 논의를 한 논문은 매우 부족한 실정이며, 성과급 유형의 결정요인에 대한 연구 역시 미흡한 편이다. 이에 본 논문은 다음과 같은 목적을 가지고 연구를 진행하였다. 첫째, 성과급제도(차등지급 된 성과급의 비중)의 수준과 크기를 결정하는 선행요인에 대한 실증분석을 실시 하고자 한다. 둘째, 개인성과급과 집단성과급을 나누어 이론적 바탕을 재정비하고 두 성과급 유형이 기업성과에 미치는 효과성에 대한 비교분석을 실시하고자 한다. 셋째, 조직문화를 유형화 하여, 조직문화와 성과급제도 간의 적합성이 기업의 성과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고자 한다. 실증분석에서는 한국직업능력개발원(KRIVET)의 인적자본기업패널(HCCP) 5차(2013)년도 조사 자료와 한국신용평가(KIS)의 2015년도 재무자료를 사용하였으며, 가설 검증을 위해 위계적 회귀 분석을 실시하였다. 가설에 대한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경영환경변화가 차등 지급 된 성과급 비율에 미치는 영향은 유의하지 않았으며, 경영체제는 차등지급 된 성과급 비율에 유의한 정(/) 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개인성과급의 실행과 집단 성과급의 실행은 모두 기업 성과에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개인성과급의 실행과 매출액 간의 관계에 있어 혁신문화가 미치는 조절적 영향은 유의하게 검증되지 않았으나, 집단성과급의 실행과 매출액의 관계에 있어 혁신문화가 미치는 조절적 영향은 유의한 정(/)적 조절효과를 갖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개인성과급의 실행과 매출액 간의 관계에 있어 합리문화가 미치는 조절적 영향은 유의하게 검증되지 않았으나, 집단성과급의 실행과 매출액의 관계에 있어 합리문화가 미치는 조절적 영향은 유의한 정(/)적 조절효과를 갖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과는 하나의 연구를 통해 성과급의 도입부터 결과까지의 큰 틀을 하나의 데이터 셋을 사용하여 살펴보았다는 점에서 큰 시사점을 제공한다. 마지막으로는 본 연구의 한계점에 대해 논의하고, 추후 연구 방향에 대해 제시하였다.
Korean corporations have implemented the The seniority-based pay system from old days. Alternatively, the incentive system was introduced by calculating wages by the business or labor results of employees or group. Henceforward, domestic academic stud... Korean corporations have implemented the The seniority-based pay system from old days. Alternatively, the incentive system was introduced by calculating wages by the business or labor results of employees or group. Henceforward, domestic academic studies on the seniority-based pay and incentive system have officialized. The existing studies on the incentive system have been carried out mainly on the subject of fact-finding the introduction of the incentive and its effectiveness, especially in priority of the influences of the performance-related pay on business performance and employee satisfaction. Nonetheless, thesis discussing the types and features of the incentive and studies on the determinant of the type of the incentive is insufficient. Thereupon, this thesis was studied with the following purposes. First, to analyze the actual proof of precedence factors which determines the level and amount of the incentive system. Second, to compare and analyze the influences on the business performance effected by two types of the incentive by theoretically reorganizing the individual performance-based incentive and group performance-based incentive. Third, to examine the influences on corporations outcomes based on the suitability between organizational cultures and the incentive by moderating organizational cultures. The 5th(2013) Human Capital Corporate Panel(HCCP) research data of the Korea Research Institute for Vocational Education & Training(KRIVET) and 2015 financial materials of the Korea Investors Service Inc.(KIS) was used to analysis. furthermore, hierarchical analysis was fulfilled for hypothesis verification. The analyzed result of the hypothesis are as follows. First, the ratio of differential rates of incentive did not take heed of the change of business environment, whilst the management system positively influenced the ratio of incentive. Second, execution of individual and group performance-related incentive positively influenced the business outcome(sales).Third, the moderate effects of the innovative culture are not influenced by the relation of the individual performance-based incentive and sales, whereas positively influenced by the relation of the group performance-based incentive and sales. Forth, the moderate effects of the rational culture are not influenced by the relation of the individual performance-based incentive and sales, whereas positively influenced by the relation of the group performance-based incentive and sales. This thesis has an implication for examining the introduction and consequence form of performance-related pay in avail of a single data set. Lastly, this thesis discussed the limitations of this study and proposed directions for future research. 참고문헌 (Referenc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