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르게 읽기'를 활용한 중등 역사 동아리 활동 프로그램 개발 방안 : 국립중앙박물관 1층 역사관을 중심으로 [韩语论文]

资料分类免费韩语论文 责任编辑:金一助教更新时间:2017-04-28
提示:本资料为网络收集免费论文,存在不完整性。建议下载本站其它完整的收费论文。使用可通过查重系统的论文,才是您毕业的保障。

This study aims to utilize the ‘reading differently’ method, a new way of reading history employed in new cultural history, to present a museum-based history learning program in conjunction with high school club activities as part of the creative ...

This study aims to utilize the ‘reading differently’ method, a new way of reading history employed in new cultural history, to present a museum-based history learning program in conjunction with high school club activities as part of the creative experiential activity curriculum. In the Korean school curriculum centered on college entrance exams, it is difficult for a learner to learn history in an active and self-directed manner. Hence, museums, which allow one to experience history using their five senses, are garnering attention as an educational alternative that supplements school history classes. In the school environment, however, museums are generally used as a one-time field trip venue rather than being used in organic conjunction with school history classes. As a way to overcome such limitations in museum-based history learning, the club curriculum as part of creative experiential activities receives focus in this study. Club activities are available in one-year periods for all grade levels at a high school, ensure student participation as they are part of the regular curriculum, and are led by students with interest and aptitude in history. Due to these characteristics, they overcome the limitations of one-time museum field trips and are suitable for testing out a history learning plan that seeks to supplement, in conjunction with museums, school history classes centered on knowledge transmission. Such a museum-based history learning plan carried out in conjunction with club activities needs to be designed in a way that promotes the learner's ability to reconstruct historical knowledge for themselves by critically reading the existing historical narrative and viewing history from multiple perspectives. For this, ‘reading differently’, a new method of reading history employed in new cultural history, was applied to the museum-based history learning program, as “an attempt to understand history in a context differing from traditionally held perspectives on history” Based on such an application, a four-phase history learning model and its management plan are presented. ‘Questioning Historical Knowledge’ is a preliminary learning phase in which students learn theories required for historical inquiry such as principles of generating historical knowledge and the “reading differently” method, as well as engaging in preliminary research activities for the museum visitation and setting an inquiry topic. In the ‘Searching for the Main Character of the Exhibit’ stage, students examine the museum’s history exhibit with an autonomous, self-directed attitude and seek out stories told and untold by the museum regarding their selected topic, gaining an understanding of the exhibit’s perspective. The ‘Reading Differently’ stage is a process of reconstructing history from a perspective different from that of the museum, based on the museum’s perspective of historical narrative discovered in the previous stage. In this process, students decide whose position to take in reading and reconstructing history and proceed with the inquiry activity. In the ‘Reproducing’ stage, students put together what they have gained from previous stages to come up with an exhibit featuring people of various classes excluded from the museum’s history exhibit. Such a museum-based history learning model was applied to the National Museum of Korea as a case example. This study is significant in that it suggests a detailed program by linking club activities with museum-based history learning, enables learners to realize that a museum’s history exhibit is also a historical narrative reflecting a particular perspective and thereby understand limitations of historical materials, and provides students an opportunity to bring to life the story of those excluded from history by ‘reading differently’, facilitating a rich understanding of history and offering an experience of reconstructing history for themselves.

본 연구는 고등학교에서 ‘다르게 읽기’라는 신문화사의 새로운 역사 읽기 방식을 활용하여 창의적 체험활동 교육과정 내의 동아리 활동과 연계한 박물역사 학습 프로그램을 제안하고...

본 연구는 고등학교에서 ‘다르게 읽기’라는 신문화사의 새로운 역사 읽기 방식을 활용하여 창의적 체험활동 교육과정 내의 동아리 활동과 연계한 박물관 역사 학습 프로그램을 제안하고자 하였다. 입시 위주의 우리나라 학교 교육과정 속에서 학습자가 능동적이고 자기주도적으로 역사를 학습하는 것은 어려운 일이다. 이에 오감을 활용하여 역사를 체험할 수 있는 박물관은 학교 역사 수업을 보완하는 교육적 대안으로써 각광받고 있다. 그러나 학교 현장에서 박물관은 학교 역사 수업과 유기적으로 연계되어 활용되기보다 일회성 현장체험학습장소로 활용되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이러한 박물관을 활용한 역사 학습의 한계를 극복할 수 있는 방안으로 창의적 체험활동 내의 동아리 교육과정에 주목하였다. 동아리 활동은 고등학교 전 학년을 대상으로 1년 단위의 활동이 가능하고 정규 교육과정으로서 학생들의 참여가 보장되며 역사에 대한 흥미와 적성을 가진 학생들을 중심으로 이루어지는 활동이라는 점에서 일회성의 박물관 체험학습이 가지는 한계를 극복하고, 박물관과 연계해 지식 전달 위주의 학교 역사 수업을 보완하고자 하는 역사 학습 방안을 실천해보기에 적합하다. 이러한 동아리 활동과 연계한 박물관 활용 역사 학습 방안은 학습자들이 기존의 역사 내러티브를 비판적으로 읽어내고 복수의 관점에서 역사를 바라봄으로써 스스로 역사 지식을 재구성하는 능력을 길러주는 방향으로 기획되어야 한다. 이를 위한 방안으로 “전통적으로 유지되어 왔던 역사를 보는 관점과는 다른 맥락에서 역사를 파악하려는 시도”로서 신문화사의 새로운 역사 읽기 방식의 하나인 ‘다르게 읽기’를 박물관 활용 역사 학습 프로그램에 적용하여 4단계로 구성된 역사 학습 모형 및 그 운영 방안을 제시하였다. ‘역사 지식 의심하기’ 단계는 사전학습 단계로서 역사 탐구활동을 위한 역사 지식의 생성원리와 ‘다르게 읽기’ 방식 등에 대한 이론 학습을 진행하고 박물관 탐방을 위한 사전 조사활동을 하며 탐구 주제를 설정한다. ‘박물관 전시 주인공 찾기’ 단계에서는 학생들이 자율적이고 자기주도적인 자세로 박물관의 역사 전시를 살펴보고 자신들이 선택한 주제를 중심으로 박물관이 들려주는 이야기와 들려주지 않는 이야기를 찾아 관람하며 박물관 전시의 관점을 파악한다. ‘다르게 읽기’ 단계는 이전 단계에서 찾아온 박물관의 역사 내러티브 관점을 바탕으로 박물관과는 다른 관점에서 역사를 재구성해 나가는 과정이다. 이 과정에서 학생들은 누구의 입장에서 역사를 읽고 재구성할 것인지를 선택하여 탐구활동을 진행한다. ‘재현하기’ 단계에서는 전 단계들의 내용을 종합하여 박물관의 역사 전시에서 배제되어 있는 다양한 계층의 사람들을 주인공으로 전시실을 꾸민다. 이러한 박물관 활용 역사 학습 모형은 국립중앙박물관을 사례로 적용하였다. 본 연구는 동아리 활동을 박물관을 활용한 역사 학습과 연계하여 구체적인 프로그램을 제안한다는 점, 학습자들이 박물관의 역사 전시도 하나의 관점이 반영된 역사 내러티브임을 파악하고 역사 자료의 한계를 이해할 수 있게 한다는 점, ‘다르게 읽기’를 통해 역사에서 소외된 사람들의 이야기를 되살려내어 풍부한 역사 이해를 돕고 학생들이 스스로 역사를 재구성해보는 경험을 제공한다는 점에서 시사점을 찾을 수 있을 것이다.

韩语论文韩语毕业论文
免费论文题目: