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한이탈 청소년의 남한사회 적응을 위한 미술수업 사례 연구 : 8세부터 15세까지의 북한이탈 청소년을 대상으로 [韩语论文]

资料分类免费韩语论文 责任编辑:金一助教更新时间:2017-04-28
提示:本资料为网络收集免费论文,存在不完整性。建议下载本站其它完整的收费论文。使用可通过查重系统的论文,才是您毕业的保障。

본 연구는 국내 북한이탈 청소년의 남한사회 적응을 돕기 위한 미술수업 사례 연구에 관한 논문이다. 현대 한국사회는 정보통신과 교통 및 사회․정치․경제적 발전 등의 영향으로...

본 연구는 국내 북한이탈 청소년의 남한사회 적응을 돕기 위한 미술수업 사례 연구에 관한 논문이다. 현대 한국사회는 정보통신과 교통 및 사회․정치․경제적 발전 등의 영향으로 인구이동과 세계화로 인한 다문화 사회의 모습을 갖추게 되었지만, 여전히 강하게 남아있는 자문화 중심주의 및 타문화에 대한 낮은 수용적 태도는 국내 다문화 갈등 양상을 심각한 실정에 이르게 하고 있다. 현 포스트모던 사회의 다문화 미술교육에 대한 역할은 다양한 상호작용과 창조, 비평, 수용의 기회를 갖게 하고, 사회․문화적 이해와 관점을 넓히며, 개인의 사회 내 자아 정체성을 확립하고 그 가치를 높이는 도구가 될 수 있게 해주므로 사회적응을 돕는데 효과적인 방안이 된다. 이는 특히 2000년대 북한의 심각한 경제침체 이후 현재까지 그 수가 폭발적으로 증가함에 따라 국내에서 학교와 사회․문화 부적응을 호소하고 있는 북한이탈 청소년들을 위해 필수적인 요소이므로, 더욱 구체적으로 발전되어져야 한다. 따라서 본 논문은 이들의 건강한 사회적응을 돕도록 하기 위한 미술수업을 계획하고 적용하여, 그 분석한 결과를 바탕으로 기대효과를 제시하는 것에 궁극적인 목적을 둔다. 이를 위해 Ⅰ장에서는 연구의 필요성과 목적, 내용 및 방법, 제한점을 제시하였고, Ⅱ장에서는 남북한의 정치 상황을 알고, 사회적응에 대한 이해와 국내․외 다문화 현상 및 다문화 미술교육 사례를 고찰하였다. Ⅲ장에서는 북한이탈 청소년에 대한 이해를 돕고, 국내 적응과 갈등 현상을 살펴보았으며, Ⅳ장에서는 국내 북한이탈 청소년 교육 프로그램을 분석하여 미술수업 계획 모형을 제안하기 위한 근거를 마련하였다. Ⅴ장에서는 북한이탈 청소년의 남한사회 적응을 돕기 위한 미술수업을 계획하고 실제 적용 후, 청소년들의 결과물과 그에 대한 분석을 바탕으로 기대효과를 제안하고, Ⅵ장에서는 결론을 제시하였다. 본 연구자는 국내 북한이탈 청소년의 남한사회 적응을 돕기 위해 제시한 미술수업이 향후 갈등 양상을 줄이고 수월한 적응을 돕는 기초시행이 되는 것으로, 치유적 차원에서의 안정화된 실제 공교육으로 발전되어지길 바라며, 이는 한국 다문화사회 내에서 건강한 사회 통합을 돕기 위한 미술교육으로 그 효과성을 극대화하여 나아가길 기대한다.

This research is the on case study of art class for assisting domestic North Korean adolescent refugees in their adaptation to South Korean society. Today’s Korean society got to be equipped with the appearance of a multi-cultural society ca...

This research is the on case study of art class for assisting domestic North Korean adolescent refugees in their adaptation to South Korean society. Today’s Korean society got to be equipped with the appearance of a multi-cultural society caused by the movement of population and globalization under the influence of information & communications, transportation and cultural․political․economical progress; however, still remaining deep-rooted ethnocentrism, and non-receptive attitude towards foreign culture are leading the domestic multi-cultural conflict aspects into a serious state. Multi-cultural Art Education in today’s post-modern society is an effective tool in helping the trainees’ social adaptation because it provides them with an opportunity to have diverse interactions & creation, criticism and acceptance, widens an individual’s sociocultural understanding and perspective, establishes an individual’s ego identity in society, and makes it possible for one to increase the value of one’s ego identity. Hence, there is the need for the multi-cultural Art Education to be more concretely developed because the education is an essential element in North Korean adolescent refugees who are complaining of their maladjustment to schools, society and culture in South Korea, especially in the situation where the number of escaping adolescents from North Korea is explosively increasing until the present after the serious economic recession of North Korea in the 2000s. Accordingly, this -intended ultimate purpose is to suggest the expected effect on the basis of the general analysis results after planning & applying Art Education which aims to assist the North Korean adolescent refugees in their healthy social adaptation. To this end, in Chapter I, this proposed the need, purpose, contents, methods, and limitations of the research. In ChapterⅡ, this looked into the political situation of South & North Korea, grasped the social adaptation, and considered the multi-cultural phenomenon at home and abroad, and cases of multi-cultural art education. In ChapterⅢ, this addressed the necessity of having to understand North Korean adolescent refugees, and looked into their adaptation to South Korea, and conflict phenomenon. In ChapterⅣ, this arranged the basis for proposing the art class planning model by analyzing the domestic education program for North Korean adolescent refugees. In ChapterⅤ, this made a plan for the art class for North Korean adolescent refugees’s adaptation to South Korean society, suggested expected results based on the analysis of the adolescents’ output after actual application of the art class, and provided a conclusion in Chapter VI. This researcher hopes that this Art Education Program suggested in a bid to assist domestic North Korean adolescent refugees’ adaptation to South Korean society could develop into the stabilized actual public education at a healing level as a pilot program which makes it possible to reduce the future conflict aspects, and to be helpful to their easy adaptation. Also, this researcher expect that the Art Education Program suggested by this could move forward as the art education for healthy social integration in Korean multi-cultural society while maximizing its effectiveness.

免费韩语论文韩语论文范文
免费论文题目: