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자기는 예로부터 우리의 생활에서 실용적인 그릇으로 많이 사용되어 왔다. 시대가 흐르면서 점차 그 아름다움과 가치를 인정받아 생활용기에서 미적인 예술작품으로 발전하였다. 그 중 ... 도자기는 예로부터 우리의 생활에서 실용적인 그릇으로 많이 사용되어 왔다. 시대가 흐르면서 점차 그 아름다움과 가치를 인정받아 생활용기에서 미적인 예술작품으로 발전하였다. 그 중 조선시대의 달 항아리는 대표적인 예로써 군더더기 없는 순백의 미와 자연스런 비대칭적인 형태를 보여주며 우리나라의 대표적인 아름다운 작품으로 사랑받고 있다. 현재 이러한 달 항아리의 단순하고 담백한 특유의 모습이 조선시대 선비의 정신과 비유되기도 하며, 백자 항아리가 인간의 심성과 우주의 근본원리를 근간으로 하는 조선시대 성리학의 영향을 받았다고 평하기도 한다. 조선 청화백자 항아리 또한 문양의 상징성을 내포하면서 조선시대의 사상과 문화를 엿 볼 수 있는 예술품으로서 자리하고 있다. 본 연구는 한국적인 역사성과 정서를 품고 있는 백자 항아리의 조형적 특징과 전통적인 이미지의 조형성을 이 시대의 현대적인 감각과 접목하여 새로운 시각의 청화 백자 항아리를 제작하였다. 제작 과정은 전통적인 달 항아리의 성형방법과 같이 상·하를 따로 제작한 후 붙임으로 자연스러운 비대칭 형태를 유도하였고, 회화적인 표현을 ‘선’으로 제한하고 그 장식기법은 ‘상감’으로 표현하였다. 여러 도자 장식 기법 중에서 상감이 지닌 이중적인 의미로서 ‘패임’과 ‘메꿈‘으로써 공존하는 이중성을 청화 안료를 사용하여 회화적으로 표현하였다. 조선시대 항아리의 시대적 배경에 따라 변화되어가는 역사성을 사진자료를 통해 찾아보고, 선 상감 장식을 통해 회화적으로 재해석한 작품 사례를 조사하여 보았다. 이를 바탕으로 본 청화 백자 항아리 제작은 표면장식의 표현에 있어 특징적인 방법은 1차 초벌소성을 한 뒤 상감하는 방법을 제시하였다. 초벌 상태인 연질의 기 표면에 선각한 후 음각이 된 부분에 코발트 안료를 채워 넣었고, 스펀지를 사용해 표면을 닦아내면서 상감부분 효과와 주변 표면에 코발트 안료가 변화함으로써 청화 백자의 자연스러운 농담 표현이 되었다. 절제되고 거친 선 상감과 남은 여백의 공간을 효과적으로 보여준다. 전통적인 형태와 기법을 근간으로 독창적인 제작 방법과 장식 요소들을 꾸준히 연구 및 개발 한다면 그 시대성이 반영 된 예술작품이 나올 수 있다고 생각한다. 과거 조선의 백자는 그 자체로도 아름답지만, 전통의 아름다운 조형적 모티브 위에 현대의 회화적 요소를 더한다면 과거와 현재를 소통하는 모습으로 재해석될 것이다. 과거의 기법에만 머무르는 것이 아니라, 현대적인 감각으로 기술과 표현을 접목시킨다면 ‘법고창신’의 머물러 있는 전통이 아닌 순환하는 전통이 되어 과거와 현재가 공존하고 우리의 문화를 지켜가는 길이 될 수 있을 것이라 생각한다. 선 상감의 청화 백자 항아리 제작 연구를 통하여 현대적 도자의 조형의 시도가 새로운 전통의 계승발전에 일조가 되길 바란다.
Pottery has been used as a practical bowl in our lives from the past. As time goes y, its beauty and value was appreciated and it was developed from living vessel to Aesthetic art work. The moon jar of Joseon Dynasty is a representative example, and i... Pottery has been used as a practical bowl in our lives from the past. As time goes y, its beauty and value was appreciated and it was developed from living vessel to Aesthetic art work. The moon jar of Joseon Dynasty is a representative example, and it shows a pure white beauty and natural asymmetrical form and it is being loved as representative beautiful works of Korea. Currently this unique simple and light features of moon jar is being comparing to spirit of classical scholars of Joseon Dynasty, and there is a comment that white porcelain jar is affected by Neo-Confucianism in the Joseon Dynasty which is based on the human mind and the fundamental principle of the universe. As white & blue porcelain jar of Joseon Dynasty also involves symbol of the pattern, it is being settled as an art work with thoughts and culture of Joseon Dynasty. For this study, white & blue white porcelain jar with a new perspective by integrating formative feature and formality of traditional images of white porcelain jar with Korean history and emotions into a modern sense of the present age. As a production process, just like molding method of traditional moon jar, by making the upper and the bottom separately and attaching them each other, natural asymmetric form was induced, and a pictorial expression was limited with the 'line' and its decoration technique was expressed with ‘inlay’. Among various ceramic techniques, as a dual meaning that inlaid work has, by applying duplicity that combines ‘Caved’ and ‘Filled in‘ on white & blue pigment, malerisch expression was shown. The historicity that changes according to a historical background of Joseon Dynasty jar was searched through photo resources and work cases that were re-interpreted in a malerisch way through line inlaid decorations were researched. Based on this, this white & blue porcelain jar production suggests inlaid after first priming as a characteristic method when it comes to expressing surface decoration. After pre-graving the surface of soft primitive state and filling the engraved part with cobalt pigment, the surface will be cleaned with the sponge then there will be inlaid effect and cobalt pigment around surface will be changed resulting in natural light and shade expression of white & blue porcelains. Abstracted and rough line inlaid and space of margin are effectively shown. With the continuous study and development of Unique production methods and decorative elements with traditional forms and techniques, it is thought that the art works with trend of the times can be made. The white porcelain of Joseon Dynasty is beautiful as it is, but if contemporary painting elements are added to the traditional beautiful formative motif, then it will be re-interpreted as a communion between the past and the present. rather than staying on the past techniques, if technology and expression with a modern sense is combined, rather than the tradition with 'creating the new by imitating the past', circulating traditions with co-existence of the past and the present can be made to preserve our cultures. Through white & blue porcelain jar production with line inlaid, it is hoped that the trial of molding of modern ceramics will contribute to succession development as a new tradition. ,免费韩语论文,韩语论文网站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