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청소년들의 외상후 성장에 관한 개념도 연구 및 타당화 연구로서, 경기도 S시의 청소년들 중 관계 상실 외상을 경험한 뒤 외상후 성장을 이룬 청소년들을 대상으로 무엇이 성장에 ... 본 연구는 청소년들의 외상후 성장에 관한 개념도 연구 및 타당화 연구로서, 경기도 S시의 청소년들 중 관계 상실 외상을 경험한 뒤 외상후 성장을 이룬 청소년들을 대상으로 무엇이 성장에 도움을 주었는지 경험적으로 밝히고자 했다. 질적 연구 방법과 양적 연구방법을 결합한 개념도 연구방법을 적용하였으며, 개념도 연구 결과 밝혀진 성장 변인들에 대한 타당화 연구를 비모수 통계방법으로 검증하였다. 첫 번째 연구 1은 청소년의 외상후 성장에 관한 개념도 연구로써, 총 8명의 외상후 성장을 이룬 청소년을 대상으로 심층 면접을 실시하였다. 면담의 내용을 문장으로 정리하였고, 그 결과 총 38개의 핵심문항이 도출되었으며, 연구 참여자들이 직접 이 문항들을 분류하였다. 연구 참여자들이 직접 분류한 결과를 다차원 척도법과 위계적 군집분석을 이용하여 개념도를 작성하였다. 차원은 총 2가지로, 인지․정서적 관여-행동적 관여와 개인적 요인-사회문화적 요인으로 구성되었다. 군집 및 범주는 총 4가지로 도출되었으며, 연구 참여자들이 직접 중요도를 5점 리커트 척도로 평정한 결과, 가족들의 의지 및 책임감’ - ‘개인적 목표달성 및 성취감’ - ‘수용과 의미탐색’ - ‘사회적 지지와 스트레스 해소활동’ 순으로 나타났다. 두 번째, 연구 2에서는 개념도 연구에서 밝혀진 성장 변인들을 새로운 비모수 검정을 통해 타당화 하였다. 관계상실 외상을 경험한 새로운 성장 집단과 비성장 집단을 각각 8명씩 선정하여, 기존의 개념도 연구에서 인터뷰를 통해 밝혀진 성장변인 38문항에 대한 중요도를 확인하였다. 그 결과 성장 집단이 비성장 집단보다 순위가 높았으며, 군집 4개 모두 성장 집단과 비성장 집단의 차이가 95%신뢰도 구간에서 유의하였다. 본 연구는 청소년의 외상후 성장이 가능하다는 것과 성장에 도움이 되는 변인들을 실증적이고 경험적인 방식으로 밝혀냈다는 것에 의의가 있다. 나아가 새로운 연구 참여자들을 대상으로 비모수 검정을 통해 개념도 연구결과 얻어진 변인들을 타당화 하였다. 그 결과 새로운 성장 집단과 비성장 집단은 외상후 성장 변인들에 대한 순위에 있어 유의한 차이를 보여, 개념도 연구를 통해 밝혀진 4가지 변인의 유효성을 다시 한 번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상담 및 심리치료에의 적용에 있어서 본 연구는 외상을 경험한 청소년 내담자들의 성장을 촉진할 수 있는 개입방향에 대한 함의를 제공한다. 방법론적인 면에서 청소년들의 외상후 성장에 중요한 변인들에 대한 구체적 내용을 확인하고, 이를 객관적으로 기술하는 개념도 방법을 이용하고 나아가 새로운 표본을 통해 한 번 더 검증 하였다는데 의의가 있다. 끝으로, 본 연구가 가지는 제한점들과 추후 연구에 대한 제언을 제시하였다.
This study is both a concept mapping study and a validity study on the posttraumatic growth of adolescents. It aims to empirically determine major contributors to the posttraumatic growth of adolescents, as a concept mapping study and a validity study... This study is both a concept mapping study and a validity study on the posttraumatic growth of adolescents. It aims to empirically determine major contributors to the posttraumatic growth of adolescents, as a concept mapping study and a validity study. The researchers employed the mixed-concept mapping methods that combined both qualitatively and quantitatively, and used non-parametric statistics test to verify the validity of research on factors of posttraumatic growth that were revealed according to the concept mapping method. First of all, the researchers of the first study, which was a concept mapping study on the posttraumatic growth of eight adolescents, conducted in-depth interviews with the subjects, who were ed to achieve the posttraumatic growth. The researchers summarized them into 38 core components, and created a concept map with multidimensional scaling and hierarchical cluster analysis. The result showed that two dimensions consisted of cognitive․affective-behavioral engagement and personal-sociocultural factor. The four clusters were evaluated with 5-point Likert scales (1 = strongly disagree to 5 = strongly agree) for subjects to show how important each cluster was to the individual’s context. The result referred to “willingness and responsibility of family members” as the most significant, followed by “the attainment of personal goals and a sense of achievement”, “acceptance and searching for meaning” and “social support and stress relief activities”. Next, the second study sought to validate factors of posttraumatic growth that were revealed in the concept mapping method through a new non-parametric statistics test. In this study, the 38 core components of growth variables drawn from the previous concept mapping, were introduced to identify the importance to two groups, one of which consisted of an eight people of growth group, and the other an eight people of non-growth group. The result indicated that the growth group was ranked higher than the non-growth group, and the difference in the four clusters was significant between the two groups. This study gives significant evidence of an increased probability of the adolescents’ posttraumatic growth and some variables conducive to posttraumatic growth through the practical and empirical analysis. Furthermore, with 16 newly recruited participants, it validates the four variables drawn from the previous concept mapping through non-parametric statistics test. As a result, the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ranks of the variables of the posttraumatic growth was identified among a new growth group and a new non-growth group, which reconfirms the validity of the four variables. Also, it provides an implication for the effective intervention of counseling and psychotherapy to accelerate the posttraumatic growth of the adolescents who experienced relational losses. Thirdly, it not only offers the enriched narratives of the significant variables for the posttraumatic growth of the adolescents, but also employs the concept mapping method for the objective description, verifying the results of the first study in the second study with two extra groups of adolescents. Lastly, it presents the limitations of this study and the suggestion for further research. ,韩语论文范文,韩语论文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