요 약 문화예술교육으로서의 사진 교육프로그램이 중학생의 자기 표현력 및 자아존중감에 미치는 효과 이 연구의 목적은 문화예술교육으로서의 사진 교육프로그램이 중학생의 자기 표... 요 약 문화예술교육으로서의 사진 교육프로그램이 중학생의 자기 표현력 및 자아존중감에 미치는 효과 이 연구의 목적은 문화예술교육으로서의 사진 교육프로그램이 중학생의 자기 표현력과 자아존중감에 미치는 효과를 실증적으로 검증해보기 위함에 있다. 이러한 연구 목적을 위하여 충북 C 시에 소재하는 J 중학교 1학년 40명을 대상으로 자유학기제 사진동아리를 신청한 학생 20명을 실험집단으로 하고 동일학교 동일학년 사진동아리를 신청하지 않은 학생 20명을 통제집단으로 각각 구성하였다. 2016년 8월부터 11월까지 실험집단에만 1회기 90분씩 매주 10회기 동안 사진 프로그램을 진행하였다. 프로그램의 효과성을 알아보기 위하여 사진 교육프로그램 실행 전·후 두 집단에 자기 표현력 및 자아존중감 검사를 실시하여 실행전과 후의 변화를 살펴보았다. 이 연구에 사용된 자기 표현력 측정 도구는 Rokos와 Schroeder(1979)가 제작한 주장 행동 척도를 변창진과 김성희(1980)가 재구성한 것에 박숙영(2002)이 5단계 척도법을 적용해 사용한 자기 표현력 검사지를 이용하였다. 자아존중감 측정 도구는 Coopersmith(1967), Pope, McChale & Craig-head(1988)의 연구를 참조하여 최보가와 전귀연(1993)이 청소년의 실정에 맞게 수정·보완하여 개발한 척도를 최영미(2012)의 연구에서 사용한 도구이다. 이 연구에 사용된 검사 도구와 수집된 자료의 처리를 위하여 SPSS 24.0프로그램을 이용하였고 사전·사후 비교분석을 위한 독립표본 t-test를 실시하였다. 이와 같은 연구방법을 활용하여 이 연구에서는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을 수 있었다. 첫째, 자기 표현력 척도검사에서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의 집단 간 차이를 분석한 결과 실험집단의 자기 표현력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발견되었다. 이러한 결과는 문화예술교육으로서의 사진 교육프로그램이 중학생의 자기 표현력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음을 알 수 있다. 둘째, 자아존중감에 대한 효과성 면에서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의 집단 간 차이를 분석한 결과 전체 자아존중감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발견되었다. 그러므로 문화예술교육으로서의 사진 교육프로그램이 중학생의 자아존중감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다고 볼 수 있다.
Abstract The Effect of Photography Education Program as Culture and Art Education on Middle School Students' Self-Expression and Self-Esteem Gyeong –Ju Jeon Major in Counseling Psychology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The Korea National U... Abstract The Effect of Photography Education Program as Culture and Art Education on Middle School Students' Self-Expression and Self-Esteem Gyeong –Ju Jeon Major in Counseling Psychology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The Korea National University of Transportation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mpirically verify the effect of photography education program as culture and art education on the self-expression and self-esteem of middle school students. For this purpose, 40 first graders of J middle school in C city, Chungcheongbuk-do, were selected as study subjects, and then divided into two groups: 20 students who applied for a photography club for their free semester were classified into experimental group while the rest 20 who did not join the club as control group. The photography education program was implemented from August to November, 2016, only in the experimental group, with 10 sessions a week and for 90 minutes per session. To examine the effectiveness of the program, the tests to evaluate self-expression and self-esteem were conducted to the two groups before and after the program. The self-expression test instrument used in this study was the self-expression questionnaire used by Park, Suk-yeong (2002) who applied a 1-to-5 scale to Byeon, Chang-jin and Kim, Seong-hui (1980)'s restructured version of the assertive behavior scale created by Rokos and Schroeder (1979). The self-esteem test instrument used in this study was the scale used in the study of Choi, Yeong-mi (2012), which was developed by Choi, Bo-ga and Jeon, Gwi-yeon (1993) by adjusting and supplementing the existing ones based on the studies of Coopersmith (1967) and Pope, McChale & Craighead (1998). For the processing of the data collected by the above test instruments, the SPSS 24.0 program was used. An independent sample T-test for a comparative analysis on the results of the pre- and post-tests was conducted. Using this study methods, this study obtained the following conclusions. First, as a result of an analysis on the difference between the experimental group and control group,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was found in the self-expression levels of the experimental group. Second, in terms of the effectiveness on self-esteem, there wa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experimental group and control group in total self-esteem,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differences between the two group. ,韩语论文题目,韩语论文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