방재측면에서 바라본 마을숲의 경관구조에 관한 연구 : 완도 해안지역의 마을숲을 대상으로 [韩语论文]

资料分类免费韩语论文 责任编辑:金一助教更新时间:2017-04-28
提示:本资料为网络收集免费论文,存在不完整性。建议下载本站其它完整的收费论文。使用可通过查重系统的论文,才是您毕业的保障。

In Korea, people used to build a Maeul-forest for many years. A Maeul-forest was originally built to serve certain purposes in terms of local culture, feng shui, and indigenous religion and even performed the functions of preventing a disaster and hel...

In Korea, people used to build a Maeul-forest for many years. A Maeul-forest was originally built to serve certain purposes in terms of local culture, feng shui, and indigenous religion and even performed the functions of preventing a disaster and helping people. In other words, ancestors planted pine trees, willows and other trees along the coast, bank of a river, and waterway and around the village to protect their living environment from natural disasters including tsunami and winds. Maeul-forests were built in the various cultural backgrounds of areas based on their natural environments and thus hold important significance in the formation of landscape structure. This study thus set out to examine the landscape structure of Maeul-forests, which were built by the ancestors to prepare for natural disasters, from the perspective of disaster prevention and through the spatial composition of Maeul-forests and the components of landscape. The research scope included the remaining Maeul-forests along the coasts in Wando-gun, Jeonnam Province. The findings made the followings apparent: First, the analysis results of landscape components of Maeul-forests identified two types of overall arrangement structure: ① the sea-the coast-the forest-(the road)-the village-the farmland-the mountain in the back, and ② the sea-the coast-the forest-the farmland-(the road)-the village-the farmland-the mountain in the back. Secondly, the analysis results of landscape structure of Maeul-forests from the perspective of disaster prevention show that the viewing angle from the coast to the forest-(the road)-the village-the farmland-the mountain in the back was 16∼17° in Type Ⅰ and that the viewing angle from the coast to the forest-the farmland-(the road)-the village-the farmland-the mountain in the back was 7∼9° in Type Ⅱ, which indicates different results according to different landscape structures. Finally, there was no direct connection between the width of traditional Maeul-forests in Korea and their disaster prevention function unlike artificial coastal disaster prevention forests whose effects of protecting against the winds differed according to the width of forest belt.

우리나라에서는 예전부터 조성해온 마을숲이라는 것이 있으며, 이 숲은 원래 지역문화 및 풍수, 토착신앙 등의 목적으로 만들어진 것이었으며, 그 외에 방재 및 방조 등의 기능까지도 보유...

우리나라에서는 예전부터 조성해온 마을숲이라는 것이 있으며, 이 숲은 원래 지역문화 및 풍수, 토착신앙 등의 목적으로 만들어진 것이었으며, 그 외에 방재 및 방조 등의 기능까지도 보유하고 있었다. 즉, 선조들은 해일과 바람 등 자연재해로부터 우리의 생활환경을 보호하기 위해 해안 및 하천제방과 수로변, 마을 주위에 소나무, 버드나무 등을 식재해 왔던 것이다. 자연환경을 바탕으로 지역의 다양한 문화적 배경 속에서 마을숲은 형성되었고 이로 인해 경관구조를 형성하는 측면에서 중요한 의미를 갖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우리 선조들이 자연재해에 대비해왔던 마을숲을 대상으로 방재측면에서 바라본 마을숲의 경관구조에 관한 연구로 마을숲 공간구성 및 경관구성요소 등을 통해 경관구조를 살펴볼 목적으로 연구를 진행하였다. 연구의 범위는 전남 완도군을 대상으로 현존하는 마을숲 중 해안지역에 위치하는 것을 선별하여 조사하였다. 연구를 통해 명백해진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마을숲의 경관구성요소 분석을 통해 나타난 전체적인 배치구조는 ① 바다-해안-숲-(도로)-마을-농경지-배후산, ② 바다-해안-숲-농경지-(도로)-마을-농경지-배후산의 2가지 유형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방재측면에서 본 마을숲의 경관구조 분석에서는 Type Ⅰ에서는 해안에서 숲-(도로)-마을-농경지-배후산으로 이어지는 조망각도가 16∼17°였으며, Type Ⅱ에서는 해안에서 숲-농경지-(도로)-마을-농경지-배후산에서는 7∼9°로 경관구조에 따라 달라지는 결과가 도출되었다. 셋째, 수림대의 폭에 따라 방풍효과가 크게 달라지는 인공적인 해안방재림과는 달리, 우리나라의 전통마을숲은 숲의 폭과 방재 기능과는 직접적인 연관성이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韩语论文范文韩语论文
免费论文题目: