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스플레이 색채 환경의 밝기(Brightness) 변화에 따른 시각피로도 연구 [韩语论文]

资料分类免费韩语论文 责任编辑:金一助教更新时间:2017-04-28
提示:本资料为网络收集免费论文,存在不完整性。建议下载本站其它完整的收费论文。使用可通过查重系统的论文,才是您毕业的保障。

통신기술의 발전으로 모바일 디바이스는 이미 주된 사용계층을 넘어 전 연령대에 걸쳐 생활화되었다. 기술의 보편화는 개인의 생활을 편리하게 하였으나 동시에 과도한 사용으로 인한 중독...

통신기술의 발전으로 모바일 디바이스는 이미 주된 사용계층을 넘어 전 연령대에 걸쳐 생활화되었다. 기술의 보편화는 개인의 생활을 편리하게 하였으나 동시에 과도한 사용으로 인한 중독증상과 신체적 부작용이 사회적 문제로 대두되고 있다. 특히 모바일 디바이스는 작은 화면을 근거리에서 응시하는 사용 환경의 특성으로 인하여 시각 피로(visual fatigue)자각 증상이 빠른 편이다. 모바일 디바이스 디스플레이상에서의 채는 심리적, 심미적 요소부터 시각피로와 같은 생리적 요소에 이르기까지 폭넓게 영향력을 미친다. 따라서 모바일 디바이스에서 재현되는 디지털채의 중요성은 점차 커지고 있다. 현재 관련 연구는 색 재현이나 화질 선호도의 화질지향 측면과 배경색, 색온도, 가독성, 배색 등에 관련한 시각적 요소의 연구가 많이 이루어지고 있으며 시각피로 연구의 경우 색채를 고려하지 않은 단편적인 생리적 현상 측정 방식이 주를 이루고 있다. 따라서 모바일 디바이스 사용자의 생리적 부담을 덜기 위한 연구가 색채 중심으로 고려되어 발전되어야 할 필요성이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은 모바일 디바이스 디스플레이 배경의 밝기(brightness)에 따른 입력영상별 시각 피로도를 생리적 시각피로 항목과 색채 인지 속성 선호도 항목으로 평가하여 알아보고 각 입력영상별로 시각피로를 줄이는 밝기(brightness)를 규명하는 것이다. 실험방법은 특성화(characterization)된 모바일 디바이스를 사용하여 외부 자극이 없는 암실환경에서 20-30대 남·여 24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자극물의 입력영상 종류는 텍스트, 정지영상(사진, 색), 동영상을 사용하였다. 배경의 밝기에 따른 입력영상별 시각피로도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입력영상의 종류에 따라 시각 피로도를 자각하는 밝기의 경향이 각기 다른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는 입력영상의 종류가 모바일 디바이스 사용자에게 발생하는 생리적 시각피로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임을 알 수 있다. 둘째, 입력영상의 종류에 따른 시각피로도의 경향과 색채 인지 속성 선호도 경향이 유사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셋째, 색상별로 피로도와 색채인지 속성 선호도 실험 분석 결과의 차이가 있었다. 모든 밝기영역에서 가장 피로도가 높은 색상은 노랑(Y)으로 나타났으며 난색계열 노랑(Y), 빨강(R)이 한색계열 파랑(B), 중성색 초록(G), 보라(P)에 비해 더 피로함을 알 수 있었다. 이 결과는 색상이 가장 잘 인지되는 밝기 조사의 결과와 유사한 것으로 나타났다. 즉 색이 잘 인지되는 밝기 영역과 피로도와 선호도의 경향성이 같음을 알 수 있었다. 넷째, 입력영상의 종류에 따라 선호하는 배경의 밝기에 대한 결과가 입력영상별 피로도평가의 종합 결과와 유사한 범위임을 알 수 있었다. 본 연구의 결과, 모바일 디바이스 환경에서 배경의 밝기 변화에 따라 입력영상별로 사용자의 시각피로와 색채인지 선호도가 다른 것을 알 수 있었다. 이는 모바일 디바이스 사용에 있어 시각피로를 저감하는데 색채가 중심이 되어 핵심적인 역할을 한다는 것을 시사한다. 향후 본 연구의 결과가 모바일 디바이스 디스플레이상에서 입력영상별로 피로도를 절감하는 자동밝기 조절 소프트웨어 구현의 기초 자료로 사용되거나 디스플레이 색채 관련 연구, 제품개발에 의미 있는 자료로 사용될 수 있기를 기대한다.

Because of the advancement in communication technology, the use of a mobile device is common across all age groups. The generalization of technology has made an individual’s daily life convenient; however, its overuse has resulted in addiction and p...

Because of the advancement in communication technology, the use of a mobile device is common across all age groups. The generalization of technology has made an individual’s daily life convenient; however, its overuse has resulted in addiction and physical adverse effects, which have become social problems. Particularly, because a mobile device is customized to the environment of its usage, which is staring at a small monitor within a short distance, symptoms of visual fatigue appear quickly. Colors on a mobile device display broadly affect psychological, aesthetic, and physiological factors such as visual fatigue. Therefore, the significance of digital colors reemerging on a mobile device is gradually increasing. Currently, a relevant study has been performed on image quality preference or color reproduction, and relevant visual factors such as background color, color temperature, legibility, and color harmony. There is currently no method that measures visual fatigue with respect to colors. Therefore, studies to reduce physiological burden of mobile device users, particularly considering colors, should be performed.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visual fatigue for input images according to the brightness of the mobile device display by evaluating physiological visual fatigue and different color recognition and preference, and to find the brightness level that would reduce visual fatigue for each input image. Twenty-four men and women aged 20–30 years participated in this study and the experiments were performed in a dark room without external stimuli using a characterized mobile device. For the types of input images as stimuli, text, still images (photo, color), and videos were used. The results of the evaluation of visual fatigue per input image according to the brightness of the background were as follows. First, it was found that the level of brightness needed for self-awareness of visual fatigue was different according to image inputs. This indicates that the type of input images affects physiological visual fatigue, which develops in mobile device users. Second, it was found that the pattern of visual fatigue and the pattern of different color recognition and preference according to the type of input images were similar. Third, there was a difference in experimental analysis results in the degree of fatigue and different color recognition and preference for each color. In all ranges of brightness, the highest fatigue was with yellow (Y), which was higher than warm colors such as red (R), and cold colors such as blue (B), and neutral colors such as green (G) and purple (P). This result was found to be similar to the result of the investigation on brightness for better recognition of colors. In other words, it was found that the brightness range to recognize colors, the degree of fatigue, and patterns of preference were similar. Fourth, it was found that the background brightness preferred for the type of input images was in a similar range to the comprehensive results of fatigue assessment for each input image.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it was found that the change in the background brightness in mobile device environment affected the visual fatigue of users according to each input image and color recognition preference. This suggests that color plays a significant role in reducing visual fatigue while using a mobile device. It is expected that the results of this study would be used as preliminary data to develop software for automatic control of brightness to reduce fatigue for each input image on a mobile device display, or as significant data for the study related to display colors and product development.

韩语毕业论文韩语毕业论文
免费论文题目: