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년세대의 갈등유형과 소수자 미디어교육 경험에 대한 현상학적 연구: : 들뢰즈와 가타리의 소수자론과 푸코의 주체구성론을 중심으로 [韩语论文]

资料分类免费韩语论文 责任编辑:金一助教更新时间:2017-04-28
提示:本资料为网络收集免费论文,存在不完整性。建议下载本站其它完整的收费论文。使用可通过查重系统的论文,才是您毕业的保障。

본 연구는 급속한 고령화 사회의 노년세대에 나타나고 있는 갈등의 양상과 유형을 통찰하고, 노인의 소수자미디어교육 경험을 통한 본질적 의미를 도출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한 연구방법...

본 연구는 급속한 고령화 사회의 노년세대에 나타나고 있는 갈등의 양상과 유형을 통찰하고, 노인의 소수자미디어교육 경험을 통한 본질적 의미를 도출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한 연구방법으로 현상학적 분석틀을 이용하였으며, 이론적 배경으로 소수자의 시대가 도래하고 있음을 주장한 후기구조주의 프랑스 철학자 질 들뢰즈(Gilles Deleuze)와 펠릭스 가타리(Félix Guattari)의 사유와 더불어, 동일자와 타자의 경계의 해체를 통해 다양한 문화적 조건과 생성의 과정을 권력으로 규정짓고 분석한 미셀 푸코의 사유를 관통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고령화 사회 속의 노인, 그리고 다문화 이주민들, 젠더적 관점에서의 주부, 노인여성과 같은 이른바 사회적 소수자를 대상으로 하는 미디어교육의 현장들을 두루 살피고 그 특성에 따른 대안적 실천 방안을 통해 세대 간, 계층 간 차이를 좁혀 사회적 갈등 해소의 방안을 찾고자 함에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연구참여자들의 심층인터뷰를 통해 추출한 진술의 목록을 ‘젠더갈등’, ‘다문화 고부간 갈등’, ‘세대갈등 그리고 소수자미디어교육을 통한 갈등해소’로 분류하였다. 우선 젠더갈등은 가부장적 규범에 대한 도전과 여성의 이중노동, 교육기회와 경제활동의 확대로 인한 갈등으로 나타났으며, 노인여성이 기존의 틀을 깨고 나오는 계기로 작용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다음으로, 다문화 고부간 갈등에서 주목할 부분은 다문화 가정 내의 외국인 며느리보다 시어머니 즉, 노인여성이 더욱 소수자적 편견과 차별의 대상이 되고 있다는 것이다. 마지막으로 세대갈등은 기존의 세대 간 이해 부족과 편견이 더해진 사회적 갈등 이른바, 조직 내에서의 유교적 장유유서(長幼有序)의 갈등해소를 위한 인식 전환이 필요함을 도출할 수 있었다. 이것은 노년세대 스스로가 미디어교육을 통한 점진적 갈등해소의 주체가 되어야 하는 필요성을 인식시킬 뿐만 아니라 실천으로 이어지고 있었다. 이들은 미디어교육을 통해 디지털로 소통함에 익숙해지며, 이러한 소통방식의 변화는 보다 생산적이고 적극적인 주체적 신노년의 삶을 살아가게 하고 있다. 연구를 통해 확인할 수 있는 가장 중요한 것은, 고령화 사회를 살아가고 있는 노인들의 인식 전환에 기반이 된 노인 시민성이다. 노인 시민성은 절로 갖추어지는 것이 아니라, 교육이 수반되어야 한다. 이는 구체적으로 영상과 접목된 미디어교육을 통해 다양한 세대가 공존하는 고령화 사회에서 배제와 소외의 대상으로서의 노인이 아닌 시대의 동반자적 인식의 전환을 이끌어내야 함을 의미하는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iscern the aspects and types of conflicts found in the aged generation in this aging society rapidly growing and draw the fundamental meaning of minority media education experience in the aged. As a study method, a ph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iscern the aspects and types of conflicts found in the aged generation in this aging society rapidly growing and draw the fundamental meaning of minority media education experience in the aged. As a study method, a phenomenological analysis frame is employed. As its theoretical background, this author attempts to see through the thoughts of Gilles Deleuze and Félix Guattari, French philosophers of post-structuralism claiming that the age of minority is coming and also the thoughts of Michel Foucault defining various cultural conditions and processes of generation as power by breaking the border between the same and the others and performing analysis. This researcher is going to examine thoroughly the actual fields of media education targeting so-called minority of the society such as the aged in aging society, multicultural immigrants, housewives in the gender perspective, and aged women and devise alterative plans according to their characteristics in order to narrow the gap between generations and between social strata and resolve conflicts in the society. To attain the goal, this study classifies the list of statements extracted from an in-depth interview to the participants into ‘gender conflicts’, ‘multicultural mothers-in-law and daughters-in-law’s conflicts’, ‘generation conflicts’, and ‘resolving conflicts through minority media education’.
First of all, gender conflicts include challenging to patriarchal norms and women’s dual labor and conflicts attributed to the increase of educational opportunity and economic activity, and it works as a factor that makes aged women break the existing frame and come out of it. Next, what we need to focus on in multicultural mothers-in-law and daughters-in-law’s conflicts is that not the foreign daughters-in-law in multicultural families but the mothers-in-law who are aged women are more subject to minority prejudice and discrimination. Lastly, generation conflicts are social conflicts resulted from prejudice added to the existing lack of understanding between generations, so it is needed to change our recognition to resolve conflicts attributed to the Confucian principle of ‘Elders First’ in an organization. This allows the aged generation themselves to recognize the necessity to be the subject resolving the conflicts gradually through media education, and it leads to practice as well. Through media education, they are getting used to digital communication, and such alteration of communication modes lets them live more productively, positively, and autonomously as a new aged group. The most important result found in this study is that what forms the ground in changing the recognition of the aged living in this aging society is citizenship of the aged. Citizenship of the aged cannot be gained naturally, but education needs to be added. It implies that media education combined with graphic images is provided to change our recognition on the aged not as the subjects of exclusion and alienation but as companions in this aging society in which many generations coexist.

韩语论文韩语论文题目
免费论文题目: