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과 중국은 지리적으로 서로 접해 있기 때문에 예로부터 정치, 경제, 문화 등 여러 면에서 밀접한 관계를 맺어 왔다. 역사적으로 중국의 문화와 문물이 한국으로 유입되었다. 특히 중국의...
한국과 중국은 지리적으로 서로 접해 있기 때문에 예로부터 정치, 경제, 문화 등 여러 면에서 밀접한 관계를 맺어 왔다. 역사적으로 중국의 문화와 문물이 한국으로 유입되었다. 특히 중국의 문자인 한자는 한국어의 어휘체계에 많은 영향을 주었다.
한국어는 고유어, 한자어, 외래어로 이루어져 있다. 이중에서 한자어는 오랜 세월에 걸쳐 한국에 유입되어 쓰이는 동안 중국 한자음으로 읽히지 않고 한국어 음운 체계에 동화되어 한국 한자음으로 읽고 있다. 한자어는 중국어에서 차용된 것이지만 한국어체계에서 보통 외래어나 차용어에 포함시키지 않고 이를 따로 ‘한자어’라고 부른다. 한국에 한자어가 처음 들어왔을 때 그 모습은 중국어와 같았다고 말할 수 있다. 그러나 한국의 언어적 상황과 사회적 환경에 맞게 사용할 수 있도록 한자어를 운용함에 따라 그 의미와 형태, 그리고 용법에서 중국과는 다른 모습을 가지게 되었다. 또한 한문(漢文)적 소양을 토대로 한국 자체 내에서 고유 한자어를 만들어 사용하기도 했으며, 중국 외에 한자를 사용하고 있는 제3국인 일본어의 영향으로 한자어에 많은 변화가 생겼다.
한편 한자의 본고장인 중국에서도 시대의 변천에 따라 새로운 어휘를 계속하여 창조해 내는 한편 기존에 있던 어휘의 의미와 형태가 지속적으로 변화되면서 현대 중국어의 모습 또한 많이 달라졌다.
중국어와 한국어에는 모두 접두사가 존재하지만 한국어는 한자어 접두사와 고유어 접두사로 나뉘어 존재한다. 그리고 한국어의 한자어 접두사에서 중국어 접두사와의 공통점이 많이 발견되지만 차이점도 많은 것을 볼 수 있다. 현대 한국어의 문법 체계에 접두사의 부분에 대한 논쟁이 있지만, 중국어의 접두사 체계와 비교했을 때 상대적으로 안정적인 것을 볼 수 있다.
본고에서는 한국 한자어 접두사에 대한 의미와 용법을 종합적으로 고찰하고, 이를 바탕으로 한국어와 중국어의 대조하여 규명하고자 하며, 중국어 접두사의 불완전 현황에서 용법이 같은 허사도 함께 논의할 것이다.
본 연구는 한국어를 배우는 중국인을 대상으로 효율적인 한․중 접두사 비교연구를 모색하고, 한국어를 공부하는 학습자에게 도움이 될 수 있도록 하는데 목적을 둔다.
,韩语论文范文,韩语论文题目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