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과 중국의 어문 규범에 대한 연구 [韩语论文]

资料分类免费韩语论文 责任编辑:金一助教更新时间:2017-04-26
提示:本资料为网络收集免费论文,存在不完整性。建议下载本站其它完整的收费论文。使用可通过查重系统的论文,才是您毕业的保障。

A Study on Language Standard of Korea and China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compare the Language Policy and Language Standard between Korea and China in order to identity the similarity and difference in structure and contents. Regarding to t...

A Study on Language Standard of Korea and China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compare the Language Policy and Language Standard between Korea and China in order to identity the similarity and difference in structure and contents. Regarding to these findings, possible suggestions which aim to improve Language Standards in both countries were also discussed.
In Chapter One, the purpose and the significance of the Study on Language Standard of Korea and China were presented with reviewing and summarizing previous studies. There were many studies on Language Standard of Korea and China which showed the importance of the Language Standard education. As the comparative study about this research hadn't been developed well, this research is seemed to be more necessary and had a great research value.
In Chapter Two, the concept and characteristic of Language Policy was examined in a macroscopic view, and the discussion was focused on the concept, characteristic, situation, task about the similarities and differences of those two countries' Language Policy in political aspect. The Language Policy of those two countries was enacted and promulgated by government in common. However, the difference of linguistic typology and character system between Korean and Chinese aroused the Language Policy's differ in several aspects.
In chapter Three, the characteristic and structure of Language Standard which played an important role in the Language Policy of both countries was compared and analyzed in a microscopic view. The structures of Language Standard of both countries were divided into two parts in common: 'Language Standard on pronunciation' and 'Language Standard on orthography'. Each part would be compared and examined in order to analyze the structural and contextual features for both countries' Language Standard.
In chapter Four, the foregoing discussion was summarized and the conclusion in this was pointed out. Based on foregoing study, improvement suggestions on Language Standard of both countries were proposed as follows:
Firstly, the Study on Language Standard which was combined with Korean Linguistics, Sociolinguistics, Policy Sciences need to have a more integrated approach. Secondly, the discrepancy between contents and usages of Language Standard need to be reduced. Thirdly, as the education on Language Standard had a close connection with school grammar, it is highly desirable that the knowledge of Language Standard should have some connection with grammatical knowledge. Fourthly, problems arising from Mother Tongue Interference on Teaching Korean as a Second Language occurred frequently, the education of Language Standard as a Second Language need to be considered as the typological differences between Target Language and the Leaner's Mother Tongue. Fifthly, a study on teaching-learning strategies on some difficult contents of Language Standard should be explored immediately.

연구한국과 중국의 언어 정책, 어문 규범 정책, 그리고 어문 규범의 성격 및 체계를 비교함으로써 체계상의 공통점과 차이점을 밝히고 언어 유형적 차이로 인해 생기는 일부 내용상의 ...

연구한국과 중국의 언어 정책, 어문 규범 정책, 그리고 어문 규범의 성격 및 체계를 비교함으로써 체계상의 공통점과 차이점을 밝히고 언어 유형적 차이로 인해 생기는 일부 내용상의 차이를 검토하며, 어문 규범 체계와 내용에 존재하고 있는 문제점을 제시하였다.
1장에서는 한ㆍ중 양국 어문 규범에 대한 비교의 필요성을 밝히고 연구 대상 및 연구 방법을 제시한 후, 한ㆍ중 양국 어문 정책 및 어문 규범에 대한 선행 연구를 검토하고 정리하였다. 그 결과 한국과 중국은 어문 정책 및 어문 규범에 대한 연구가 많고 어문 규범 교육을 중시하지만 한ㆍ중 양국의 어문 정책이나 어문 규범에 대한 비교 연구는 아직 이루어지지 못하여 연구가 필요하다는 것을 밝혔다.
2장에서는 거시적 차원에서 언어 정책의 개념과 성격에 대하여 살펴보았고, 한국의 국어 정책과 중국의 어문 정책의 개념, 성격, 현황, 과제를 중심으로 논의를 하였고 한ㆍ중 양국의 언어 정책적 측면에 나타난 공통점과 차이점을 제시하였다. 한ㆍ중 양국의 언어 정책은 모두 국가 차원에서 정부가 주도하는 일정한 정치적인 과정을 거쳐 자국민의 의사소통에 두루 쓰이는 언어를 규정한 것이다. 또한 언어 정책을 확립하기 위해 한ㆍ중 양국은 모두 언어에 관련된 법령을 제정하고 반포하였다. 한편, 한ㆍ중 양국은 자국어 정책에 대한 용어 사용에서 차이를 보이며, 한국과 중국의 언어 정책은 언어 유형적인 차이와 문자 체계의 차이로 인해 내용 측면에서 공통점보다 차이점을 많이 지니고 있다. 이에 대한 자세한 내용은 한ㆍ중 어문 규범의 성격 및 체계를 통해서 확인할 수 있다.
3장에서는 미시적 차원에서 한ㆍ중 양국 언어 정책 내용에 중요한 위치를 차지하는 어문 규범의 성격 및 체계를 검토하고 비교하였다. 한ㆍ중 양국 어문 규범의 체계는 공통적으로 발음에 관한 규범과 표기에 관한 규범으로 나눌 수 있다. 하지만 구체적인 세부 규범 항목에는 차이가 있다. 또한 내용적 측면에서 한국과 중국의 어문 규범 모두 띄어쓰기와 문장 부호에 관한 내용을 수록하였다. 한국과 중국의 띄어쓰기는 모두 단어 단위로 띄어 쓰는 것이 원칙이며, 띄어쓰기 규정의 문제점은 모두 단어 범주 설정 문제와 관련이 있다. 또한 한국과 중국의 문장 부호 규정은 어문 규범에서 차지하는 위상이 각각 다르지만 실제적 내용에 큰 차이가 없다.
끝으로 4장에서는 본 연구의 내용을 정리하고, 이와 더불어 본 연구의 시사점을 밝히며 후속 연구에 대한 제언을 덧붙였다. 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하여 한ㆍ중 양국 어문 정책과 어문 규범 교육을 개선하는 데 시사점을 다음과 같이 제시하였다. 첫째, 언어 정책에 대한 연구는 국어학, 사회언어학, 언어 정책학 등 여러 학과 간의 통합적인 연구가 필요하다. 둘째, 어문 규범 내용과 실제 언어 사용의 괴리를 좁히는 노력이 필요하다. 셋째, 문법 교육에서의 어문 규범 교육은 학교 문법 내용과 긴밀한 관계를 맺고 있으며, 어문 규범에 나타난 개념들이 학교 문법에서 제시된 내용이므로 문법 지식과 어문 규범 지식을 연계하여 가르치는 것을 바람직하다. 넷째, 한국어 교육에서는 학습자의 모국어 간섭으로 인한 오류가 빈번히 나타나기 때문에 제2 언어로서의 어문 규범 교육은 목표어와 모국어의 언어 유형적 차이를 중요시해야 한다. 다섯째, 학습자가 학습하기 어려운 어문 규범 내용을 중심으로 교수ㆍ학습 전략을 모색할 필요가 있다.

韩语论文题目韩语毕业论文
免费论文题目: