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고를 활용한 한국 문화어휘 교육방안 연구 [韩语论文]

资料分类免费韩语论文 责任编辑:金一助教更新时间:2017-04-26
提示:本资料为网络收集免费论文,存在不完整性。建议下载本站其它完整的收费论文。使用可通过查重系统的论文,才是您毕业的保障。

The purpose for this research is to introduce Korea's contemporary culture through the language of advertisement and elevate the real communicational skills of learners of the Korean language. Advertisements are said to be the bowl that dishes out ...

The purpose for this research is to introduce Korea's contemporary culture through
the language of advertisement and elevate the real communicational skills of learners of
the Korean language.
Advertisements are said to be the bowl that dishes out the culture of that age, and
the language used in the advertisements reflect the age and culture and changes
continuously. With this basis the goal of this research is to confirm how much Korean
modern-day cultural elements are reflected in advertisements with elements of various
socially cultural implications within the mass media, and by understanding its
formational principles effectively educate vocabularies of the Korean modern-day culture.
For this reason this research will extract specific configurations from real
advertisements, namely vocabularies that appear in patterns, along with generally applied
rhetorics of advertisements, then analyze those patterns, and classify the sorted
vocabularies as ‘Contemporary Cultural Vocabulary.’ Also as teachers present
modern-day cultural vocabularies to their Korean language learners at the actual
educational site, they will help to overcome limitations that their students may face in
real communicational situations, and attempt to search for an educational program
proposal to let learners of the same age-group share each other's cultures.
In doing so, first of all in the first chapter I will exam related preceding researches
done and present the range and method of this research. Advertisements that have been
applied in various methods for foreign language education are also recently being applied widely in Korean language education, and are especially receiving recognition as
materials that can access both the lexical and culture-educational spheres simultaneously.
Stressing the fact that although the importance of educational materials for modern-day
culture has been raised, neither appropriate educational program proposal nor educational
materials have yet been presented, this research attempts to explain the necessity of a
modern-day advertisement language application.
In chapter 2, while arguing about the categories for cultures and the significance of
cultural education, I will focus on ‘behavioral culture’ and ‘conceptual culture’ out of the
cultural categories established in Oh-gyeong Kwon (2006) and Oh-gyeong Kwon (2009),
analyze advertisement languages, and propose its application in education. Furthermore
along with the necessity for modern-day cultural language teachers, I will present a
principle for language studies through analogy, and also discuss the role of
advertisements as the medium of cultural change.
In chapter 3, with the reserve survey results taken by Korean language learners as
the basis, I will emphasize the need for Korean language education that utilize
advertisements, analyze real advertisements, and explain about vocabulary education that
utilize advertisement language patterns.
Also in chapter 4, we will see how many vocabularies appear that coincide with the
standards in chapter 3, extract, classify, and confirm vocabularies that reflect real
advertisements, and propose an educational model for Korean modern-day culture that
can raise the utilization of real cultural education. Through this while reflecting learners'
demands, I will introduce a plan to expand Korean language vocabulary comprehension.
Lastly in chapter 5, I will organize all the previous discussions, clarify upon the
significance and limitations of this research, and make my conclusion.

연구광고 언어를 통하여 한국의 현대 문화를 소개하고 한국어 학습자들의 실제 의사소통 능력을 향상시키는 데 그 목적이 있다. 광고는 그 시대의 문화를 담는 그릇이라고 하는데, ...

연구는 광고 언어를 통하여 한국의 현대 문화를 소개하고 한국어 학습자들의 실제 의사소통 능력을 향상시키는 데 그 목적이 있다.
광고는 그 시대의 문화를 담는 그릇이라고 하는데, 광고에서 사용되는 광고언어는 시대와 문화를 반영하여 끊임없이 변화한다. 이를 기본으로 하여 본 연구에서는 대중매체 중 다양한 사회 문화적 요소를 함축하고 있는 광고에서 얼마나 많은 한국의 현대 문화적 요소가 반영되었는지를 확인하고, 그 형성 원리를 파악함으로써 한국 현대 문화어휘를 효과적으로 교육하고자 하는 목표를 가진다.
이를 위하여 본 연구에서는 일반적으로 활용되고 있는 광고의 수사법과 함께 광고에서 특정 형태, 즉 패턴을 가지고 등장하는 어휘들을 실제 광고에서 추출하고 그 패턴을 분석하여 분류된 어휘를 ‘현대 문화어휘’라고 규정하기로 한다. 그리고 교육 현장에서 교사가 한국어 학습자들에게 현대 문화어휘를 제시함으로써 학습자들이 실제 의사소통 상황에서 맞을 수 있는 한계를 극복하게 하고, 동년배가 가진 문화를 공유할 수 있도록 교육 방안을 모색해 보고자 한다.
이를 위하여 우선 1장에서는 관련 선행 연구를 검토하고 본 연구의 범위와 방법을 제시한다. 외국어교육에서도 다양한 방법으로 활용되는 광고가 최근 한국어교육에서도 활발하게 활용되고 있고, 특히 어휘적 측면과 문화 교육적 측면을 동시에 접근할 수 있는 자료로서 인정을 받고 있다. 그러나 현대 문화를 교육할 자료의 필요성은 제기되고 있으나 적절한 교육 방안이나 교육 자료들이 제시되지 않고 있음을 강조하면서 본 연구가 다루고자 하는 영역인 현대 광고 언어의 활용이 필요함을 설명하고자 한다.
2장에서는 문화의 범주와 문화 교육의 의의에 대하여 논하면서 권오경(2006)과 권오경(2009)에서 설정한 문화 범주 중 ‘행동문화’와 ‘관념문화’에 초점을 두고 광고의 어휘를 분석하고 교육에서의 활용을 제안한다. 그리고 현대 문화어휘 교수의 필요성과 함께 유추를 통한 어휘 학습의 원리를 제시하고, 문화변용의 매개체로서의 광고의 역할에 대해서도 논하고자 한다.
3장에서는 한국어 학습자들을 대상으로 한 예비 조사 결과를 바탕으로 광고를 활용한 한국어교육의 필요성에 대해 주장하고, 실제 광고를 분석하여 광고 언어의 패턴을 활용한 어휘 교육에 대해 설명한다.
그리고 4장에서는 3장의 기준에 부합하는 어휘가 얼마나 등장하는 지를 실제 광고에 반영된 어휘를 추출, 분류하여 확인하고, 실제 문화 교육의 활용도를 높일 수 있는 한국 현대 문화어휘의 교육 모형을 제안하고자 한다. 이를 통하여 학습자들의 요구를 함께 반영하면서 한국어 이해 어휘를 확장할 수 있는 방안을 소개한다.
마지막으로 5장에서는 이제까지의 논의를 정리하고 본 연구의 의의와 한계를 밝히며 마무리하고자 한다.

韩语论文范文韩语论文范文
免费论文题目: