패션·의류 분야의 외래어 사용 실태 분석 [韩语论文]

资料分类免费韩语论文 责任编辑:金一助教更新时间:2017-04-26
提示:本资料为网络收集免费论文,存在不完整性。建议下载本站其它完整的收费论文。使用可通过查重系统的论文,才是您毕业的保障。

This study aims to statistically and qualitatively analyze the current state of loanwords used in the fashion and clothing field. For this objective, the proportion of loanwords used in fashion magazines were examined, and kinds of words, original lan...

This study aims to statistically and qualitatively analyze the current state of loanwords used in the fashion and clothing field. For this objective, the proportion of loanwords used in fashion magazines were examined, and kinds of words, original languages, parts of speech and word formation were analyzed as linguistic characteristics of loanwords used in fashion magazines.
Chapter 1 specified the purposes and necessity of the research, reviewed previous studies and described research targets and research methods. Prior to the research, then, the existing discussions on loanword's concepts were arranged and loanword's concepts used in this were discussed.
Chapter 2 demonstrated that loanwords are being used at a high proportion of the fashion and clothing industry, by analyzing the proportion of them used in fashion magazines. Then, the ratio of loanwords used in cooking magazines and wedding magazines were investigated to compare them with those used in fashion magazines. As the result, loanwords in fashion magazines accounted for 36.5% that was two times higher than those used in wedding magazines(15%) and cooking magazines(11.2%). This result implies that loanwords in fashion magazines are used remarkably more than in wedding magazines or cooking magazines. In addition to this, it was also found from some examples what even basic vocabularies that can be translated into Korean, are used as loanwords in fashion magazines, while a lot of loanwords in wedding magazines or cooking magazines cannot be translated into Korean.
Chapter 3 analyzed kinds of words, original languages, parts of speech and word formation used in fashion magazines and linguistic properties of loanwords used in the fashion and clothing industry.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ly, 'single loanwords' used in fashion magazines occupied the highest proportion at 88.8%, followed by 'loanwords/native words' and 'loanwords/Sino Korean words'. Mainly, hybrid words of 'loanwords/native words' came from a suffix '-hada-', and hybrid words of 'loanwords/Sino Korean words' came from Sino Korean suffixes. Secondly, when analyzing loanwords adopted in fashion magazines depending on kinds of original languages, loanwords used in fashion magazines were mostly affected by English that accounted for 97.8% of them, followed by French, German and Italian language. Thirdly, amongst various parts of speech, nouns played central roles in adopting loanwords, occupying the highest proportion of them in fashion magazines. After nouns, it was followed by adjectives, proper nouns and verbs. Here, why adjectives were used as a high proportion, was because in fashion magazines, words to express targets or to explain conditions or feelings of them were frequently used. A majority of proper nouns were names of people of products, and lots of verbs were used to explain jobs related to fashion. Lastly, single words comprised the highest proportion of word formation at 84.2%, followed by derivatives(10.2%), compounds(3.6%), abbreviations(1.7%) and shortened words(0.3%). All parts of speech of single words were nouns, there was no derivative from a prefix and all of them were from suffixes. Moreover, '-hada' was most frequently used as a suffix and was combined with loanwords most productively. In addition, most compounds resulted from a mix of loanwords.
In conclusion, this analytic research on the present state of language would provide an opportunity to look back on loanwords that are frequently used in our linguistic life, by investigating the proportion of loanwords used in fashion magazines and analyzing kinds of words, original languages, parts of speech and word formation

본 연구는 패션·의류 분야의 외래사용 실태 분석의 중요성을 인식하여 패션·의류 분야의 외래사용 실태를 통계적·질적으로 분석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연구 대상으로 패션 잡...

본 연구는 패션·의류 분야의 외래어 사용 실태 분석의 중요성을 인식하여 패션·의류 분야의 외래어 사용 실태를 통계적·질적으로 분석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연구 대상으로 패션 잡지를 선택하고, 패션 잡지의 외래어 사용 비율을 조사하였으며 패션 잡지에서 사용된 외래어의 국어학적 특징을 어종별, 원어별, 품사별, 조어 방식별로 분석하였다.
1장에서는 연구의 목적과 필요성을 밝히고, 선행 연구를 검토하였으며, 연구 대상 및 연구 방법에 대하여 서술하였다. 그리고 외래어를 연구하기에 앞서 외래어의 개념에 대한 기존의 논의를 정리하고 본 연구에서 사용될 외래어의 개념에 대하여 논하였다.
2장에서는 패션 잡지의 외래어 사용 비율을 통계적으로 분석함으로써 패션·의류 분야에서 외래어를 높은 비율로 사용하고 있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또한 다른 분야와의 비교를 위하여 요리 전문 잡지와 웨딩 전문 잡지의 외래어 사용 비율을 조사하였다. 패션 잡지의 외래어 사용 비율은 36.5%로 비교 대상인 웨딩 잡지의 외래어 사용 비율 15%, 요리 잡지의 외래어 사용 비율 11.2%보다 두 배 이상의 높은 비율을 보이면서 결과적으로 웨딩 잡지나 요리 잡지보다 패션 잡지의 외래어 사용 비율이 현저하게 높은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웨딩 잡지나 요리 잡지에서 사용한 외래어는 우리말로 바꾸어 쓸 수 없는 외래어가 많았으나 패션 잡지는 우리말로 바꾸어 쓸 수 있는 경우의 기본적인 어휘에서도 외래어를 사용하는 것을 예시를 통해 확인하였다.
3장에서는 패션 잡지에서 사용된 외래어를 어종별, 원어별, 품사별, 조어 방식별로 분석함으로써 패션·의류 분야에서 사용되는 외래어의 국어학적 특징을 분석하였다. 그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패션 잡지에서 사용된 외래어를 어종별로 분석한 결과 ‘단일 외래어’가 88.8%로 제일 높은 비율로 사용되었고 그 다음으로 ‘외래어/고유어’, ‘외래어/한자어’순으로 나타났다. ‘외래어/고유어’의 혼종어는 접미사 ‘-하다’에 의한 것이 대부분이었으며 ‘외래어/한자어’의 혼종어는 주로 한자어 접미사와 결합한 것이었다. 둘째, 패션 잡지에서 사용된 외래어를 원어별로 분석한 결과 영어가 97.8%로 패션 잡지에서 사용되는 외래어는 영어권의 영향을 가장 많이 받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고, 프랑스, 독일어, 이탈리어가 뒤를 이었다. 셋째, 패션 잡지에서 사용된 외래어를 품사별로 분석한 결과 명사가 84.8%로 제일 높은 비율을 보이면서 외래어 차용의 중심이 되는 것은 명사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명사 다음으로 형용사, 고유명사, 동사 순으로 사용되었는데 형용사의 비율이 높은 것은 패션 잡지의 특성상 대상을 표현하거나 상태나 느낌을 나타내는 말이 많이 쓰이기 때문이다. 고유명사는 인명이나 상품명이 대부분이었고, 동사는 주로 패션과 관련한 작업에 사용되는 어휘가 많았다. 마지막으로, 패션 잡지에서 사용된 외래어를 조어 방식별로 분석한 결과 단일어가 85.8%로 가장 많은 조어 방식임을 알 수 있었고, 그 다음으로 파생어(10.2%), 합성어(4.0%)순으로 나타났다. 단일어의 품사는 모두 명사임을 확인할 수 있었고, 파생어는 접두사에 의한 파생어는 없었으며 모두 접미사에 의한 파생어인 것이 특징적이었다. 또한 이 접미사에는 ‘-하다’가 제일 많이 쓰여 외래어와 가장 생산적으로 결합하는 접미사라는 것을 알 수 있었다. 합성어의 경우에는 외래어와 외래어의 합성이 대부분임을 볼 수 있었다.
이처럼 본 연구에서는 패션·의류 분야에서 사용되고 있는 외래어를 패션 잡지를 통해 분석함으로써 패션 잡지의 외래어 사용 비율을 조사하고, 외래어의 어종, 원어, 품사, 조어 방식을 살펴보았다. 이와 같은 언어 실태 분석 연구를 통해 우리 언어생활에서 외래어 사용을 되돌아보는 계기가 되기를 바란다.

韩语毕业论文韩语论文网站
免费论文题目: