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선 두 나라의 언어를 살펴보자면 한국어의 어순이 주어, 목적어, 서술어인 것처럼 미얀마어의 어순도 똑같다. 또한 품사도 거의 비슷하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비슷한 점이 많은 한국어...
우선 두 나라의 언어를 살펴보자면 한국어의 어순이 주어, 목적어, 서술어인 것처럼 미얀마어의 어순도 똑같다. 또한 품사도 거의 비슷하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비슷한 점이 많은 한국어와 미얀마어의 분류사 쓰임을 비교하고자 한다. 아직까지 한국어와 미얀마어에 대한 대비 연구는 거의 없는 편이고 특히 분류사에 대한 양 언어의 대비연구는 하나도 없다. 한국어는 언어학적에 대한 연구가 발전하고 있는데 미얀마어는 연구가 덜 됐기 때문에 두 언어를 비교하여 차이점과 공통점을 밝히고자 하는 것은 대조언어학적으로도 보람이 큰 것이라고 느낀다. 또한 이 분류사 비교 연구가 제2언어를 배우는 한국인 학습자나 미얀마인 학습자들에게도 두 언어의 사용양상을 쉽게 알아볼 수 있으니 바람직하다고 할 수도 있다. 이러한 점에서 한국어와 미얀마어의 분류사 비교에 대해 연구를 해 보기로 했다.
이 논문은 미얀마와 한국에서 사용하는 분류사의 의미와 용법을 비교 분석하여 그들이 가지고 있는 공통점과 차이점을 찾는 것을 주목적으로 한다. 한국은 분류사에 대한 기존의 논의는 많은 부분에서 이루어져 왔다. 기존의 논의에서는 분류사에 대해서 정의하고, 구성 형식에 대한 나름의 체계를 제시하는 것으로 논의한 것이 대부분이다. 그러나 이 논문에서는 “표준국어대사전(1999)”과 “미얀마어사전”을 참조하여 양국의 분류사를 분류한다. 방법으로는 대조법을 사용하여, 각 유형별로 한국과 미얀마, 양국의 분류사를 비교한다. 이를 통하여 양국 분류사의 의미자질과 용법의 공통점과 차이점을 발견할 수 있다. 또한, 한국과 미얀마 양국에서 동일한 의미로 사용되는 분류사와 서로 다른 의미로 사용되는 분류사를 표로 작성하였다.
현대 한국어의 분류사가 고유어 분류사와 한자어 분류사, 외래어 분류사로 구분할 수 있는 것처럼 미얀마어도 고유어 분류사와 팔리어 분류사, 외래어 분류사로 구분할 수 있다. 실제로 양국에서 사용하고 있는 분류사를 참조하여 분류하는 것이 연구가치가 있음을 알 수 있다.
There are rich classifiers in both Korean and Myanmar. And they are widely used in our daily life. Besides main function in classifiers of Korean and Myanmar is similar, there are many differences in other aspects, especially in combination means with...
There are rich classifiers in both Korean and Myanmar. And they are widely used in our daily life. Besides main function in classifiers of Korean and Myanmar is similar, there are many differences in other aspects, especially in combination means with other parts of the speech and meaning usage, etc. These aspects brought about a lot of obstacles to people who study and research both languages. The comparatively analysis of the meaning of classifiers in daily life in both language and try to find the similarities and differences between them. This is the main study purpose of the thesis.
The thesis explores the compares of the system of classifiers in Korean language and Myanmar language. The comparison of classifiers between Korean language and Myanmar language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The grammatical function of numeral classifier construction in Korean language has two types such as ‘noun-quantifier-classifier’ and ‘quantifier-classifier-genitive marker(의)-noun’. On the other hand, also two types of numeral classifier construction in Myanmar language are ‘noun-quantifier-classifier’, ‘noun- a morpheme- classifier-quantifier ’. It is found that the type ‘noun-quantifier-classifier’ of Korean language and Myanmar languages are both similar.
In both Korean language and Myanmar language, some nouns can be applied with several classifiers and the same classifiers can be applied to various types of nouns.
The semantic features used as a criterion for classifying the Korean language and Myanmar language classifiers are found to be similar. The most distinctive feature of each group of classifiers prove that the classifiers, both Korean language and Myanmar language, are selected by the speakers in accordance with cultural conditions, which reflect the worldviews of Myanmar speakers and Korean speakers.
By comparing Korean language and Myanmar language, it is found that the criteria to categorize classifiers are both similar and different, in correspondence with the social and culture background of the two countries.
With the increasing exchange of Korea and Myanmar, language learning on the wave of the two countries also followed. So the thesis of this study, the comparison and analysis of both languages are becoming more and more. However, there are still many shortages, such as covering too widely, not enough attention to detail etc. Thus the thesis aims to make up these shortcoming, and study deeply of the similarities and differences of classifier in both languages and I hope this can provide substantial help for practice in both languages.
Key words: Korean, Myanmar, classifier, comparative study
,韩语毕业论文,韩语论文网站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