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한국어와 중국어의 최근 신조어를 고찰하고 한·중 양국 신조어의 형태론적·어휘론적 공통점과 차이점을 규명하는 데에 목적이 있다. 그러므로 신조어는 현대사회 과학기술 발...
본 연구는 한국어와 중국어의 최근 신조어를 고찰하고 한·중 양국 신조어의 형태론적·어휘론적 공통점과 차이점을 규명하는 데에 목적이 있다. 그러므로 신조어는 현대사회 과학기술 발전, 인류 문명의 진보와 현대인의 사고방식 변화 등등을 반영하고 있다. 언어는 사회발전처럼 끊임없이 변화하며 그 변화발전을 반영할 언어의 생성, 즉, 신조어의 생성은 필연적인 결과이다. 본 연구에서 논의하고 있는 내용을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본 연구는 우선 한·중 양국 신조어의 개념을 정의하고 신조어의 범주를 설정하고 신조어를 형태론적 측면과 어휘론적 측면으로 설명하였다. 2장에서는 형태론적 측면에서 신조어를 기술하면서 이를 다시 ‘파생, 합성, 혼성, 축약, 유추’ 등 분류하였다. 3장에서는 신조어를 어휘론적 측면에서 기술하고 외래어 차용과 수사적 표현으로 나누어 고찰해 보았다.
첫째, 한·중 신조어 파생법에 대한 대비는 양국의 신조어 자료집에서 찾은 예를 비교, 분석한 결과 파생어에 ‘접사화(詞綴化)’가 공통으로 나타남을 알았다. ‘접사화’ 된 접두사와 접미사는 양국 신조어 자료집에서 공통으로 나타난다. ‘준접사(類詞綴)’는 ‘전형접사’와 달리 본 뜻에서 완전히 벗어나 문법역할만 담당하는 것이 아니라 원래의 뜻을 유지하면서 다수의 파생의미를 나타내고 일정한 생산성을 지녀 일련의 상관어휘를 생성한다. 한·중 파생법은 상당히 조어방식이 비슷하며 그에 따라 형성된 신조어도 수량 차이만 보일 뿐이다.
둘째, 한·중 신조어 합성법에 대한 연구를 통해 양국의 합성법이 상당히 큰 차이를 보임을 알 수 있다. 한국어 합성법은 ‘통사적 합성법’과 ‘비통사적 합성법’ 나누고 품사를 기준으로 ‘합성명사, 합성형용사, 합성동사, 합성부사, 합성관형사’ 등 나누었다. 현대중국어 합성법은 어근과 어근 간의 결합방식이 주로 중국어 문장을 형성하는 방법과 같은 통사적인 구조에 따라 ‘並列式, 偏正式, 主謂式, 動賓式, 補充式’으로 분류한다. 중국어 신조어의 합성어는 조어 법칙에 따라 통사적 구성으로 형성된다.
셋째, 한·중 양국의 혼성법 대비는 한국어의 혼성법만 설명했다. 중국어 혼성법과 관련하여 학자들은 다양한 견해를 보이며 필자는 중국어 신조어 자료집에서 혼성법으로 만들어진 신조어를 찾지 못했다.
넷째, 한·중 신조어 축약법에 대한 연구는 한국어와 중국어 신조어의 예를 비교분석했다. 비교를 통해 중국어의 축약법은 한국어 축약법보다 범위가 더 크다고 알 수 있다. 중국어에는 한국어는 없는 ‘ 統括(총괄)법’으로 만들어진 어휘도 있으나 “壓縮”(압축)과 “截略”(절단)은 양국어 모두에 나타나는 공통조어방법이다. 중국어의 축약어 조어 시 형태소를 선택하는 규칙은 의미표현에 따라 선택되므로 한국어의 축약보다 더 자의적이다.
다섯째, 한·중 신조어의 유추법에 대한 연구는 ‘구조적 유추, 의미적 유추’로 나누었다. 구조적 유추는 다시 ‘X 형’과 ‘X 형’으로 재분류되고 의미적 유추는 다시 ‘반의적 유추’와 ‘유사적 유추’로 구분된다. 양국의 신조어 비교를 통해 한·중 양국의 유추법이 상당히 비슷함 알 수 있었다.
여섯째, 한·중 외래어 차용에 대해 연구를 언어적 특성에 따라 분류기준을 달리하고 있다. 표음문자인 한국어 신조어의 외래어 차용은 ‘원어형’과 ‘축약형’으로 나누었다. 한편, 표의문자인 중국어는 ‘단순음역’, ‘단순 의역’, ‘음역/의역 또는 의역/음역’, ‘음역 & 의역’, ‘외국문자와 한자의 결합’, ‘외국 문자만의 결합’으로 나누었다.
일곱째, 한·중 신조어의 수사적 표현에 대한 연구는 비유(比喻)조어, 과장(誇張)조어, 완곡(婉曲)조어 등으로 나누어 설명했다. 한국어 비유조어 범위는 중국어보다 넓다. ‘의인법, 의물법, 제유법’은 한국어의 넓은 의미의 분류법에는 속하다. 중국어 비유 체계에는 포함되지 않고 독립적인 수사법 범주에 속한다. 비유법을 제외하고 과장과 완곡 수사법으로 이용하여 만든 신조어는 한·중 양국의 신조어에서 공통적으로 발견된다.
본 연구는 한국어와 중국어 신조어의 형태론적·어휘론적 대비를 검토하고 그 공통점과 차이점을 밝힘으로써 미래 신조어 발전 방향을 예측할 수 있다. 신조어는 인류 문명의 발전을 반영하기 때문에 지속적인 신조어에 관심을 갖고 이들의 연구에 힘써야 할 것이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