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언어를 구성하는 문장에서 핵이 되는 명사 중 말할이의 감정 및 의도가 개입되어 새롭게 만들어진 가치반영명사들의 양상을 살피고, 이에 대한 분석을 통하여 기본명사와 가치반...
본 연구는 언어를 구성하는 문장에서 핵이 되는 명사 중 말할이의 감정 및 의도가 개입되어 새롭게 만들어진 가치반영명사들의 양상을 살피고, 이에 대한 분석을 통하여 기본명사와 가치반영명사가 의미와 용법, 표현 양상에 있어서 나타나는 차이점을 의미론적인 측면, 형태적인 측면, 조어법적인 측면에서 비교‧설명하는 데 목적을 두었다.
사람들은 흔히 언어를 통하여 의사소통을 진행한다. 이러한 과정에서 말할이의 생각, 감정, 수양 등이 문장을 통하여 반영되기도 하고 문장 속의 어느 한 단어에 의하여 반영되기도 한다. 이러한 말할이의 감정을 반영하는 명사가 가치반영명사이다. 가치반영명사는 기본명사의 상대적 보편성에 대립되는 것으로 기본명사의 중심의미에 말할이의 의도나 감정을 반영하는 의미자질이 덧붙어서 형성된 것이다. 따라서 기본명사가 무표항에 해당하고, 가치반영명사는 유표항에 해당되는 것으로 보아, 가치반영명사는 [기본명사/유표자질]의 의미 특성을 나타내는 것으로 보고자 하였다.
본 논문은 가치반영명사들이 그 중심의미를 나타내는 기본명사와 의미상 어떻게 다르고, 표현 형태 및 용법에 있어 어떠한 차이를 나타내며, 새롭게 만들어진 단어들의 결합방식은 어떠한지를 밝히려는 것이다.
본고는 국립국어연구원에서 발간한『표준국어대사전』(2000)에 수록된 말할이 감정을 나타내는 가치반영명사들을 추출하여 먼저 의미의 동질성과 말할이 의도의 유사성에 의하여, 크게 높낮이를 나타내는 가치반영명사, 긍정적 의미를 나타내는 가치반영명사, 부정적 의미를 나타내는 가치반영명사 및 기타 가치반영명사 등 4개 부분으로 나누어 연구하였다. 각 부분에서 기본형에 해당하는 기본명사와 이를 기저로 한 가치반영명사들의 의미와 쓰임에 대하여 비교하여 봄으로써 그 차이를 분명히 드러내고자 하였다. 이울러 각 가치반영명사들이 가지는 표현 양상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이들은 어원상의 특성에 따라, 고유어, 한자어, 고유어와 한자어의 결합, 외래어로 나눌 수 있었으며, 형태론적 특성에 따라, 합성어, 파생어, 단일어로 나눌 수 있었다. 기본명사와 어원적, 형태적으로 전혀 다르게 만들어진 가치반영명사는 보충법에 의해 실현된 가치반영명사로 처리하였다.
이와 같이 기본형에 해당하는 기본명사와 이를 기저로 한 가치반영명사는 기본명사를 바탕으로 하되, 의미와 용법에 있어 서로 차이점을 가지고 있었다. 또한 가치반영명사는 표현 형태와 어원적 특성에서도 일정한 체계를 갖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terms, which constitute the core part of the article, are involved in the speaker's feelings and attitudes then reflect to the aspect of the value reflected term, and by the comparison of the semantics , morphology, and wo...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terms, which constitute the core part of the article, are involved in the speaker's feelings and attitudes then reflect to the aspect of the value reflected term, and by the comparison of the semantics , morphology, and word formation between the basic terms and values reflected terms. Thus, it can be found the huge difference of the meaning, usage and expression between the basic terms and values reflected terms.
People usually communicate through language. In the communication process, either through the sentence or a number of words can reflect the speaker's thoughts, feelings and self-cultivation. These words which can reflect the speaker's feelings are known as the value reflected terms. The value reflected term is not as common as the basic term; it is formed by the combination of the central meaning of basic terms and the speaker's reflective attitudes and feelings semantic features. Thus, the basic term is seen as unmarkedness, and then the value reflected term can be seen as a markedness with a feature of [basic term / vernier feature].
This study is to expatiate on the differences in meaning, performance and usage between the value reflected terms and the basic terms, and how the new vocabulary combined.
This study included value reflected terms selected from『standard national language dictionary』published by the National Language Institute in 2000. Firstly, according to the homogeneity of means and the similarity of the speaker’s attitude, the value reflected terms can be divided into four parts which include the value reflected term with hierarchy, value reflected term with positive meanings, value reflected term with negative meaning, and other kinds of value reflected term. Then, by the comparison between the meaning and usage for the basic terms and the value reflected terms respectively that corresponds to each part, which can highlight the distinct differences between different value reflected terms in each part. Secondly, according to the etymological features of the language source, the value reflected terms can be divided into native Korean words, Sino-Korean words, the combination of native Korean words and Sino-Korean words, and loanwords. At the same time, according to the features of the words’ formation, value reflected terms can be divided into compound words, derivative words, and simplex. Finally, according to the etymological and formation features, the value reflected terms, which are completely different form the basic terms, are seen as the value reflected terms based on the supplementation.
In summary, it can be found that the differences of meaning and usage exist between the basic terms with basic form and the value reflected terms based on the basic terms,. Secondly, it can be sure that the performance characteristics of morphology and etymology of the value reflected terms exist with a inherent system.
,韩语论文,韩语毕业论文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