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否定接頭辭가 붙어서 형성된 부정어를 對照言語學의 관점에서 한국어와 중국어의 부정어를 분석하고, 두 단어가 어떤 면에서 비슷하고 어떤 면에서 다른지를 형태적인 측면과 의...
본 연구는 否定接頭辭가 붙어서 형성된 부정어를 對照言語學의 관점에서 한국어와 중국어의 부정어를 분석하고, 두 단어가 어떤 면에서 비슷하고 어떤 면에서 다른지를 형태적인 측면과 의미론的인 측면으로 비교·설명하는데 목적을 두었다.
한국어의 어휘는 고유어, 한자어와 외래어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그 중에 한자어는 대략 70%를 차지한다. ‘訓民正音’을 창제하기 전 한국은 중국어를 차용하여 사용하였다. 지금까지 한국은 한자어를 계속 사용한다. 1950년 중국에서 문자개혁을 실시함에 따라 고대 중국어와 현대 중국어는 한자의 형태적 차이가 나타난다. 한국에서 사용하는 한자를 현대 중국어에서 ‘繁體字’라고 부르고, 현대 중국에서 사용하는 한자를 ‘簡體字’라고 부른다.
언어는 사람들의 감정을 표현하는 수단과 도구이다. 肯定과 否定은 판단을 표현하는 기본적인 두 가지의 언어 형식이다. 이 두 가지 언어 형식은 항상 존재하고 언어를 통하여 부정과 긍정의 정보를 전달한다. 내 생각을 전달하는 과정에서는 부정은 긍정보다 더 중요한 작용을 한다.
본 연구는 현대 한국어에서 쓰이는 부정어와 현대 중국어의 부정어에 대한 형태 構造를 먼저 살펴보고, 이들이 가지는 의미를 대조해 봄으로써 두 언어의 차이가 분명함을 밝히고자 하는 것이다. 한국어와 중국어를 서로 대조하여, 같은 형태를 가지고 있지만 의미가 다른 ‘同型異義’, 형태와 의미가 같은 ‘同型同義’, 형태는 비슷하고 의미가 같은 ‘近型同義’, 형태는 다르고 의미는 같은 ‘異型同義’, 한국어에는 쓰이지만 중국어에는 쓰이지 않는 ‘韓有中無’ 등으로 구분하고, 이것을 부정접두사 ‘不(불)-’, 不(부)-, 沒-, 無-, 非-’ 순으로 나누어 설명했다.
그래서 한국어와 중국어에서 쓰이는 부정어를 사전 상에서 모두 찾아 이 중에서 차이가 있는 부정어 270개를 대상으로 연구했다. 270개의 한국어의 부정어와 중국어의 부정어에 대해서 비교 설명했다. 현대 한국어에서 쓰이는 부정어와 현대 중국어의 부정어에 대한 형태 구조를 먼저 살펴봤다. 이들이 가지는 의미에 대하여 대조해봄으로써 차이가 분명히 드러남을 밝혔다.
한국어와 중국어의 부정어를 주로 대상으로 하여 ‘同型異義, 近型同義, 異型同義, 韓有中無’ 등으로 나누고, 이를 다시 부정접두사의 유형에 따라 분류하였다. 그 중에 17개의 한국어와 중국어의 부정어가 ‘同型異義’였다. 예를 들면 한국어의 ‘無名’과 중국어의 ‘無名’은 형태가 똑같지만 의미는 차이를 보였다. 한국어에서 ‘無名’은 ‘이름이 널리 알려져 있지 않음’의 뜻을 가지고 있지만 중국어에서 이러한 뜻이 없다. 중국어의 ‘無名’은 ‘이유가 없다’의 뜻을 가지고 있지만 한국어에는 없다. 또한 205개의 한국어와 중국어의 부정어가 ‘近型同義’였다. 예를 들면 한국의 ‘不納’과 중국어의 ‘不交納’은 형태가 비슷하기는 하지만 똑같지는 않고 그 의미는 같아 모두 ‘세금이나 공납금 따위를 내지 아니함’으로 쓰인다. 또한 34개의 한국어와 중국어의 부정어가 ‘異型同義’였다. 예를 들면 한국어의 ‘不失’과 중국어의 ‘沒丢’는 형태가 완전히 다르지만 ‘잃지 아니함’이라는 뜻은 모두 같다. 또한 14개의 한국어와 중국어의 부정어가 ‘韓有中無’였다. 예를 들면 한국어의 ‘無醫村’은 쓰이지만 중국어에는 이러한 단어가 쓰이지 않는다.
이상으로 밝힌 것처럼 한·중 양국 한자어는 동질성과 유사점만 있는 것이 아니라 이질적인 요소가 많은 것을 알 수 있었다.
,韩语论文范文,韩语论文题目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