섬진강 상류 수계의 어류상과 어족자원의 잠재생산량 평가 [韩语论文]

资料分类免费韩语论文 责任编辑:金一助教更新时间:2017-04-27
提示:本资料为网络收集免费论文,存在不完整性。建议下载本站其它完整的收费论文。使用可通过查重系统的论文,才是您毕业的保障。

The objectives of this study were firstly to understand practical fish fauna using varied fishing gears in the upper system of the Seomjin River, and secondly to assess current stock and potential yield in order to propose management implications of f...

The objectives of this study were firstly to understand practical fish fauna using varied fishing gears in the upper system of the Seomjin River, and secondly to assess current stock and potential yield in order to propose management implications of fisheries resource in the fresh-water ecosystem. A total of 9 site in the upper system of the Seomjin River were investigated from August in 2008 to April in 2009.
According to the fish investigation, 37 species belonging to 10 families were collected. Dominant family in the all sites was Cyprinidae (24 species, relative abundance: 64.9%) during the study. Total of 37 species (Primary freshwater: 35 species, peripheral freshwater: 2 species) were found with the primary freshwater fishes being the highest. Dominant species was Zacco platypus (18.6%), and subdominant species was Coreoperca herzi (10.2%). Also, Pseudogobio esocinus (10.2%) and Carassius auratus (6.9%) were numerous. There were 14 Korean endemic species (37.8%) including Rhodeus ocellatus, Acehilgnathus koreensis, A. somjinensis, Coreoleuciscus splendidus and Squalidus gracilis majimae. Among them Acheilgnathus somjinensis was endangered species. In conclusion, I could define that the upper system of Seomjin River has a very good environmental conditions as habitat of fish.
The ecological characteristics of the Korean Aucha perch, Coreoperca herzi, were determined in order to estimate stock of the upper system of Seomjin River. Age was determined by counting the otolith annuli. The oldest fish observed in this study was 5 years old. Relationships between body length (BL) and body weight (BW) were BW = 0.0195BL3.08(R2=0.966) (p<0.01). Relationships between the otolith radius (R) and body length (BL) were BL = 3.882R/1.66 (R2=0.944) (p<0.01). The von Bertalanffy growth parameters estimated from a non-linear regression method were L∞=19.68㎝, W∞=188.64g, K=0.17/year and T0=-1.46 year. Therefore, Growth in length of the fish was expressed by the von Bertalanffy's growth equation as Lt = 19.68(1-e-0.17(t/1.46)) (R2=0.997) (p<0.01).
The annual survival rate (S) was estimated to be 0.666/year. The instantaneous coefficient of natural mortality (M) of estimated from the Zhang and Megrey (Zhang and Megrey, 2006) method was 0.346/year, and instantaneous coefficient of fishing mortality (F) was calculated 0.061/year. From the estimates of survival rate (S), the instantaneous coefficient of total mortality (Z) was estimated to be 0.407/year. The age at first capture (tc) was 0.69 years.
Total stock size of fisheries resource in the upper system of Seomjin River was estimated to be about 65,869kg, and sustainable potential yield of the current stock was estimated to be about 3,498kg.

본 연구는 어류상에 대한 체계적인 조사가 이루어지지 않은 섬진강 상류 수계를 대상으로 다양한 어구를 이용하여 정확한 어류상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또한, 담수생태계에서 효율적인 어...

본 연구는 어류상에 대한 체계적인 조사가 이루어지지 않은 섬진강 상류 수계를 대상으로 다양한 어구를 이용하여 정확한 어류상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또한, 담수생태계에서 효율적인 어족자원 조성 및 관리방안을 제시하기 위하여 현재 섬진강 상류수계 어족자원의 자원량을 평가하였으며, 이를 통하여 생물학적 허용어획량 (Allowable Biological Catch; ABC)인 잠재생산량을 평가하였다. 이를 위하여 2008년 8월부터 2009년 4월까지 4회에 걸쳐, 섬진강 상류수계 9개 정점에서 조사를 실시하였다.
섬진강 상류 수계를 대상으로 어류상을 조사한 결과, 총 5목 10과 37종의 어류가 채집되었으며, 이 중 잉어과 (Cyprinidae) 어류가 24종 (64.9%)으로 가장 풍부한 분류군으로 조사되었다. 출현이 확인된 37종의 어종 중 일차담수어는 35종, 주연성 담수어는 2종으로 일차담수어의 구성비가 높게 나타났다. 우점종은 피라미 (Zacco platypus: 18.6%), 아우점종은 꺽지 (Coreperca herzi: 12.2%)로 확인되었으며, 모래무지 (Pseudogobio esocinus: 10.2%)와 붕어 (Carassius auratus: 6.9%) 등도 높은 서식을 보였다. 한국고유종은 각시붕어 (Rhodeus ocellatus)와 긴몰개 (Squalidus gracilis majimae) 등 14종 (37.8%)으로 고유종의 빈도가 높았으며, 이 중 환경부지정 멸종위기 야생동물 Ⅱ급인 임실납자루 (Acheilgnathus somjinensis)의 서식이 확인되었다. 따라서 섬진강 상류 수계는 어류가 서식하기에 적합한 수환경을 유지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섬진강 상류 수계의 자원량을 추정하기 위하여 주요 분류군으로 출현한 꺽지 의 자원생태학적 특성치를 분석하였다. 연령사정을 위한 연령형질로서 이석 (otolith)을 사용하였으며, 연령사정 결과, 최고연령은 5세로 나타났다. 체장 (BL)과 체중 (BW)의 관계식은 BW = 0.0195BL3.08 (R2=0.966)이었으며 (p<0.01), 윤문이 형성되었을 때의 체장을 역계산하기 위한 체장 (BL)과 이석경 (R)과의 관계식은 BL = 3.882R/1.66 (R2=0.944)로 나타났다 (p<0.01). 비선형회귀방법을 이용한 von Bertalanffy 성장모델의 매개변수는 이론적 최대체장 (L∞)이 19.68 ㎝, 이론적 최대체중 (W∞)이 188.64 g, 성장계수 (K)가 0.17, 체장이 0일 때의 연령이 -1.46으로 각각 추정되었다. 이를 통해 추정된 성장식은 Lt = 19.68(1-e-0.17(t/1.46)) (R2=0.997) (p<0.01)으로 나타났다.
생잔율을 추정하는 6가지 방법 중 평방오차합 (Sum of squared error: SSQ)이 가장 작은 어획물곡선법을 이용하여 생잔율을 추정하였으며, 추정된 생잔율 (S)는 0.666/year으로 확인되었다. 순간자연사망계수 (M)와 순간전사망계수 (Z)는 0.346/year과 0.407/year로 각각 추정되었으며, 이를 통해 확인된 순간어획사망계수 (F)는 0.061/year로 확인되었다. 어장가입연령 (tr)은 연구기간동안 어획된 어류의 최소체장 5.9 ㎝을 연령으로 환산한 0.64세였으며, 어구가입연령 (tc)는 0.69세로 추정되었다. 잠재생산량의 추정매개변수인 적정어획사망계수 (FABC)는 0.306/year로 추정되었다. 자원생태학적 특성치 분석 결과, 전체 개체수 가운데 연간 33%가 사망하게 되며, 이 중 15.2%는 어획에 의해서. 84.8%는 기타요인에 의하여 자연사하는 것으로 추정되었다.
섬진강 상류 수계에 서식하는 어족자원의 총 자원량은 65,869 kg이었으며, 현재 자원량을 통해 확인된 잠재생산량은 14,805 kg으로 평가되었다. 어종별 잠재생산량은 누치 (Hemibarbus labeo)가 3,498 kg으로 가장 높았으며, 다음으로는 잉어 (Cyprinus carpio)가 2,720 kg, 붕어가 1,710 kg, 떡붕어 (Carassius cuvieri)가 1,640 kg, 쏘가리 (Siniperca scherzeri)가 1,202 kg 등의 순으로 평가되었다. 잠재생산량은 목표기준점이 아닌 한계기준점으로 사용되어야 하며 (Caddy and Mahom, 1995), 어족자원관리에 있어서 목표수준의 이용은 자원의 고갈을 초래한다 (장 등, 1998). 따라서 본 연구결과를 통해 산출된 잠재생산량을 어획을 위한 한계기준점으로 어종별 허용어획량과 적정어로정수 등을 제시한다면 효율적인 어족자원 조성 및 관리가 가능할 것으로 사료된다.

韩语毕业论文韩语论文
免费论文题目: