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한ㆍ중 사회 호칭어에 대한 고찰과 대조를 통해서 두 나라의 사회 문화 및 민족 심리를 살펴봄으로써 한ㆍ중 교류에 기여하는 것과 중국인 한국어 학습자들이 한국어 사회 호칭어...
본 연구는 한ㆍ중 사회 호칭어에 대한 고찰과 대조를 통해서 두 나라의 사회 문화 및 민족 심리를 살펴봄으로써 한ㆍ중 교류에 기여하는 것과 중국인 한국어 학습자들이 한국어 사회 호칭어를 구사할 때 언어 간섭을 극복하여 올바른 한국어 사회 호칭어의 이해 및 사용에 도움을 주는 것에 그 목적이 있다.
지리적으로 인접하여 많은 문화적 유사성으로 한ㆍ중 사회 호칭어에 많은 공통점을 지니지만 한국과 중국은 다른 나라이고 한국어와 중국어는 다른 언어이기 때문에 한ㆍ중 사회 호칭어에 각각의 민족 문화 및 언어 특징을 잘 반영하는 차이점을 가진다.
본 연구는 체계 대조와 응용 대조 두 부분으로 나누어 체계 대조는 유형, 유형별 어휘장, 결합 방식 대조 세 부분으로 세분하고 응용 대조는 의미와 사용 원칙 대조 두 부분으로 세분하여 여러 측면에서 한ㆍ중 사회 호칭어의 공통점과 차이점을 고찰하였다. 대조의 결과는 다음과 같이 요약할 수 있다.
한ㆍ중 사회 호칭어의 유형에서 보면 중국어에 존재하는 7개 호칭어 유형은 한국어 호칭어 유형에 모두 존재한다. 이 외에 한국어 사회 호칭어에 외래어형과 출신지역/댁을 이용한 두 가지 유형을 더 포함한다.
한국어와 중국어 영형, 이름형, 한국어 출신지역/댁형을 제외하여 나머지 각 유형 사회 호칭어의 어휘장에 대한 조사 결과로 중국어 2인칭 대명사형을 제외하여 한ㆍ중 사회 호칭어 각 유형은 풍부한 구성요소로 구성되어 있다. 유형별에 따라 한ㆍ중 구성 요소에 공통점과 차이점이 나타난다.
결합 방식에 있어 한국어의 이름형, 신분명형, 통칭형 호칭어와 중국어의 이름형, 신분명형, 통칭형, 친족 호칭어 범화형 호칭어는 모두 활발한 결합 양상을 보여 준다. 이에 반해 한국어의 친족 호칭어 범화형은 다른 유형과의 결합이 그다지 활발하지 않다. 그리고 유형별에 따라 한ㆍ중 사회 호칭어의 결합 양상에 공통점 찾을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차이점도 많이 존재한다.
의미 대조에서 한ㆍ중 사회 호칭어의 사전적 의미에 대해 일일이 살펴봤다. 사전적 의미를 살펴보는 동시에 사회적 의미를 가진 일부 한ㆍ중 사회 호칭어의 사회적 의미를 아울러 살펴봤다. 한ㆍ중 사회 호칭어의 사전적 의미와 사회적 의미에 대한 고찰을 통해 중국어의 통칭형 사회 호칭어에 있어 정치적 이념적 사회요인의 변화에 따라 반복적인 변화과정을 겪은 호칭어들이 존재한다는 사실(예를 들어 先生, 老板, 太太)과 일부분 한국어와 중국어 호칭어는 상당한 의미론적 변화를 하고 있다는 사실(예를 들어 아줌마, 아가씨, 同志, 小姐)을 알 수 있다. 또한 일부 한ㆍ중 사회 호칭어는 개념적으로 의미가 비슷하여도 사용 범위와 사용 경향이 너무 다르다는 사실을 알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이들 대응 한ㆍ중 사회 호칭어의 사용 범위와 사용 경향에 대해 대조하였다.
문화적 유사성으로 한국과 중국의 호칭어 사용 양상에 공동의 사용 원칙을 찾을 수 있다. 이 공동 원칙은 바로 존경 원칙과 친근 원칙이다. 한편, 언어 자체의 특징과 나라의 민족 문화 심리의 차이로 한ㆍ중 사회 호칭어의 사용 양상에 각각 예의 원칙과 평등 원칙이 나타난다. 본 연구에서는 한ㆍ중 사회 호칭어의 구체적인 사용 양상을 통해 이러한 사용 원칙을 설명하였다.
본 연구는 위와 같이 여러 측면에서 한ㆍ중 사회 호칭어를 대조해 봤다. 각 유형 어휘장에 포함되어 있는 구성 요소를 조사하고 각각의 어휘에 대해 자세히 설명하여서 선행연구보다 한ㆍ중 사회 호칭어에 대해 더 면밀히 기술하고 대조하였다. 그러나 사회 호칭어는 쉽게 사회 요인에 영향을 받아 계속 동태 변화의 과정에 처하여 있는데다가 필자가 가지고 있는 지식이 한정되어 있기 때문에 일부 호칭 명사의 사회적 의미에 대해 철저히 설명하지 못하는 결함이 있을 것이다. 필자는 끊임없이 자신의 지식 범위를 넓혀서 이를 향후의 연구에 보완해야 할 것으로 생각한다.
본 연구는 한ㆍ중 사회 호칭어에 대한 고찰과 대조를 통해서 두 나라의 사회 문화 및 민족 심리를 살펴봄으로써 한ㆍ중 교류에 기여하는 것과 중국인 한국어 학습자들이 한국어 사회 호칭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