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대중가요 제목의 언어 실태 연구 : 일제강점기와 2000년대를 중심으로 [韩语论文]

资料分类免费韩语论文 责任编辑:金一助教更新时间:2017-04-27
提示:本资料为网络收集免费论文,存在不完整性。建议下载本站其它完整的收费论文。使用可通过查重系统的论文,才是您毕业的保障。

중가요가 그 시를 반영하는 대표적인 문화 중 하나라는 점에서 대중가요 제목에 관한 연구는 각 시대의 언어생활 특징의 일면을 살펴보는 기회가 될 수 있다. 이에 본고에서는 시대의 ...

대중가요가 그 시대를 반영하는 대표적인 문화 중 하나라는 점에서 대중가요 제목에 관한 연구는 각 시대의 언어생활 특징의 일면을 살펴보는 기회가 될 수 있다.
이에 본고에서는 시대의 변화에 따라 다르게 나타나는 대중가요 제목의 언어 실태를 알아보았다. 특히 우리나라에서 대중가요가 시작된 시기이며 우리 민족의 역사에 있어서 특별한 기간이었던, 일제 강점기에 유행했던 대중가요 437곡과 2000∼2002년의 3년간 매달 순위 50위 안에 들었던 인기 대중가요 656곡을 대상으로 대중가요의 제목에 나타나는 언어 실태를 연구하여 그 결과를 비교하였다.
언어 실태 연구의 방법에 있어서는 음절별, 어종별, 형태별의 세 가지 기준으로 가요 제목의 어휘를 나누어 살펴보았다.
첫 번째로 음절수에 따라 분류해 본 결과, 대중가요의 제목은 1음절에서 14음절까지의 다양한 분포를 보이고 있긴 하지만, 두 시기 모두 비교적 음절수가 짧은 제목들이 대부분을 차지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특히, 일제 강점기에는 5음절, 2000년대에는 2음절로 된 제목이 가장 많았다. 즉, 일제 강점기의 대중가요 제목에 비해서 2000년대의 가요 제목이 비교적 짧아진 것이다.
두 번째로 가요의 제목들을 어휘 계통에 따라 분류하였다. 그 결과 일제 강점기에는 한자어형, 고유어형, 혼성어형의 순서로 높은 비율을 보였고, 2000년대는 고유어형, 외래어형, 한자어형, 혼성어형의 순서를 보였다. 이러한 차이는 각각의 시대상황을 반영한 결과라고 볼 수 있다.
마지막으로 대중가요의 제목을 단어형, 어구형, 문장형의 세 가지 형태로 분류해 본 결과 일제 강점기와 2000년대의 대중가요 제목 모두 단어형, 어구형, 문장형의 순서로 나타나, 대중가요의 제목에서 단어형의 제목이 대부분을 차지함을 알 수 있었다.
이러한 가요 제목의 어휘 연구를 통해서 언어는 시대가 변화함에 따라 그 사회의 모습을 반영하면서 달라진다는 것을 다시금 확인할 수 있었다.
앞으로 이러한 연구를 바탕으로 가요 제목에서 국어 어휘 사용이 어떻게 변모되어 왔는가를 살피는 작업이 총체적으로 이루어지길 기대한다.

Popular songs are one of the typical cultures reflecting the age. Thus, a study on the titles of the songs can become the opportunity of examining the characteristics of speech life in each age. This thesis, herewith, examined the verbal actual condi...

Popular songs are one of the typical cultures reflecting the age. Thus, a study on the titles of the songs can become the opportunity of examining the characteristics of speech life in each age.
This thesis, herewith, examined the verbal actual conditions of the titles of popular songs shown differently according to the changes of ages. In particular, I compared the results after I studied the verbal actual conditions revealed in the titles of popular songs, having as the object 437 pieces of popular songs which were prevalent in the period when Japanese imperialism occupied Korea by force, the period when popular songs started in Korea and the particular period in the history of Korean nation, and 656 pieces of popular songs whose ranks were higher than the 50th rank every month for the three years from 2000 to 2002.
In the methods of studying the verbal actual conditions, I divided and examined the vocabulary of the titles of the songs with the three criteria such a s the criterion by syllables, the criterion by kinds of words, and the criterion by forms.
First, a s the result of having classified them according to the number of syllables, the titles of popular songs were showing various distribution from one syllable to fourteen syllables. However, I could know that most of the titles of both periods were comparatively short in the number of syllables. In particular, most titles were five-syllable ones in the period when Japanese imperialism occupied Korea by force and two-syllable ones in the 2000s. That is, the titles of popular songs in the 2000s became comparatively short, compared to the ones of the songs in the period when Japanese imperialism occupied Korea by force.
Secondly, I have classified the titles of the songs according to the system of vocabulary. As the result, the period when Japanese imperialism occupied Korea by force showed high ratios in the order of Chinese-character word type, proper word type and hybrid type, and the 2000s in the order of proper word type, borrowed word type, Chinese-character word type and hybrid type. It can be seen that such difference is the result of reflecting the situation of each age.
Finally, a s the result of having classified the titles of popular songs into the three forms such as word type, phrase type and sentence type, all the titles of popular songs in the period when Japanese imperialism occupied Korea by force and the 2000s revealed high ratios in the order of word type, phrase type and sentence type and I could know that word type of titles occupied most of the titles of popular songs.
Through such study on the vocabulary of the titles of the songs, I could confirm again that language varied reflecting the shape of the society a s ages changed.
I expect that the working of examining how the use of Korean vocabulary has been transformed in the titles of the songs will be generally done based on such research in the future.

韩语毕业论文韩语毕业论文
免费论文题目: