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어는 고유어와 외래어 그리고 한자어로 분류할 수 있다. 그 중에서 한자어는 다시 순수 한자어와 혼종어로 분류된다. 이렇게 분류된 한자어는 국립국어연구원에서 간행한 「표준국어대...
한국어는 고유어와 외래어 그리고 한자어로 분류할 수 있다. 그 중에서 한자어는 다시 순수 한자어와 혼종어로 분류된다. 이렇게 분류된 한자어는 국립국어연구원에서 간행한 「표준국어대사전」의 표제어를 대상으로 한 통계에 의하면, 한국어 전체 어휘의 69.1%에 달한다고 한다. 따라서 한국어에서 한자어가 차지하는 그 위치나 중요성은 언급할 필요가 없이 매우 중요하다. 특히 한자권 한국어 학습자들에게는 한자어를 이용한 한국어 어휘 교육은 꼭 필요하다. 그러나 현재 시중에는 한자권 한국어 학습자들이 이용할 수 있는 한국 한자어 학습 사전을 편찬하는데 최종 목표를 두고, 한국과 중국의 한자어를 표제어로 삼아서 학습자에게 필요하고 유용한 표제어의 미시 정보를 기술하도록 하는데 본 연구의 목적이 있다. 이러한 연구를 통해 편찬된 한국 한자어 학습 사전은 한국어를 배우는 중국인에게 보다 쉽고 효율적으로 한국어를 학습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해 줄 것이다.
본 논문에서는 2003년 국립국어연구원에서 제시한 '한국어 학습용 어휘 선정 결과 보고서'의 5,965개의 어휘 중에서 한자어 3,246개만을 대상으로 하여 한국 한자어와 중국어 어휘의 의미와 품사, 용법을 비교하였다. 한국 한자어의 한자 표기와 동일한 중국어 어휘에 대해서만 비교가 이루어졌고 비교 결과에 따라 유형을 분류하였다. 분류된 어휘 자료는 한국 한자어 학습 사전의 표제어 배열과 제시 방법에서 기로 자료로 활용하였다. 표제어의 미시 정보 기술에 있어서는 단일어 사전 형식에 이중어 사전으로서의 형식을 가미하여 표제어의 정의 정보와 용례 정보에 대해 대역어와 번역을 하여 제시하는 방법을 취하였다. 이러한 방식은 외국어에 대한 학습자들의 부담과 거부감을 조금이라도 해소시켜 줄 수 있을 것이다.
지금까지 한자권 나라인 한국과 중국, 일본 등의 한자에 대한 비교·대조 연구는 많이 이루어져 왔으나 모두 어휘 비교에만 중점을 두고 있어, 그러한 자료를 활용한 교육 방법이나 어휘 교재 또는 사전으로 활용할 수 있는 방법에 대한 연구는 많지 않다. 또한 한국어 교육 분야의 사전 편찬에 관한 연구에 있어서도 실질적인 한국어 자료를 이용한 연구보다는 이론적인 연구에 중점을 두고 있어 학습자의 요구를 충족시켜 줄만한 사전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다. 따라서 본고에서는 한국 한자어와 중국어 어휘의 비교에만 끝나는 것이 아니라 그것을 한국 한자어 학습 사전을 편찬하는데 이용하여 학습자들이 원하는 표제어의 정보를 제공하고 그들의 요구를 반영한 학습자 중심의 학습 사전을 만드는 데 목적을 둔다. 다음은 각 장별로 살펴보겠다.
1장에서는 연구 목적과 연구 방법, 선행 연구를 소개하였다. 한자어 학습 사전의 필요성을 인식하고 기존 연구의 검토를 통해 본 논문의 방향을 함께 제시하였다.
2장에서는 한국 한자어의 특징에 대해 소개하였다. 한국어에서 한자어가 차지하는 비율과 중요성을 살펴보았고 이에 따라 본고가 대상으로 삼고 있는 한자어에 대해서 품사별, 등급별로 구분하여 그 수를 알아보았다. 한자어의 계보를 통해서 한국과 중국 그리고 일본의 한자에 대한 상관성을 알아보고 3장에서 다룰 한국 한자어와 중국어 어휘와의 비교 필요성에 대해 언급하였다. 또한 현재 한국어 교육에서 이루어지고 있는 한자어 교육 현황과 한자어 교재에 대해 소개하였으면, 이에 따라 언어권별, 수준별, 학습 목적별 다양한 사전 개발의 필요성에 대해 지적하였다.
3장에서는 한국 한자어의 한자와 동일한 표기를 하는 중국어 어휘를 가지고 비교를 하여 다음의 네 가지 유형으로 분류하였다. 첫째, 동형동의어(A형)로 동일한 형태에 의미와 품사, 용법이 동일한 어휘를 가리킨다. 둘째, 동형유의어(B형)로 동일한 형태를 가지고 있으나 의미가 완전히 일치하지 않는 어휘를 말한다. 즉, 한자 표기 형태는 동일하지만 의미와 품사에 있어서 어느 한 쪽에 포함되거나 서로 의미가 겹치는 어휘를 말한다. 셋째는 동형이의어(C형)로 한국과 중국의 한자의 표기 형태는 동일하지만 의미가 전혀 상관이 없는, 서로 다른 의미를 가지고 있는 어휘를 가리킨다. 넷째는 한국 한자어의 한자와 동일한 표기의 중국어 어휘가 없는 경우(D형)이다. 이와 같이 비교 유형을 네 가지로 나누고 각 유형에 따라 어휘를 제시하였다. 이 비교 자료는 4장에서 다룰 표제어의 배열과 제시 방법에서 다시 활용될 것이다. 따라서 여기에서는 양국의 어휘에 대한 자세한 비교는 하지 않았으며, 그 유형을 분류하여 제시하는데 의의를 두었다. 그리고 비교된 어휘 유형을 품사별 등급별로 나누어서 분석하였다.
4장에서는 앞의 3장에서 비교된 유형을 가지고 표제어 배열과 제시 방법에 대해 알아보고 표제어의 미시 정보 기술 방법에 대해 살펴보았다. 한국 한자어 학습 사전의 표제어는 한국 한자어와 중국어 어휘를 모두 표제어로 삼되, 앞의 3장에서 비교된 유형에 따라 중국어 어휘가 표제어로 제시될지에 대한 유무를 가리게 하였다. 즉, 동형 유의어와 동형이의어는 한국 한자어와 중국어 어휘 각각의 의미와 쓰임을 자세하게 비교해야 하기 때문에 한국 한자어 표제어 아래에 중국어 어휘를 표제어로 배열하였다. 또한 동형동의어와 D형인 한국 한자어와 동일한 한자 표기의 중국어 어휘가 없는 경우에는 중국어 어휘에 대한 의미나 쓰임을 제시할 필요가 없거나 제시할 수 없으므로 한국 한자어만을 표제어로 배열하였다. 표제어의 미시 정보 기술에 대해서는 기존의 사전인 「표준국어대사전」과 「연세 한국어 사전」, 「외국인 학습자를 위한 초급 한국어 사전 개발」을 참고로 하여 한국 한자어 학습 사전의 원어 정보, 발음 정보, 활용 정보, 품사 정보, 문형 정보, 문법 정보, 정의 정보, 용례 정보, 관련항 정보에 대해 살펴보았다. 그리고 중국어 어휘에 대한 미시 정보는 「현대한어사전」과 「진명 중한사전」, 「실용 한중사전」등을 참고로 하여 기술하였다. 마지막에서는 앞에서 논의된 미시 정보들을 바탕으로 실제 한국 한자어 학습 사전의 예를 제시하였다.
마지막 5장은 맺음말로서 본 논문의 내용을 정리하고 간과된 부분이나 부족한 점등에 대해 지적하고 처리 방안을 제시하였으며, 본 논문의 한계로 인해 미처 살펴보지 못한 부분에 대해 언급하고 앞으로의 과제로 제안하였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