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어 교사를 위한 웹 기반 그림 제작 도구 개발 연구 [韩语论文]

资料分类免费韩语论文 责任编辑:金一助教更新时间:2017-04-27
提示:本资料为网络收集免费论文,存在不完整性。建议下载本站其它完整的收费论文。使用可通过查重系统的论文,才是您毕业的保障。

This study is aimed at finding developing methods for web-based illustrations and editing tools which making pictured-materials as class supplementary data to be produced and used more efficiently as well as the data to be shared by Korean teachers th...

This study is aimed at finding developing methods for web-based illustrations and editing tools which making pictured-materials as class supplementary data to be produced and used more efficiently as well as the data to be shared by Korean teachers through using the tools. Previous studies analyzed visual factors of the materials in terms of semiotics and design. Contrastively, this study analyzed pictured-materials of Korean materials into pictorial morphemes and made the list in terms of visual communication to suggest drawing tool developing methods available to produce new pictured-materials by the teachers. This study searched theoretical background for developing drawing tools through literature research about the concept of multimedia-based language education, standards for analyzing visual factors of Korean materials and public education service model study for sharing data and opinions among the teachers. In addition, it surveyed Korean teachers with experiences of teaching beginners in internal and external Korean education institutes and confirmed their current usage of pictured-materials and need analysis about pictured-materials. Furthermore, it analyzed how 22 items of ‘beginners’ grammar: sentence ending expressions’ were represented in which pictorial forms from 4 kinds of Korean textbook materials suggested by Center for Teaching and Learning Korean of the National Institute of the Korean Language. Based on the results mentioned above, it suggested the standards, developing methods and practice for designing a drawing tool as well as how to use the tool. In this study, it analyzed how 22 grammatical items in beginner’s level were represented into pictorial forms in 4 kind of Korean materials and made quantitative limitation deducting insufficient pictorial factors according to the survey result from the teachers in terms of required factors for pictured-material development. Moreover, there are very a few studies about pictorial morphemes related to visual communication in Korean education field resulting frequent subjective judgment of the researcher to analyze pictured-materials. Consequently, there should be follow-up study for standard setting with considering pictorial morphemes. Web-based drawing tool suggested in this study is expected to retain pictured-materials as class supplementary data for Korean teachers and to be possible for saving time and efforts to produce and use them for efficient class preparation. As well, if pictured-materials were managed through the drawing tool and website continuously, it will be possible for a data bank of pictured-materials for Korean education.

연구한국교사들이 수업 보조 자료로서의 그림 자료를 보다 효율적으로 제작, 활용함은 물론 자료를 함께 공유할 수 있는 도구로써 웹 기반의 그림 제작 도구 개발 방안을 모색하고...

연구한국교사들이 수업 보조 자료로서의 그림 자료를 보다 효율적으로 제작, 활용함은 물론 자료를 함께 공유할 수 있는 도구로써 웹 기반의 그림 제작 도구 개발 방안을 모색하고자 하였다. 기존의 연구들이 기호학과 디자인의 관점에서 교재의 시각적 요소들을 분석했다면, 본 연구에서는 시각적 커뮤니케이션의 관점에서 한국어 교재 내의 그림 자료를 그림 형태소로 분석하여 목록화하고 교사들이 새로운 그림 자료를 제작할 수 있는 그림 제작 도구의 개발 방안을 제시하였다. 본 연구는 멀티미디어 기반 언어 교육의 개념과 한국어 교재 내 시각적 요소의 분석 기준, 그리고 교사들 간의 그림 자료와 의견 공유를 위한 공개 교육 서비스 모델에 관한 문헌 연구를 통해 그림 제작 도구 개발을 위한 이론적 배경을 살펴보았다. 그리고 국내·외 한국어 교육 기관에서 초급 단계의 한국어 교수 경험이 있는 교사를 대상으로 설문을 실시하여 교사들의 그림 자료 활용 실태 및 그림 자료에 대한 요구 사항을 확인하고, 국립국어원의 한국어 교수·학습샘터에서 제시한 22개 ‘초급 문법:종결 표현’ 항목이 4종의 한국어 교재에 어떤 그림의 형태로 제시되고 있는지를 분석하였다. 그 결과 그림 제작 도구의 설계 기준과 개발 방안, 실제를 제시하였고 이와 함께 그림 제작 도구의 활용 방안을 제안하였다. 본 연구는 기초적인 22개의 문법 항목에 속하는 4종 교재의 그림 자료만을 분석하였기 때문에 교사들이 그림 자료 개발 시 필요하다고 답한 그림 요소들을 충분히 도출 할 수 없었다는 양적 한계가 있다. 또한 한국어 교육에서는 시각적 커뮤니케이션 관점에서의 그림 형태소에 관한 연구가 거의 없어 그림 자료 분석 시 연구자의 주관적인 판단으로 분석해야 하는 경우들이 많았기 때문에 그림 형태소를 고려한 분석 기준의 설정 연구가 추가적으로 진행될 필요가 있다. 본 연구에서 제시한 웹 기반 그림 제작 도구는 한국어 교사들이 수업 보조 자료로서의 그림 자료를 확보하고 제작, 활용하기 위한 시간과 노력을 줄여 보다 효율적인 수업 준비를 가능하게 할 것으로 본다. 또한 그림 제작 도구와 사이트를 통해 그림 자료가 지속적으로 관리될 수 있다면 향후 한국어 교육을 위한 그림 자료의 데이터 뱅크로서의 역할도 가능할 것으로 기대한다.

韩语论文题目韩语论文题目
免费论文题目: