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에서는 초·중급 한국어 교재 내 텍스트를 New Dale-Chall 이독성 공식으로 분석하여 얻은 이독성 점수로 텍스트 난이도와 특징을 알아보고, 한국어 등급별 이독성 점수 기준을 제시하는 ... 본 연구에서는 초·중급 한국어 교재 내 텍스트를 New Dale-Chall 이독성 공식으로 분석하여 얻은 이독성 점수로 텍스트 난이도와 특징을 알아보고, 한국어 등급별 이독성 점수 기준을 제시하는 데 목적이 있다. 제1장에서는 한국어 학습을 위한 적절한 난이도의 텍스트 제공에 대한 필요성을 말하고, 한국어 교육에서의 이독성에 관한 연구를 살펴보았다. 제2장에서는 이독성에 대한 정의와 개념을 정리하고, 이독성 요인에 대해 살펴보았다. 또 해외에서 개발되고 신뢰도가 높으며 사용 빈도가 높은 이독성 공식인 Flesch Reading Ease 공식, Fry의 이독성 그래프, New Dale-Chall 이독성 공식을 살펴보고, 한국어 텍스트 분석에 적절한 이독성 공식을 확인하였다. 제3장에서는 한국어 교재 텍스트 분석 대상 및 분석 이독성 공식을 선정하였다. 분석 대상은 초급과 중급에 해당하는 기능분리형 교재 시리즈 중 읽기 교재 2종과 통합형 교재 시리즈 2종을 선정하고, 교재 내 텍스트를 총 593편을 분석 대상으로 하였다. 분석은 선행 연구에서 사용하고 한국어 상황에서 적절하게 적용 가능한 New Dale-Chall 이독성 공식을 선정하였다. 또 영어를 기반으로 한 New Dale-Chall 이독성 공식을 한국어 텍스트 상황에 맞게 측정 기준을 제시하였다. 제4장에서는 New Dale-Chall 이독성 공식을 이용한 텍스트 분석 결과를 등급별·교재별로 제시하고 교재별 텍스트의 특징을 살펴보았다. 기능 분리형 교재의 경우 초급1과 초급2의 이독성 점수 차이가 나타나지만, 통합형 교재의 경우 이독성 점수 차이가 크게 나타나지 않았다. 기능분리형 교재는 초급1에서 중급2까지 일정한 차이로 이독성 점수가 상승하지만 통합형 교재는 초급2와 중급1 사이에서 급격히 상승한다. 또한 통합형 교재의 말하기 영역과 읽기 영역 텍스트의 이독성 점수를 비교한 결과 중급으로 갈수록 이독성 점수의 차이가 많이 나타났다. 한국어 교육에서 등급별 텍스트 이독성 점수를 알아보기 위해 전체 텍스트를 등급별로 이독성 점수를 제시하였다. 이를 통해 선행 연구에서 제시한 이독성 한국어 등급 환산표의 신뢰성과 문제점을 지적하고, 새로운 이독성 한국어 등급 환산표를 설정하였다. 제5장에서는 본 연구에 대한 내용을 정리하고, 그에 따른 결론과 한계점을 논하였다. ,韩语论文范文,韩语论文题目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