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중 슬픔 관용어 대조 연구 : 신체어의 환유 표현을 중심으로 [韩语论文]

资料分类免费韩语论文 责任编辑:金一助教更新时间:2017-04-27
提示:本资料为网络收集免费论文,存在不完整性。建议下载本站其它完整的收费论文。使用可通过查重系统的论文,才是您毕业的保障。

과거 언어학자들은 대부분 관용어가 이미 관례화된, 어휘화된 ‘죽은’ 은유로 처리해 왔다. 20세기 80년대 Lakoff & Johnson부터 인지언어학적 시각을 수용하는 것의 의의가 있다고 여겨 관용...

과거 언어학자들은 대부분 관용어가 이미 관례화된, 어휘화된 ‘죽은’ 은유로 처리해 왔다. 20세기 80년대 Lakoff & Johnson부터 인지언어학적 시각을 수용하는 것의 의의가 있다고 여겨 관용어에 대한 인지적 접근방식에 관심을 기울이기 시작했다. 인간의 감정이란 육안으로 식별할 수 있다거나 객관적인 논리로 실체를 파악할 수 있는 대상이 아니라 추상적인 영역의 개념이기 때문에 일반적으로 사람들은 구별할 수 있는 구체적 사물에 무언가를 비유하여 자신과 혹은 타인의 추상적 개념을 최대한 구체적으로 표현하고 싶어하는 경우가 많다. 인간의 인지활동이 이루어질 때 은유법 및 환유법의 두 가지 비유법이 가장 핵심적인 기제라고 인지의미론에서는 밝혔다. 또한, 세계의 각양각색의 인류는 서로 현저히 다른 사회문화와 역사적 경험을 지니고 있으나 한편으로는 서로 간에 매우 유사한 심리적, 생리적 경험을 가지고 있어 공통적인 부분도 적지 않다. 물론 서로 다른 문화권에서 여러 감정과 관련된 양상에는 표현과 형성 방식에 차이가 나는 부분도 존재한다. 특히 관용어는 한 나라의 특유한 역사, 사회, 문화를 반영하고 있는 언어표현으로서 더더욱 그렇다. 그러므로 본고는 한·중 슬픔 감정과 관련된 관용어를 대상으로 삼아 인지언어학의 환유의 관점에서 한국인과 중국인은 같은 감정을 인지할 때 어떤 공통점과 차이점이 표현에 나타나고 있는지에 대해 밝히고자 하였다. 특히 슬픔과 관련된 관용어의 고찰을 통해 인간의 보편성과 특수성이 어떻게 나타나고 있는지를 살펴보는 것은 두 언어의 인지언어학적 대조 연구로서의 기초 자료가 될 것이다. 이를 위해서 1장에서는 연구의 목적, 연구 대상 및 방법 그리고 선행 연구를 기술하였다. 2장에서는 본고에 논의하는 슬픔 관용어의 선정에 대해 기술하였다. 관용어의 개념, 감정의 개념 및 분류를 고찰한 후 선행 연구를 바탕으로 슬픔의 범주를 ‘슬픔, 고통, 실망, 절망’ 4가지로 설정하였다. 다음에는 한국어와 중국어의 슬픔 및 슬픔 관련 하위범주의 개념을 고찰하고 선정방법을 규정하였다. 3장에 들어가면 슬픔 관용어를 인지언어학적 관점인 환유의 표현 양상을 살펴보려는데 먼저 감정의 분석 기제를 이론배경으로 삼고 ‘감정의 반응 모형’과 ‘감정의 생리적 반응 양상’ 두 가지로 나눠서 고찰해보았다. 나아가 ‘생리적 환유((physiological metonymy)’ 의 원리를 기초하여 한·중국어 슬픔 관용어의 환유적 표현을 [생리적 반응이 슬픔을 대신하다]와 [생리적 동작이 슬픔을 대신한다]로 나눠서 논의하였다. 제 4장에서는 수집된 한국어와 중국어 슬픔 관용어를 신체 외부 기관과 내부 기관으로 분류하고 다시 ‘슬픔’, ‘고통’, ‘실망’, ‘절망’으로 나눈 후 환유의 방법을 활용하여 사람들이 추상적 개념인 감정을 어떻게 인지하는지, 구체적으로 어떤 생리적 방응이 일어나는지에 대해 살펴보고자 했다. 특히 한국과 중국의 슬픔 관련 관용어를 분석하는 것에 그치지 않고 나아가 두 비교군 사이에 존재하는 상호 공통점과 차이점을 논의하였다. 마지막 제 5장에서는 앞의 내용을 정리하여 결론을 내리고 연구의 의의와 제한점을 제시하였다. 일정한 한계점을 지니고 있지만 본 연구는 인지언어학적인 입장에서 관용어를 대조해 보려고 시도하였다는 점과 이러한 연구 결과가 중국인 학습자에게 관용어 이해에 도움이 될 수 있다는 점에 있어서 연구의 의의를 찾을 수 있겠다.

In the past, linguists handled most of Idioms as customized and lexicalized ‘dead’ metaphors. In 1980s, scholars including Lakoff & Johnson considered meaningful to accommodate cognitive linguistics approach and started to pay attention to cog...

In the past, linguists handled most of Idioms as customized and lexicalized ‘dead’ metaphors. In 1980s, scholars including Lakoff & Johnson considered meaningful to accommodate cognitive linguistics approach and started to pay attention to cognitive approach to Idioms. As human emotion is not the thing to be seen in bare eyes or to be identified through objective logic but an abstract concept, people want to express their or others’ abstract concept as concrete as possible by comparing it to concrete things that people can generally discriminate one another. In cognitive semantics, two figures of speech such as metaphor and metonymy are said to be the most important mechanisms in cognitive activities of human beings. Additionally, while different races and people in the world have completely different sociocultural and historical experiences, they have very similar psychological and physiological experiences at the same time. Of course, there are parts to show differences in expressions and shaping methods in aspects related to various feelings and emotions in different cultural areas. It is especially true with Idioms as they are expression reflecting a nation’s original and unique history, society and culture. Accordingly, this article tries to identify common and different points when Koreans and Chinese recognize the same emotion from the metonymic perspective of cognitive linguistics focusing on idioms expressing sorrow. To review universal and special characteristics of human beings shown in sorrow related idioms will provide basic materials for comparative study of two languages from the perspective of cognitive language. In Chapter 1, the purpose of the study, subjects and method of the study and previous studies are described. In Chapter 2, criteria of sorrow related idioms that are discussed in this article are explained. After reviewing concept of idioms, concept and classification of emotion, it sets categories of sorrow as ‘Sorrow, Pain, Disappointment and Hopelessness’ based on previous studies. And then concepts of sorrow and sorrow related subcategories in Korean and Chinese are reviewed and selection criteria are specified. In Chapter 3, metonymic aspects of idioms are reviewed from the perspective of cognitive linguistics. First, ‘Responsive Model of Emotions’ and ‘Physiological Response Aspects of Emotions’ are reviewed while setting emotional analysis mechanism as theoretical background. Furthermore, based on the principle of physiological metonymy, metonymic expression of sorrow related idioms in Korean and Chinese are discussed under the category of [Replacing sorrow with physiological responses] and [Replacing sorrow with physiological actions]. In Chapter 4, sorrow related idioms collected in Korean and Chinese are classified into external organs and internal organs and then they are again divided into Sorrow, Pain, Disappointment and Hopelessness. It is tried to identify how people recognize emotion which is an abstract concept, what kinds of physiological responses they make through metonymic methods. Especially, it is not limited to analysis of sorrow related idioms in Korea and China but is expanded to discussion of common and different points existing between two comparison groups. Finally, in Chapter 5, discussions in previous chapters are summarized and conclusions are made. Meanings and limitations of the study are also presented. Although this study has certain limits, it is meaningful in that it tried to compare idioms from cognitive linguistic perspectives and these results can help Chinese learners to understand idioms.

참고문헌 (Reference)

免费论文题目: