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중 한자어 접두사 대조 : 한·중 사전에 나타난 공통 접두사 '非-, 老-, 準-, 小-'를 중심으로 [韩语论文]

资料分类免费韩语论文 责任编辑:金一助教更新时间:2017-04-27
提示:本资料为网络收集免费论文,存在不完整性。建议下载本站其它完整的收费论文。使用可通过查重系统的论文,才是您毕业的保障。

The purpose of this is to investigate the commonalities and differences between the Sino-Korean prefixes and the prefixes in Chinese which are included in two countries’ dictionaries. Through the study, Chinese students who learn Korean langua...

The purpose of this is to investigate the commonalities and differences between the Sino-Korean prefixes and the prefixes in Chinese which are included in two countries’ dictionaries. Through the study, Chinese students who learn Korean language may not only repeat mistakes of confusion in Sino-Korean words but also maximize Korean language learning through Sino-prefix. The contents of this study consist of 5 parts. Chapter 1 and 2 are prior-stages to conduct comparison investigation which generally presents purpose and necessity of this research. Chapter 2 displays the conclusion of early studies of Korean-Chinese prefix and subjects of the research, the research methods and procedures required of this thesis has been put together in this part. In the chapter 3 and 4, ‘비(非), 노(老), 소(小), 준 (準)’are selected as the research subject, and its interpretation and comparison of dictionary definition in the Standard Korean Dictionary and the Modern Chinese Dictionary were listed. The thoroughly examines the relationship between two languages by comparison study. Chapter 3 formed the vocabulary list with the reference of Korean [Standard Korean Dictionary] and the Chinese words that correspond to them. Some words are regarded as [Prefix/ Root]-structure in Korean, which is totally different in Chinese. Moreover, the words did not correspond from one language to another, instead they had duplicate meanings that create confusion in translation. After that, those words are divided into four types with charts to compare the commonalities and differences. Chapter 4 organized the results from chapter 3 and 4, it indicates the precautions should be realized by Chinese students who are learning Korean. And you can read the unresolved problems of this study and the mention of limitation of this research. Through the contractive study, we can discover the cause of the common grammar error for Chinese speakers who are learning Korean. This study can be effectively utilized a learning material to improve language skills for Chinese students who are learning Korean. Moreover, it can be helpful to create some effective teaching methods for learners and reduce mistakes in learning Korean.

본 연구는 한국어와 중국어 사전에 공통으로 수록되어 있는 한자접두사 4개를 추출하고 양국 언어에서의 사용양상을 대조하였다. 또한 의미상의 공통점과 차이점을 살펴보고, 중국인 학...

본 연구는 한국어와 중국어 사전에 공통으로 수록되어 있는 한자접두사 4개를 추출하고 양국 언어에서의 사용양상을 대조하였다. 또한 의미상의 공통점과 차이점을 살펴보고, 중국인 학습자들이 이 4개의 한자어 접두사 ‘비(非)-, 노(老)-, 소(小)-, 준(準)-’을 정확하게 인식하도록 분석하였다. 이를 통해 중국인 학습자들이 한국어를 학습하는 과정에 언어적인 간섭 현상으로 인한 오류를 범하지 않게 하는 데에 있다. 본 연구에서 논의한 내용을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제1장과 제2장은 접두사 대조연구를 하기 위한 선행 단계로서, 제1장에서는 본 연구의 목적 및 필요성을 제시하고, 연구의 구성을 밝혔다. 제2장에서는 한국어와 중국어에서 한자어 접두사에 관한 선행연구를 분석하였으며, 그 결과로 연구 대상 및 연구 방법을 제시하였다. 제3장과 제4장에서는 선정된 한자어 접두사 ‘비(非)-, 노(老)-, 소(小)-, 준 (準)-’을 대상으로 하여 한국 <표준국어대사전>과 중국 <현대한어사전(現代漢語詞典)>에 등재된 사전적 의미를 나열해서 대조하였다. 그 다음 <표준국어대사전>에 등재되어 있는 이들의 파생어 목록을 찾아내서 그에 대응하는 중국어 표현과 대조하여 이들이 두 언어에서 사용되고 있는 양상을 살펴보았다. 그 결과, 어떤 파생어는 한국어에서 [접두사]/[어근]의 구조를 보이지만 중국어에는 전혀 다른 구조를 보이는 경우도 있었다. 또한 한국어 파생어와 1대1로 대응되지 않고 의미항목의 다름에 따라 대응하는 중국어 표현도 다른, 복잡한 경우도 많았다. 그 다음 해당 한국어 파생어에 대응하는 중국어 표현을 살펴보고 관련 파생어를 네 가지 유형으로 분류한 후 이들 간의 차이점을 대조 분석을 통해 살펴보았다. 마지막으로 제5장 결론부분에서는 연구를 통해 얻은 결과물을 정리하고 중국인 학습자가 이 4개 한자어 접두사를 학습할 때 유의해야 할 점을 파악하였다. 그리고 이 연구의 의미를 서술하였으며, 한계점과 향후 과제를 제시하였다. 이러한 논의를 통해 중국인 학습자들이 한국어 한자어 접두사를 학습할 때 자주 일으키는 오류의 원인을 제시할 수 있고, 또 중국인 학습자를 위하여 한국어를 가르치고 있는 한국어 교육자들로 하여금 효과적인 접두사 교육 방안을 계획할 수 있기를 기대한다.

免费论文题目: