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문유해(同文類解)』에 나타나는 한국어 만주어 연어 비교 연구 : ‘체언/용언’형 연어를 중심으로 [韩语论文]

资料分类免费韩语论文 责任编辑:金一助教更新时间:2017-04-27
提示:本资料为网络收集免费论文,存在不完整性。建议下载本站其它完整的收费论文。使用可通过查重系统的论文,才是您毕业的保障。

본고는 중세 한국에서의 만주어 학습 자료들 중의 ��동문유해(同文類解)��의 표제항 중 연어 구성을 보이는 예들의 특징을 살펴보고 이를 바탕으로 중세 한국어와 만주...

본고는 중세 한국에서의 만주어 학습 자료들 중의 ��동문유해(同文類解)��의 표제항 중 연어 구성을 보이는 예들의 특징을 살펴보고 이를 바탕으로 중세 한국어와 만주어의 연어 구성상의 공통점 및 차이점을 알아보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1장에서 본고의 연구 목적을 밝히고 ��동문유해(同文類解)��의 연어적 표제항들 특히 ‘체언/용언’형 연어 표제항들을 연구의 대상으로 정한 후, 기존 ��동문유해(同文類解)��와 관련 국어학적 연구 및 다언어적인 연구를 검토하였다. 이어 2장에서 분석을 위한 기초 작업을 정리해서 논의하였다. 우선 ��동문유해(同文類解)��의 서지 및 체계를 소개하면서 특히 그 중에 띠는 연어적 특징을 제시하였다. ��동문유해(同文類解)��는 대역사전적 특성을 논의하고 연어의 기존 논의를 다시 검토하였다. 검토한 결과를 바탕으로 ��동문유해(同文類解)��의 표제항들이 전체적으로 나타나는 연어적 양상을 제시하였다. 다시 전체 표제항들을 논의에 따라서 '연어, 어휘'로 표기하고 나서 연어들 중에 ‘체언/용언’형 연어 목록을 추출하였다. 3장에서 ‘체언/용언’형 연어를 ‘전제적 연어’ 및 ‘관습적 연어’로 분류하였다. 분류에 따라서 ��동문유해(同文類解)�� 연어 표제항들이 나타내는 ‘전제적 연어’ 및 ‘관습적 연어’의 분포 양상을 제시하였고 그 중에 나타나는 특징을 분석하였다. ‘체언/용언’형 연어의 생성 기제가 ‘은유’ 및 ‘환유’ 등으로 설명하였다. 제시한 ‘은유’ 및 ‘환유’인 생성 기제가 실제 연어에 나타난 적용을 분석하였다. 3장에 이어서 연어핵 및 연어변의 대응 양상을 살펴봐서 그 중에 나타난 대응 양상을 분석하였다. 연어핵에 대해 체언의 다의화, 체언의 개념 공간 등으로 분석하였다. 연어변에 대한 분석은 연어의 형성 및 용언의 다의화 간의 관계, 연어의 논항구조 및 다의화 간의 관계로 구성되었다. 또한 이런 분석을 통해 ��동문유해(同文類解)��에 나타난 표제항들에 보이는 현상들을 설명하였다. 본 연구는 ��동문유해(同文類解)��에 나타난 한국어 및 만주어 연어를 중심으로 논의하고 연어 연구를 유형론적으로 확장시키는 데 그 의의가 있다. 특히 주된 논의에서 단순히 대응유형, 연어핵 연어변의 특징을 분석하는 데에 그치지 않고 연어 생성 기제가 연어에 미친 영향 및 연어와 합성어 간의 통사적 특징도 함께 논의하였다. 이는 연어 대조·비교 연구 영역에서 연어의 생성 및 연어가 각 언어에 차지하고 있는 통사적 위치를 연구하는 것도 필요하다고 본다.

Dong-Mun-Yu-Hea is one of the Manchu language learning materials in Middle Korea. Some entries among the book are seen as collocations. This study aims at looking at the characteristics of these entries and base on this to look for the structurally co...

Dong-Mun-Yu-Hea is one of the Manchu language learning materials in Middle Korea. Some entries among the book are seen as collocations. This study aims at looking at the characteristics of these entries and base on this to look for the structurally commonality and commonality of collocations of Middle Korean and Manchu. For this in chapter 1 the aim of this study is elucidated. The object of this study is decided on the collocational entries of Dong-Mun-Yu-Hea, especially the collocations entries of the {substantives / declinable word} type, And then the existing Korean linguistic and multilingual studies which about Dong-Mun-Yu-Hea are reviewed. In succession in chapter 2 the spadework which is prepared for analysis is arranged and discussed. First the bibliography and system of Dong-Mun-Yu-Hea are introduced and the collocational characteristics are presented. The multilingual dictionary characteristics of Dong-Mun-Yu-Hea are examined. By the outcome of the examination the general collocational aspects of the entries of Done-Mun-Yu-Hea are presented. And then by the theory the collocations and lexicons are marked among the all entries. Then I extracted the list of the collocations entries of the {substantives / declinable word} type from the marked collocations. In the chapter 3 I classified the collocations of the {substantives / declinable word} type by prerequisite collocation and chronically collocation. By the classification I presented the distribution aspect of prerequisite collocations and chronically collocations which belong Dong-Mun-Yu-Hea entries. Then I analyzed the characteristics of these. And then I explained the formation ofthe collocations of the {substantives / declinable word} type by metonymy and metaphor. Then I analyzed how the formation caused by metonymy and metaphor effected at collocations. In chapter 3 I looked at the aspect of confrontation of the base and collocate and analyzed on this. For the base I analyzed by the polysemization of substantive and concept space etc. For the analysis of collocate there including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formation of collocation and the polysemization of declinable,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argument structure of collocation and polysemization. By the analysis the phenomenons which can seen from the Dong-Mun-Yu-Hea entries can be explained. This study focused on the Middle Korean and Manchu collocations which appeared in Dong-Mun-Yu-Hea, and extended the typological study of collocation. This is where the meaning locus. Expecially, this study haven't stopped at the analysis of correspondence type and the characteristics of the base and collocate, analyzed how the formation of collocation effects the collocation and the syntactic characteristics between collocation and compound. For me, I think at the field of comparing study and contrasting study on collocation, it is needed to study the formation of collocation and the syntactic position of collocation at each languages.

韩语毕业论文韩语论文
免费论文题目: