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대근무자의 감정표현불능증, 직무스트레스 및 자원동원성이 신체화 [韩语论文]

资料分类免费韩语论文 责任编辑:金一助教更新时间:2017-04-27
提示:本资料为网络收集免费论文,存在不完整性。建议下载本站其它完整的收费论文。使用可通过查重系统的论文,才是您毕业的保障。

Objective: This study aimed to assess alexithymia, occupational stress, resourcefulness and somatization among shift workers and to evaluate their relationship. Method: Data was collected from 180 shift workers included nurses, polices, and fire-figh...

Objective: This study aimed to assess alexithymia, occupational stress, resourcefulness and somatization among shift workers and to evaluate their relationship. Method: Data was collected from 180 shift workers included nurses, polices, and fire-fighters. For assessing alexithymia, occupational stress, resourcefulness, and somatization, they were evaluated with Toronto Alexithymia Scale (TAS-20), Korean Occupational Stress Scale-Short Form (KOSS-SF), Self-Control Schedule(SCS), and Symptom Check List-90-revision (SCL-90-R). Data was statistically analyzed by descriptive statistics, t-test, ANOVA,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s, and multiple regression. Results: Significant differences with somatization were found in gender among shift workers(t=-2.49, p=.014). Significant relationship were found among alexithymia(r=.56, p<.001), occupational stress(r=.35, p<.001) and somatization. Alexithymia was only factor significantly predicted somatization(β=.50, p<.001) and its explanation power was 31%. Conclusion : In our study, Alexithymia was shown to be a potential risk factor for increased somatization among shift workers. Therefore, adjusting alexithymia with potential problems of the shift workers may reduce their somatization. Findings provide comprehensive understanding of somatization and its related factors among shift workers.

본 연구는 교대근무자의 감정표현불능, 직무스트레스, 그리고 자원동원력과 신체화의 관계를 확인하여, 교대근무자의 신체화 중재 개발의 기초자료를 제시하고자 시행한 서술적 조사연구...

본 연구는 교대근무자의 감정표현불능, 직무스트레스, 그리고 자원동원력과 신체화의 관계를 확인하여, 교대근무자의 신체화 중재 개발의 기초자료를 제시하고자 시행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자료 수집은 J지역에 소재한 1개의 종합병원과 6개의 지구대, 5개의 119센터, S지역의 2개의 종합병원과 4개의 지구대, 5개의 119센터에 근무하는 교대근무자를 대상으로 2015년 11월 9일부터 2016년 1월 31일까지 자가보고 설문지를 이용하여 이루어졌다. 연구변수 측정은 Bagby 등(1994)에 의해 발표된 감정표현불능척도(Toronto Alexithymia Scale, TAS-20)을 정운선 등(2003)이 수정한 TAS-20K와 장세진 등(2005)이 개발한 한국형 직무스트레스 측정도구 단축형(Korean Occupational Stress Scale-Short Form, KOSS-SF), Rosenbaum (1980)이 개발하고 서순림 등(1998)이 한국어로 번안한 자기조절 스케쥴(Self-Control Schedule, SCS)과 Derogatis & Cleary (1977)에 의해 제작된 Symptom Check List-90-revision을 김광일 등(1984)이 표준화한 자기보고식 다차원 증 상 목록검사 중 신체화 증상 차원의 측정도구를 사용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22.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서술적 통계분석과 t-test, ANOVA,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s 및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韩语论文题目韩语论文题目
免费论文题目: