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bstract Title: The Effects of Task-Oriented Circuit Training using Unstable Surface on Balance, Walking and Balance Confidence in Persons with Subacute Strok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if task-oriented circuit training using unstable... Abstract Title: The Effects of Task-Oriented Circuit Training using Unstable Surface on Balance, Walking and Balance Confidence in Persons with Subacute Strok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if task-oriented circuit training using unstable surface could improve balance, gait, and balance confidence in patients with subacute stroke. Forty-five patients with subacute stroke were randomly divided into three groups of 15: 1) task-oriented circuit training using unstable surface (EXP1), 2) task-oriented circuit training (EXP2), and 3) conventional physical therapy (CON). All patients participated in one of the three training programs for 6 weeks, 30 minutes per session, 3 times per week. Patients’ balance ability was assessed using the Postural Sway (PS), Berg Balance Scale (BBS), Timed Up and Go (TUG) test, and Limited of Stability (LOS). Gait speed and paretic side plantar pressure were measured to examine gait ability. Korean Activities-Specific Balance Confidence (KABC) Scale was also used to assess the level of patients’ confidence in daily activities. The paired t test and one-way ANOVA were conducted to determine within- and between-group differences, respectively, in balance and gait variables. A post-hoc test was performed using the LSD, and the significance level was set at 0.05. The EXP1 group exhibited a significant decrease in PS area with eyes open (p<.01) and closed (p<.001), but not the CON group. The EXP2 group showed a significant decrease only with the eyes closed condition (p<.05). The EXP1 group also demonstrated a significant decrease in PS length with eyes open (p<.001) and closed (p<.001), but the EXP2 and CON groups did not. The changes in PS area and length in the EXP1 group were significantly greater than those in the EXP2 (p<.001) and CON groups (p<.001). The BBS scores in the EXP1 and EXP2 groups significantly increased after training (p<.001), but not that in CON group. The change in the BBS score in the EXP1 group was significantly higher compared to the EXP2 (p<.001) and CON groups (p<.001). The TUG score significantly improved in the EXP1 (p<.001) and EXP2 groups (p<.05), but the CON group did not. The improvement in the TUG score in the EXP1 was significantly greater than that in the CON group (p<.001) but not in the EXP2 group. The EXP1 group exhibited significant increases in the forward, rearward, leftward, and rightward LOS scores (p<.001) following training, but not the CON group. The EXP2 group also showed significant increases in the forward (p<.01), rearward (p<.05), and leftward LOS scores (p<.01). The changes in the LOS scores in the EXP1 group were significantly higher than those in the EXP2 (p<.01) and CON groups (p<.001). Gait speed significantly increased in the EXP1 (p<.001) and EXP2 group (p<.01) after training. Conversely, the CON group showed a significant decrease in gait speed (p<.001). The change in gait speed in the EXP1 group was significantly greater compared to the EXP2 (p<.001) and CON group (p<.001). Paretic side plantar pressure also significantly increased in the EXP1 (p<.001) and EXP2 groups (p<.01) following training. However, paretic side plantar pressure in the CON group significantly decreased (p<.01). The change in paretic side plantar pressure in the EXP1 group was significantly greater than that in the EXP2 (p<.01) and CON groups (p<.001). The EXP1 and EXP2 groups showed significant improvements in the KABC scores after training (p<.001), but the control group did not. The improvement in the KABC score in the EXP1 group was significantly higher compared to the EXP2 (p<.01) and CON groups (p<.001). The results of this study showed that patients with subacute stroke significantly improved balance, gait, and the level of confidence in daily activities following task-oriented circuit training using unstable surface. This indicates that task-oriented circuit training using unstable surface can be an effective treatment method for recovery of balance and gait in people with subacute stroke. Key words: task oriented circuit training, unstable surface, Balance, Gait, Balance confidence, Stroke
요 약 제목 : 불안정한 지지면에서의 과제지향 순환훈련이 아급성기 뇌졸중 환자의 균형, 보행 및 균형자신감에 미치는 영향 본 연구의 목적은 불안정한 지지면에서의 과제지향 순환훈... 요 약 제목 : 불안정한 지지면에서의 과제지향 순환훈련이 아급성기 뇌졸중 환자의 균형, 보행 및 균형자신감에 미치는 영향 본 연구의 목적은 불안정한 지지면에서의 과제지향 순환훈련이 아급성기 뇌졸중 환자의 균형, 보행 및 균형자신감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아급성기 뇌졸중 편마비환자 45명을 대상으로 세 집단에 15명씩 무작위 배정한 다음에, 각 집단에 불안정한 지지면에서의 과제지향 순환훈련(실험군1), 안정된 지지면에서의 과제지향 순환훈련(실험군2), 일반적인 물리치료(대조군)를 회기 당 30분, 휴식시간 15분을 부여하였으며 주당 3회, 총 6주간 적용하였다. 훈련 전·후에 균형, 보행 및 균형자신감을 평가하기 위하여 버그균형척도(Berg Balance Scale, BBS), 균형측정시스템(BT-4), 일어선 후 걸어 다녀오기 검사(Timed up & Go test, TUG), 스마트 스텝(Andante, Israel), 10m 보행검사(10 Meter Walk Test, 10MWT), 한국어판 활동 특이적 균형자신감척도(Korean Activities-specific Balance Confidence scale; K-ABC)를 사용하였고, 제 종속변수들의 집단 내 훈련 전·후 변화 및 집단 간 변화량을 비교분석 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훈련 전 보다 훈련 후에 눈을 뜬 상태의 동요면적에서 실험군1은 유의하게 감소(p<.01)한 반면에 실험군2와 대조군은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p>.05). 훈련 전 보다 훈련 후에 눈을 감은 상태의 동요면적에서 실험군1(p<.001)과 실험군 2(p<.05)는 유의하게 감소한 반면에, 대조군은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p>.05). 세 집단 간 눈을 뜬 상태 및 눈을 감은 상태에서의 동요면적은 훈련 전·후 변화량은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p<.01). 둘째, 훈련 전 보다 훈련 후에 눈을 뜬 상태의 동요거리에서 실험군1은 유의하게 감소(p<.001)한 반면에 실험군 2와 대조군은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p>.05). 훈련 전 보다 훈련 후에 눈을 감은 상태의 동요거리에서 실험군1은 유의하게 감소(p<.001)한 반면에 실험군2와 대조군은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p>.05). 세 집단 간 눈을 뜬 상태 및 눈을 감은 상태에서의 동요거리는 훈련 전·후 변화량은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p<.001). 셋째, 훈련 전 보다 훈련 후에 BBS 값에서 실험군1과 실험군2는 유의하게 증가(p<.001)한 반면에, 대조군은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p>.05). 세 집단 간 BBS 값의 훈련 전·후 변화량은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p<.001). 넷째, 훈련 전 보다 훈련 후에 TUG 값에서 실험군1(p<.001)과 실험군2(p<.05)는 유의하게 감소한 반면에, 대조군은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p>.05). 세 집단 간 TUG 값의 훈련 전·후 변화량은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p<.01). 다섯째, 훈련 전 보다 훈련 후에 전·후방, 좌·우측방 안정성 한계에서 실험군1(p<.001)은 유의하게 증가하였고, 실험군2는 전방(p<.01), 후방(p<.05), 좌측(p<.01) 안정성 한계가 유의하게 증가하였다. 반면에 실험군2의 우측 안정성 한계와 대조군의 전·후방, 좌·우측 안정성 한계는 훈련 전·후에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p>.05). 세 집단 간 전·후방, 좌·우측 안정성 한계의 변화량은 모두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p<.001). 여섯째, 훈련 전 보다 훈련 후에 보행 속도에서 실험군1(p<.001), 실험군 2(p<.01) 및 대조군(p<.01)은 유의하게 증가하였다. 세 집단 간 보행속도의 훈련 전·후 변화량은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p<.001). 일곱째, 훈련 전 보다 훈련 후에 전체, 전족부 및 후족부 족저압에서 실험군1(p<.001), 실험군2(p<.01) 및 대조군(p<.01)은 유의하게 증가하였다. 세 집단 간 전체, 전족부 및 후족부 족저압의 훈련 전·후 변화량은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p<.001). 여덟째, 훈련 전 보다 훈련 후에 활보장에서 실험군1(p<.001)은 유의하게 증가한 반면에, 실험군2(p>.05)는 유의한 차이가 없었고, 대조군(p<.001)은 유의하게 감소하였다. 훈련 전 보다 훈련 후에 분속수에서 실험군1(p<.01)은 유의하게 감소한 반면에, 실험군2(p>.05)는 유의한 차이가 없었고, 대조군(p<.001)은 유의하게 증가하였다. 세 집단 간 활보장 및 분속수의 훈련 전·후 변화량은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p<.001). 아홉째, 훈련 전 보다 훈련 후에 K-ABC 척도 값에서 실험군1(p<.001)과 실험군 2(p<.001)는 유의하게 증가한 반면에, 대조군은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p>.05). 세 집단 간 K-ABC 척도 값의 훈련 전·후 변화량은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p<.001) 따라서 불안정한 지지면에서의 과제지향 순환훈련은 아급성기 뇌졸중 환자의 보행, 균형 및 균형자신감을 증진 시킬 수 있는 중재방법임을 제안한다. 중심단어: 뇌졸중, 불안정한 지지면, 과제지향 순환훈련, 보행, 균형, 균형자신감 ,韩语论文网站,韩语论文题目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