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어와 중국어 의지표현 비교연구 : ‘-겠-’, ‘-(으)ㄹ 것이다’, ‘-(으)ㄹ래’, ‘-(으)ㄹ게’를 중심으로 [韩语论文]

资料分类免费韩语论文 责任编辑:金一助教更新时间:2017-04-27
提示:本资料为网络收集免费论文,存在不完整性。建议下载本站其它完整的收费论文。使用可通过查重系统的论文,才是您毕业的保障。

Since expressions of will in Korean are varied. And these meanings and usage are similar to each other, it is easy to cause confusion to Korean learners and can not be used well. In addition, the comparative study of the expression of will between Kor...

Since expressions of will in Korean are varied. And these meanings and usage are similar to each other, it is easy to cause confusion to Korean learners and can not be used well. In addition, the comparative study of the expression of will between Korean and Chinese focused mainly on Chinese verbs 'hui' and 'yao', revealing very complex correspondences or piecemeal correspondences. So I think it needs to be supplemented a lot. In this , in order that the Korean learners in China are able to distinguish and utilize the Korean expression of will ‘-겠-’, ‘-(으)ㄹ 것이다’, ‘-(으)ㄹ래’, ‘-(으)ㄹ게’, this study is to compare the degree of the expression of will in Korean and Chinese, and contrast and analysis the Korean and Chinese expression of will by laying emphasis on Pragmatics. The object of this study are the expression of will in Korean ‘-겠-’, ‘-(으)ㄹ 것이다’, ‘-(으)ㄹ래’, ‘-(으)ㄹ게’, and Chinese ‘dei’, ‘hui’, ‘yao’, ‘Ø’ by focusing only on first - person statement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larify the correspondence relationship between the expression of will in Korean and Chinese. In Chapter 1, we presented the study purpose and necessity of this , previous studies on the expression of will in Korean and Chinese. And described the degree of the expression of will and contrastive analysis contrast analysis hypothesis as the study methods of this . In Chapter 2, the expression of will in Korean ‘-겠-’, ‘-(으)ㄹ 것이다’, ‘-(으)ㄹ래’, ‘-(으)ㄹ게’, and Chinese ‘dei’, ‘hui’, ‘yao’, ‘Ø’ were discussed individually, and their syntactic, semantic and pragmatical characteristics were revealed. In Chapter 3, the degree of the expression of will in Korean ‘-겠-’, ‘-(으)ㄹ 것이다’, ‘-(으)ㄹ래’, ‘-(으)ㄹ게’, and Chinese ‘dei’, ‘hui’, ‘yao’, ‘Ø’ were comparative analyzed. Next, the syntactic, semantic, pragmatics, and the degree of expression of will of the two languages’ expressions of will ​​were contrasted and analyzed. In chapter 4, based on the results of the contrast analysis revealed in chapter 3, we threw out some suggestions on the Korean language education of expression of will for Chinese learners. In Chapter 5, we summarizes the results of this study. This study provides another rationale for the study of the expressions of will. In addition, I think that it is meaningful to use the linguistic similarity to promote the language education through the primary one - to - one correspondence relationship which was got from the contrast analysis of the expression of will in Korean and Chinese. And I think that it is meaningful that the Chinese learners can predict and prevent some difficulties or errors that can be experienced when learning Korean expression of will through the one – to - many correspondence relationship.

한국어 의지표현이 다양하고 의미와 용법이 많이 유사하기 때문에 한국어 학습자에게 혼란을 초래하기 쉽고 잘 활용하지 못한 부분이라 할 수 있다. 또한 한ㆍ중 의지표현비교연구는 대...

한국어 의지표현이 다양하고 의미와 용법이 많이 유사하기 때문에 한국어 학습자에게 혼란을 초래하기 쉽고 잘 활용하지 못한 부분이라 할 수 있다. 또한 한ㆍ중 의지표현의 비교연구는 대부분 중국어 능원동사 ‘會’, ‘要’에만 집중하여 아주 복잡한 대응관계를 밝히거나 단편적인 대응관계를 제시하는 것이다. 그래서 이에 대해 많이 보완할 필요가 있다고 생각한다. 본 논문은 중국인 학습자가 한국어 의지표현 ‘-겠-’, ‘-(으)ㄹ 것이다’, ‘-(으)ㄹ래’, ‘-(으)ㄹ게’를 잘 구별하여 활용할 수 있게끔 한ㆍ중 의지표현의 대응관계를 새로 밝히는 데에 목적을 둔다. 이 네 표현과 이에 대응하는 중국어 의지표현 ‘得’, ‘會’, ‘要’, 'Ø'를 연구대상으로 삼아 1인칭 서술문에 한정하여 한ㆍ중 의지표현을 의지정도성의 측면으로 비교하고 화용적 측면에 중점을 두어 대조 분석하였다. 1장에서는 연구 목적 및 필요성을 제시하고 한ㆍ중 의지표현에 대한 선행연구들을 검토하였다. 또는 연구 대상과 연구 범위를 한정하고 연구방법인 의지정도성의 비교와 대조분석 가설을 이야기 하였다. 2장에서는 한국어 의지표현 ‘-겠-’, ‘-(으)ㄹ 것이다’, ‘-(으)ㄹ래’, ‘-(으)ㄹ게’와 중국어 의지표현 ‘得’, ‘會’, ‘要’, ‘Ø’의 특징을 개별적으로 논의하고 이들의 통사적, 의미ㆍ화용적 특징을 밝히었다. 중국어 의지표현 ‘得’, ‘Ø’에 대해 새로 논의하고 또 한ㆍ중 의지표현의 개별적 특징을 어느 정도로 보완하였다. 3장에서는 의지정도성 이론을 바탕으로 하여 한국어 의지표현 중의 ‘-겠-’, ‘-(으)ㄹ 것이다’, ‘-(으)ㄹ래’, ‘-(으)ㄹ게’와 중국어 의지표현 중의 ‘得’, ‘會’, ‘要’, 'Ø'에 대한 의지정도성을 비교하고 한국어 의지표현의 의지 정도성을 ‘-겠-’> ‘-(으)ㄹ래’> ‘-(으)ㄹ 것이다’> ‘-(으)ㄹ게’의 순서로 배열하고 중국어 의지표현을 ‘得’> ‘要’> ‘會’> ‘Ø’의 순서로 정하였다는 것을 밝히었다. 그리하여 의지정도성의 측면에서 볼 때 ‘-겠-’과 ‘得’; ‘-(으)ㄹ 것이다’와 ‘會’; ‘-(으)ㄹ래’와 ‘要’; ‘-(으)ㄹ게’와 ‘Ø’가 일대일 대응관계를 갖는다는 것을 밝히었다. 다음 양 언어의 통사적, 의미ㆍ화용적, 의지정도성의 측면에서 한ㆍ중 의지표현을 대조 분석하였다. 결과는 ‘-겠-’과 ‘得’; ‘-(으)ㄹ 것이다’와 ‘會’; ‘-(으)ㄹ래’와 ‘要’; ‘-(으)ㄹ게’와 ‘Ø’는 일차적인 일대일의 대응관계를 갖는다고 할 수 있지만 화용적으로 분석할 때 특정된 상황에서 다른 일대다의 대응관계도 나타난다는 것을 밝히었다. 4장에서는 3장에 밝혀진 대조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중국인 학습자를 위한 한국어 의지표현 교육에 대해 제언을 하였다. 한ㆍ중 의지표현의 거의 일치되는 대응관계로부터 가르치고 그 다음에 여러 가지 담화 자료를 이용하여 화용적으로 일대다의 대응하는 상황을 설명해 주면 ‘-겠-’, ‘-(으)ㄹ 것이다’, ‘-(으)ㄹ래’, ‘-(으)ㄹ게’ 이 네 의지표현을 잘 구별하고 오류를 예방할 수 있도록 하는데 도움이 된다는 것을 제시하였다. 5장에서는 본 연구의 결과를 정리하였다. 본 연구는 의지정도성의 비교분석은 한ㆍ중 의지표현의 연구에 대해 또 하나의 이론적 근거를 제공한다. 또한 한ㆍ중 의지표현의 대조분석을 통해 일차적인 일대일 대응관계를 나타내면서 언어적 유사성을 교육에 활용하는 점에서 의의가 있을 것이라 본다. 그리고 일대다의 대응관계를 통해 중국인 학습자들이 한국어 의지표현을 학습할 때 겪을 수 있는 어려움이나 범할 수 있는 오류를 어느 정도 예측할 수 있고 예방할 수 있다는 점에서도 의의가 있을 것으로 본다.

韩语论文网站韩语毕业论文
免费论文题目: