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제결혼 이주여성의 양육스트레스와 양육지원요구 [韩语论文]

资料分类免费韩语论文 责任编辑:金一助教更新时间:2017-04-27
提示:本资料为网络收集免费论文,存在不完整性。建议下载本站其它完整的收费论文。使用可通过查重系统的论文,才是您毕业的保障。

한국 생활에 대한 제대로 된 정보 없이 결혼하는 이주여성들이 한국사회에 적응도 채 되기 전에 자녀를 출산하게 되면서 많은 스트레스를 겪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국제결혼 이주여성...

한국 생활에 대한 제대로 된 정보 없이 결혼하는 이주여성들이 한국사회에 적응도 채 되기 전에 자녀를 출산하게 되면서 많은 스트레스를 겪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국제결혼 이주여성의 양육스트레스와 양육지원 요구, 이주여성의 일반적 변인에 따른 양육스트레스와 양육지원 요구 서비스의 차이, 그리고 이주여성의 양육스트레스와 양육지원 요구 서비스와의 관계를 알아보았다. 본 연구의 대상은 경상남도 창원시에 거주하고 있는 국제결혼 이주여성 121명이며, 창원 다문화가족지원센터를 이용하는 이주여성들과 다문화 가족모임 등에 협조요청하여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본연구의 결과를 분석하기 위하 PASW WIN(18.0)를 사용하여 빈도분석, t-검정, 일원변량분석(ANOVA), 상관관계 등의 통계 방법을 이용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자녀 양육시 느끼는 어려움은 양육비용이 1순위로 나타났으며, 그 다음으로는 육아 조력인이 없음을 꼽았으며, 자녀 양육시 어려움에 직면했을 때는 남편이나 시부모님에게 가장 많이 지원을 받는다고 하였다. 둘째, 국제결혼 이주여성의 양육스트레스는 보통 3.0보다 약간 낮은 점수를 보이고 있 으며, 이주여성의 연령, 소득, 학력, 첫째자녀의 연령에 따라 양육스트레스의 차이가 나타났는데 이주여성의 연령, 소득, 학력, 첫째 자녀의 연령이 높을수록 양육스트레스가 낮게 나타났다. 셋째, 이주여성의 일반적 변인에 따른 양육지원 요구 서비스의 차이가 나타났다. 31~35 세 연령의 이주여성이 한국어교육서비스, 임신출산 관련 지원 서비스, 자녀발달 놀이지원, 어머니 취미활동 서비스 요구도가 가장 높게 나타났다. 소득이 낮을수록 서비스 요구도는 높게 나타났으며, 첫째자녀의 연령이 낮을수록 개인상담 서비스와 어머니 취미활동 서비 스에 대한 요구도가 높게 나타났다. 넷째, 이주여성의 자녀양육스트레와 양육지원 요구 서비스와의 상관관계를 보면 상호작용스트레스를 높게 느낄수록 한국어 교육서비스, 임신출산관련 지원 서비스, 가정폭력상담 서비스도 같이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그 설명력은 다소 낮은 편이며, 개인생활스트레스와는 ‘한국사회 이해를 위한 적응능력’ 서비스를 제외하고는 모든 서비스와 정적 상관을 보이고 있다. 육체적 스트레스는 부부관계, 가족관계 상담서비스, 자녀발달놀이 지원 서비스에서 정적상관을 보이고 있으며, 좋은부모 스트레스는 모든 서비스에서 유의적인 상관이 나타나지 않았다.

Immigrant women of international marriage are known to be under stress because they have lack of information about Korean life style. and give birth child before settling down in Korean society.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married immigr...

Immigrant women of international marriage are known to be under stress because they have lack of information about Korean life style. and give birth child before settling down in Korean society.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married immigrant women's parenting stress and demands for parenting support, to see if the two variables were different depending on their general background variables, and to explain what the relationship of the two variables were. The research participants were 121 married immigrant women who lived in the city C, South Gyeongsang Province. Multi-cultural family support centers and multi-cultural family meetings in Changwon were enquired by the research in order to contact the marriage immigrated mothers. PASW WIN(18.0) was used in order to analyse frequencies, t-test, ANOVA, and Correlations of the data. The research findings were as follows: Firstly, the most difficulties in parenting was 'cost for child care'. 'Lack of family support in parenting' was followed next and ranked second position. When asked about 'who support when they encountered parenting difficulties', "supports from husband or parents in law" scored the most. Secondly, married immigrant women's parenting stress was slightly lower than 3.0. Their stress were different depending on their age, income, education, the age of their first child. The higher scores they had in the general background variables, the lower stress level they demonstrated. Thirdly, demands for parenting support service was different depending on the mothers' general background variables. 31- 35 years old women showed the highest demands for the services such as Korean language class, pregnancy/ delivery support, provision of developmental play, and mother's hobby/leisure activity club. When the mother had lower income and their first child was younger, they tended to demand more support services. For example, personal counselling and mother's hobby/leisure activity club were highly demanded by the mothers of younger aged first child. Fourth, considering the relationship between immigrant women's parenting stress and demands for the support services, the mothers who had higher stress level in interaction/communication problem more demanded services such as Korean language class, pregnance/delivery support, counselling service for domestic violence (However, the relationship was not sufficient enough.) Apart from the demands for 'the services for adjusting and understanding Korean society', 'personal life stress' had positive relationship with all demands for support services. 'Physical stress' showed positive relationship with demands for services such as 'marital relation', 'family counselling service', and 'provision of developmental play'. 'Good parent stress' did not show any particular relationship to their demands for services.

韩语论文范文韩语论文题目
免费论文题目: