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고에서는 초급 대상의 이주노동자 한국어 학습자를 위한 말하기 과제 구성 기준을 도출하고 과제의 실제를 제시하였다. 이주노동자의 한국어 말하기 교육을 위한 말하기 과제를 제시하... 본고에서는 초급 대상의 이주노동자 한국어 학습자를 위한 말하기 과제 구성 기준을 도출하고 과제의 실제를 제시하였다. 이주노동자의 한국어 말하기 교육을 위한 말하기 과제를 제시하는 것으로 연구의 목적을 설정하고 이주노동자의 일상생활 및 작업 환경에서 실제적으로 쓰이는 한국어 말하기 상황과 관련한 과제를 개발하는 것에 연구의 목표를 두었다. 1장에서는 연구의 목적과 내용을 밝히고 이주노동자를 대상으로 한 한국어 말하기 교재 개발 및 한국어 교육에서의 말하기 과제 개발에 관한 선행연구를 분석하였다. 그 후 이론적 근거를 통해 초급 수준의 제조 · 생산업에 종사하는 이주노동자 학습자를 말하기 과제 개발의 대상으로 선정하였다. 2장에서는 이주 노동자 대상 한국어 말하기 과제 개발을 위한 이론적 근거를 마련하기 위해 이주 노동자의 한국어 교육의 현황과 학습자적 특성 및 이주 노동자 대상 한국어 말하기 교육의 목표와 내용을 살펴보고 이주노동자 학습자 대상 말하기 과제 개발 원리를 분석하며 학습자에 적합한 한국어 말하기 과제 제시 방안을 모색하였다. 3장에서는 이주노동자 학습자의 일상생활 및 작업 환경 내에서의 원활한 의사소통을 위한 한국어 말하기 과제의 개발을 위해 선행 연구의 이론적 분석을 통해 설정한 분석 기준을 바탕으로, 이주노동자 학습자를 대상으로 발간된 교재 중 이주노동자 대상 한국어 수업에서 사용하며 학습자들의 접근이 용이한 교재를 선정하여 교재 내 말하기 과제를 분석하였다. 또한 학습자 설문을 통해 수업 내 이뤄지는 말하기 과제의 내용에 대한 현황 파악 및 학습자의 선호도 요구조사를 진행하였고 추가 면접을 통하여 요구 조사에 대한 근거를 확보하였다. 4장에서는 2장 및 3장에서의 논의를 통하여 과제 중심적 말하기와 관련한 객관적인 분석 기준을 마련하였고 설정된 기준에 따라 과제를 목록화하여 제시하였다. 과제의 모형을 제시하였고 제시한 과제 구성 기준 및 목록, 모형을 참고하여 이주노동자의 의사소통에 중점을 둔 말하기 과제를 개발하고 과제의 실제까지 제시하였다. 5장에서는 전체적인 논의를 정리하고 연구의 의의 및 한계와 더불어 추후 논의되어야 할 향후 과제를 제안하였다. ,免费韩语论文,韩语论文题目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