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보의 원천에 대한 지식을 내포하고 있는 증거성표지는 아동이 세상의 지식을 습득하는데 있어서 중요하다. 선행 연구에 의하면 증거성표지의 산출은 비교적 이른 만 3세 이전에 나타나지... 정보의 원천에 대한 지식을 내포하고 있는 증거성표지는 아동이 세상의 지식을 습득하는데 있어서 중요하다. 선행 연구에 의하면 증거성표지의 산출은 비교적 이른 만 3세 이전에 나타나지만, 증거성표지의 이해는 그보다 늦은 만 증거성추론 능력은 만 4-5세 사이에 발달한다. 증거성추론 능력은 그 보다 늦은 만 6세가 되어도 만 3세와 차이가 없다고 한다. 한국어와 일본어 연구에 의하면 증거성표지 산출과 이해는 입력언어의 영향을 받는다. 하지만 이런 증거성표지의 이해와 산출의 발달은 특정한 상황에 지엽적으로 적용되는 것일 수 있다. 증거성추론 능력 발달은 이와는 분리되어 나타난다. 증거성추론은 증거성표지에 대한 이해뿐만 아니라 상황과 증거성표지가 내포하는 정보의 출처를 연결할 수 있는 인식론적 발달이 필요하다. 즉, 증거성표지의 발달에 있어서 어머니가 증거성표지를 말하는 것을 듣는 경험이 미치는 영향이 있지만 이것이 단순한 입력 언어 자극과의 특정 상황의 연결이 아닌 다른 인지적 발달이 필요하다는 것이다. 본 연구에서는 증거성추론 능력의 발달의 기제를 알아보기 위해 증거성추론이 발달 중에 있는 만 4세, 5세 아동을 대상으로 동화책 구연이라는 증거성추론 상황을 학습에 의한 증거성추론 능력 변화를 연구하였다. 연구 1에서는 만 4세 아동에게 증거성표지가 포함된 동화책 읽기 학습 경험을 제공하였다. 그리고 그 사전-사후에 아동의 증거성추론 능력에 변화가 있는지 측정하였다. 그 결과, 만 4세 아동의 검사와 집단의 상호작용이 유의 값에 근접했다. 연구 2에서는 만 5세 아동을 대상으로 측정 과제 시행을 추가하고 학습 집단이 보는 동화를 애니메이션으로 제작하여 제공하여 학습의 효과를 검증하였다. 그 결과, 만 5세 아동 집단에게서는 학습의 영향이 나타나지 않았다. 연구 1과 연구 2의 결과 차이는 만 4세와 만 5세에게 제공된 학습의 매체에 의한 차이였을 가능성이 있었다. 만 4세는 동화책을 4회 구연하였었고, 만 5세는 그 동화책을 바탕으로 만든 애니메이션 두 편을 4회 보여주었다. 이때 아동과 동화책 구연자 간의 상호작용에 차이가 있어서 학습의 질이 차이가 있었을 가능성이 있었다. 전체 연구에서 학습의 효과는 작게 나타났었다. 이것은 본 연구에 참여자 수가 적었던 것과, 학습 회기가 적었던 것에 기인할 수 있었다. 또 학습 동화책에서 제시하는 증거성표지의 정확도가 적절치 않았을 가능성 역시 존재하였다. 따라서 이후 연구를 진행함에 있어서 증거성표지의 정확도를 다변화하여 연구를 학습을 제공하는 설계를 만드는 한편, 학습 제공 회기를 추가하여 학습 양의 부족에 기인하는 연구 효과 저하를 고려하여 기제 탐색에 더 용이한 연구 설계가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Evidentiality that involve source of information is important to children when they acquire world knowledge. evidential reasoning is that using evidential marker to making a decision trust it or not. Recent studies suggested that articulation of evide... Evidentiality that involve source of information is important to children when they acquire world knowledge. evidential reasoning is that using evidential marker to making a decision trust it or not. Recent studies suggested that articulation of evidential marker develop before early 3 year old. And comprehension develop at 4-5 year. But evidential reasoning development is delayed until 6 year old. In korean study and japanese study, articulation is affected by input language. but comprehension and evidential reasoning occur separate. Evidential reasoning need not only comprehension but also development of the theory of knowledge that link up reference with source of information that involved in evidential marker. Present study aimed to searching mechanism of evidential reasoning development at four and five years old children. In experiment 1, 4 years old child was participated in two program group(control group, learning group). Researcher narrated children’s story that including evidential reasoning situation to leaning group and narrated children’s story that was not include evidential reasoning. As a result, at learning group of 4 years old children, total evidential reasoning task pre-post task score different was marginally significant. In experiment 2, 5 years old child was participated in changed number of task session and learning program. As a result, there was no significant main effect group, task score and interaction. As result of study, there was education effect on 4 years old. and no effect on 5 years old. there was possibility that difference of experiment 1 and 2 result from education media. Experiment 1 education program was story-telling. But experiment 2 education program was watching animation. At this time, there was different at quality of interaction between story teller and learner. there was mar effect on whole study. This result from few participant population and few education session. And there was also exist possibility that evidential marker accuracy was improper to learning evidentiallity on education child’s story book. Therefore, on post study, researcher will have to consider number of education session, and accuracy of evidential marker on education child’s story book when design research plan. ,免费韩语论文,韩语论文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