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인 한국어 학습자의 중간 언어 연구 : 어휘를 중심으로 [韩语论文]

资料分类免费韩语论文 责任编辑:金一助教更新时间:2017-04-27
提示:本资料为网络收集免费论文,存在不完整性。建议下载本站其它完整的收费论文。使用可通过查重系统的论文,才是您毕业的保障。

연구중국한국학습자의 중간언어 발달 과정에서 보이는 숙달도의 다양한 변이 양상을 복잡성, 정확성, 유창성의 관점에서 각각의 구인이 숙달도의 변이에 미치는 영향을 고찰하...

연구중국한국학습자의 중간언어 발달 과정에서 보이는 숙달도의 다양한 변이 양상을 복잡성, 정확성, 유창성의 관점에서 각각의 구인이 숙달도의 변이에 미치는 영향을 고찰하여 학습자 중간언어 변이의 특징을 규명하고 그 성격을 분류해 내는 것을 연구의 목적으로 한다. 연구의 진행을 위한 연구 자료의 수집은 10명의 중국인 한국어 학습자를 선별하여 학습자 개인당 2.5년, 전체 학습자 기준으로 4.5년 동안의 한국어 능력이 초급 단계부터 고급 단계로 발전하는 과정에서 학습자가 산출한 작문 자료를 단계별로 모두 수집하였다. 학습자 자료의 분석은 복잡성(Complexity), 정확성(Accuracy), 유창성(Fluency)의 구인을 기준으로 하여 각 구인을 실제로 측정하기 위한 요소들을 선정하여 측정을 진행하고 측정된 수치를 분석하여 학습자 중간언어 변이 과정에서 각 요소가 어떠한 양상으로 변이하는지를 정리하였다. 복잡성의 측정을 위한 세부 요소는 어휘 다양성(Lexical Diversity), 어휘 밀도(Lexical Density), 어휘 세련도(Lexical Sophistication)의 세 가지를 정하고 측정 방법을 구체화 하여 정리하였고, 정확성의 측정은 학습자가 발생시킨 오류를 기준으로 하되 유형별로 오류를 정리하여 측정 방법을 구체화 하였고, 유창성의 측정을 위해서는 어휘 유창성의 확장된 개념을 수용하여 정리한 후 측정 기준을 구체화 하고 측정 방법을 고안하였다. 연구의 방법은 한 학습자의 발달을 연속적으로 조사하는 통시적인 방법을 택하여 연속된 시간선상에서 이어지는 두 시점을 기준으로 구간이라 명명하고 각 시점의 요소 값을 측정한 후 시점 간의 변이 양상을 조사하여 숙달도의 ‘증가, 답보, 감소 ’양상의 변이를 관측하고 구간에서 세부 요소들의 각각의 변이 양상을 조사하여 숙달도의 변이 양상에 따른 각 요소의 변이가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는 방법을 사용하여 첫째, 학습자 각각의 중간언어의 변이양상을 조사하여 그 변이 특성을 분석하였고 둘째, 학습자 전체를 대상으로 서로 비교 분석하여 일반화가 가능한 영역이 존재하는지 연구해 보았다. 학습자들의 숙달도의 변이는 일정한 비율로 지속적인 성장이나 퇴보를 보이지 않고 다양한 양상으로 증가, 감소, 정체의 양상을 보이며 같은 양상으로 숙달도가 변이 한다고 하여도 세부 요소들의 변이 양상은 제각각 다르게 나타났다. 전체 자료의 측정 40개 구간에서 학습자의 숙달도가 감소한 구간은 9개가 관측 되었는데 숙달도가 감소할 때 세부요인들이 변이하는 양상에는 전체 학습자를 기준으로 일반화시킬 만한 일관성이 보이지 않았다. 숙달도가 하락할 때 학습자 H, I, J, F, G 는 무오류 문장이 감소하였으나 A, C, D는 오히려 증가하였으며 학습자 H, I, D, J, G는 어휘 세련도가 증가하였으나 A, C는 감소하였다. 그러나 일부 학습자간에는 세부 요소의 변이 양상에 서로 유사함을 보이는 학습자들이 존재하는 것도 확인할 수 있었다. 학습자 J, G는 모든 요소가 숙달도 감소 시에 같은 양상으로 변이하였고, I, J, G는 TTR 값의 변화 외의 모든 요소가 같은 양상으로 변이하였다. 이처럼 숙달도의 변이 양상이 제각각이며 개인에 따라 유사한 양상을 보이는 경우도 확인할 수 있었다. 이와 같이 모든 학습자 중간언어의 변이 양상은 매우 다양하고 독특하게 변이하는 것을 알 수 있다. 그 변화가 외부에서 보기에는 정체해 있더라도 내부적으로는 끊임없이 변이하는 양상을 보이기도 하고 서로의 숙달도가 여러 구간을 거치며 역전되기도 하였다. 본 논문은 기존의 연구에서 드문 통시적 연구 방법을 택하여 학습자의 숙달도가 변이하는 양상을 세밀하게 고찰하여 보았다. 그 결과 논문의 기반 이론인 중간언어 이론을 일정부분 증명하는 성과와 공시적인 연구로는 살펴볼 수 없었던 학습자 중간언어 변이의 특성을 정리하는 성과를 얻을 수 있었다.

Research into Chinese Korean learners has documented that the amount of proficiency with the target language has shown differences at various levels in their interlanguage development. Based on the investigation of the three variables in terms of c...

Research into Chinese Korean learners has documented that the amount of proficiency with the target language has shown differences at various levels in their interlanguage development. Based on the investigation of the three variables in terms of complexity, accuracy and fluency in accounting for the advancement of language proficiency, this study aims to illustrate a scenario of the characteristics of Chinese Korean learners’ interlanguage changes, which may lead to a clear classification of these characteristics. The participants of this study were 10 Chinese Korean beginning learners. Data were collected from their written products. Specifically, their written products completed in 2.5 years and 4.5 years were collected, standing for their language proficiency development during their Korean study from the elementary level to the advanced level. The written products were sorted out through the assessment of Korean language scales. Data were analysed through criteria-based vocabulary evaluations by virtue of complexity, accuracy and fluency. Tests were conducted by selecting the actual elements. The results were analysed. The variations of each element were computed in the process of learners’ interlanguage changes. Test of Complexity further divided into three elements: the lexical diversity, the lexical density, and the lexical conciseness. The results were analysed based on the three elements. Test of accuracy was based on the classification of the errors that the learners made. Test of fluency was specified through drawing on the construct of fluency extension. The asynchronized research method ? was adopted in this study. That is, this study was a longitudinal study that involved repeated observations of each participant in their Korean language learning spanning the four and a half years. Specifically, two consecutive time points were selected on the continuous time line. The period between the two time points was named as an interval. The value of each element in the two different time points was tested separately. The variations of language proficiency during the interval were recorded and marked with the indexes, namely, “rising, stagnating and declining”. Through analyzing the variations of each subdivision element and its influence, the following two questions were answered in this study: First, individual learners’ interlanguage changes were investigated and the characteristics were summarized; Second, from the learners-as-a-whole perspective, their differences were compared. A big picture of how to generalize the findings was discussed. The results showed that the learner proficiency changes were not sustained or regressed at a certain rate. They showed a variety of changes in the aspects of rising, stagnating and declining. Even if there was the same change, its subdivison element was different. In the 40 testing intervals, there were 9 intervals showing their declining tendency. However, no regular patterns were found from these learners when the subdivided elements were checked. To be specific, for learners coded as H. I, J, F, and G, the error-free sentences were reduced while for learners coded as A, C,and D, the error-free sentences were found to be increased. For learners coded as H, I, D, J, and G, the lexical conciseness was increased while for learners coded as A and C, the lexical conciseness was found to be decreased. Nevertheless, some similarities were concluded in the subdivided elements among parts of these learners. For learners coded as J and G, the same variations were found when the proficiency level was dropped in all the elements. For learners coded as I, J and G, all the elements showed the same variations except the value of TTR. Therefore, we may safely conclude that the proficiency levels were varied but with occasional similar cases. Careful analysis was conducted in this study to the variations of learners’ language proficiency level using the asynchronized method. The results may contribute to the interlanguage theory which was also cited as the theoretical basis in this study. Meanwhile, the summarized characteristics of the second language learners’ interlanguage variations may shed light on the interlanguage theory development while this may not be concluded by the traditional synchronic research method.

참고문헌 (Reference)

免费论文题目: