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어 학습자 오류 분석 연구의 연구 동향 분석 [韩语论文]

资料分类免费韩语论文 责任编辑:金一助教更新时间:2017-04-27
提示:本资料为网络收集免费论文,存在不完整性。建议下载本站其它完整的收费论文。使用可通过查重系统的论文,才是您毕业的保障。

This study is aimed to provide the base data for learners error research by examining trends of research on Korean language learners error analysis focused on the research on error analysis which is a core research domain of Korean education. Because ...

This study is aimed to provide the base data for learners error research by examining trends of research on Korean language learners error analysis focused on the research on error analysis which is a core research domain of Korean education. Because learners errors are the definite form in which issues shown in the target language learning process can be examined from various angles, learner’s materials gained from an in-depth error analysis play an important role in identifying learner’s objective language ability and establishing an effective teaching method. Even in the Korean language education, the research of error analysis has been actively conducted but it is hard to find the research that identifies an overall trend of research on the error analysis by reviewing the performed researches. In this study, research trends of Korean language learner error analysis by year, learner’s characteristic, topic and research methodology were examined for total 433 dissertations and total 157 s of journal(total 590) that were published from 1990 to 2016 in the Korean language education field. Research results are as follows. Firstly, as a result of analyzing year trends, more than 10 researches on the Korean language learners error analysis were conducted each year after 2000. The study shows that research was continuously increasing in number. It is analyzed that such result is due to quantitative increase of domestic and foreign Korean language learners, increased number of marriage-based immigrants and children of multi-cultural family, and large-scale Korean corpus data buildup. Secondly, there was the highest ratio of research for learner’s characteristic Chinese learners with 70% and research for all learners of beginner·intermediate·advanced level with 22%. There was also the highest ratio of research for learners who are in Korean language education institutes with 60% in Korea, but on the other hand, there was 87% research for learners who are in regular university institutes in foreign countries. Thirdly, research trends by topic were analyzed by dividing into the trend by content and the trend by objective. as a result of analyzing research on the trend by content, there was the highest ratio of research on grammar with 46% but the percentage of research on pronunciation was increased to about 10% compared to 10 years before. Also, as the grammar research was increased in number, research by segmented grammar category such as postposition, honorification, ending and tense was conducted. as a result of analyzing objective tread, there was the highest percentage of research that suggested the ‘education plan’ based on research that identifies the trend by objective ‘error aspects’ and ‘error causes’ with 26%, followed by research suggesting the ‘teaching plan’ by identifying the error aspects and research suggesting ‘error aspects’ and ‘error causes’ in order. Fourthly, as a result of analyzing research methodology, there was the highest ratio of research methodology research study method with more than 90%. Among research objects, there was 70% for research on literary data, 24% for research on spoken data and 5% for research on other data. Literary data were segmented into writing data and test data. There were 42% for writing data, 47% for text data, and 11% for the mixture of two types. Then, spoken data were segmented into reading data, inducing utterance data and combined data. Among them, there was the highest ratio of research using words and sentence reading data that presented learner’s pronunciation situation with 75%. There was 16% for the inducing utterance data and 7% for combined data. Lastly, this study shows that the characteristics of data in most other data were not clarified explicitly, and the source of ‘analysis target’ which is considered as the core data of error analysis research was left out from this study as a limitation. Research on research trend analysis is likely to derive diverse results according to classification criteria. This study was intended to examine the learner error researches that were conducted in the Korean language education from four aspects. Because diverse results are likely to be derived and interpreted through segmented classification framework or analysis criteria, it is necessary to deeply analyze the research objective, research method and related technology through a follow-up study.

연구한국어교육 분야의 핵심 연구 영역인 오류 분석 연구를 중심으로 한국학습오류 분석 연구 동향을 살펴봄으로써 학습자 오류 연구에 대한 기초 자료를 제공하는 데에 목적이...

본 연구는 한국어교육 분야의 핵심 연구 영역인 오류 분석 연구를 중심으로 한국어 학습자 오류 분석 연구 동향을 살펴봄으로써 학습자 오류 연구에 대한 기초 자료를 제공하는 데에 목적이 있다. 학습자 오류는 목표언어 학습 과정에 나타난 쟁점을 다각도로 살펴볼 수 있는 구체화된 형태이므로 심도 있는 오류 분석을 통해 얻어진 학습자 자료는 학습자의 객관적인 언어 능력을 파악하고 효과적인 교수 방안을 수립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한다. 한국어교육에서도 오류 분석 연구가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으나 지금까지 수행된 연구들을 종합적으로 검토함으로써 오류 분석 연구의 전체적인 동향을 파악한 연구는 찾아보기 어렵다. 본 연구에서는 한국어교육 분야에서 1990년부터 2016년 3월까지 발표된 학위 논문 총 433편, 학술지 논문 총 157편(총 590편)을 대상으로 한국어 학습자 오류 분석 연구의 연도별, 학습자 특성별, 주제별, 연구방법론별 동향 분석을 살펴본 바 다음과 같은 연구 결과를 도출하였다. 첫째, 연도별 동향 분석 결과 한국어 학습자 오류 분석 연구는 2000년 이후 매 해 10건 이상의 연구가 수행되어 지속적인 증가 양상을 보였다. 이는 국내·외 한국어 학습자의 양적 증가, 결혼 이민자 및 다문화가정 자녀의 증가, 대규모 한국어 말뭉치 자료 구축 등에 따른 것으로 분석된다. 둘째, 학습자 특성별 동향 분석 결과 중국어권 학습자를 대상으로 한 연구가 70%로 가장 높은 비율을 차지하였으며 초급·중급·고급 수준의 학습자 전체를 대상으로 한 연구가 22%로 가장 높았다. 학습 환경별 동향은 국내의 경우 한국어교육기관에 재학 중인 학습자 대상 연구가 60%로 가장 많은 반면 국외의 경우 정규 대학 기관에 재학 중인 학습자를 대상 연구가 87%로 나타났다. 셋째, 주제별 동향은 내용별 동향과 목적별 동향으로 나누어 살펴보았다. 내용별 동향 분석 결과 문법 연구가 46%로 가장 많았으나 10년 전과 비교하여 발음 연구 비율이 약 10%로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문법 연구의 수가 많은 만큼 조사, 경어법, 어미, 시제 등 세분화된 문법 범주별 연구가 진행되었다. 목적별 동향 분석 결과 ‘오류 양상’과 ‘오류 원인’을 파악한 연구를 기초로 ‘교육 방안’을 제시한 연구가 26%를 차지하였고 그 다음으로 ‘오류 양상’을 파악하여 ‘교수 방안’을 제시한 연구, ‘오류 양상’과 ‘오류 원인’을 파악 연구 순으로 높았다. 넷째, 연구방법론 동향 분석 결과 조사 연구 방법을 활용한 연구의 비율이 90% 이상으로 나타났다. 조사 대상 중 문어 자료를 조사한 연구가 70%로 가장 많았고 구어 자료가 24%, 기타 자료가 5%순이었다. 먼저 문어 자료는 작문 자료와 테스트 자료로 세분화하였는데 작문 자료 활용률이 42%, 테스트 자료 활용률이 47%였고 위 두 자료 유형을 혼합 활용한 자료가 11%에 해당하였다. 다음으로 구어 자료는 읽기 자료와 유도 발화 자료, 혼합 자료로 세분화하였다. 이중 학습자 발음 상황을 통제적으로 제시한 단어 및 문장 읽기 자료를 활용한 연구가 75%로 가장 높았다. 유도 발화 자료 활용률은 16%, 혼합 자료 활용률은 7%였다. 마지막으로 기타 자료의 대부분은 자료의 특성을 명시적으로 밝히지 않은 것으로 드러나 오류 분석 연구의 핵심 자료라고 할 수 있는 ‘분석 대상’의 출처가 누락된 한계점이 나타났다. 연구 동향 분석 연구는 분류 기준에 따라 다양한 결과를 도출할 수 있는 가능성이 있다. 본 연구에서는 지금까지 한국어교육 분야에서 수행된 학습자 오류 연구들을 네 가지 관점에서 살펴보고자 하였다. 세분화된 다른 분류 틀이나 분석 기준 등을 통해 다양한 결과 도출과 해석이 가능할 수 있으므로 후속 연구를 통해 연구의 목적, 연구 방법 및 접근 기술에 대한 깊이 있는 분석이 이루어지길 기대한다.

참고문헌 (Reference)

免费论文题目: