실어증집단과 정상집단의 명사종류 및 자극양식에 따른 의미접근과제 수행력 연구 [韩语论文]

资料分类免费韩语论文 责任编辑:金一助教更新时间:2017-04-27
提示:本资料为网络收集免费论文,存在不完整性。建议下载本站其它完整的收费论文。使用可通过查重系统的论文,才是您毕业的保障。

좌반구가 언어영역을 담당하고, 복잡한 어휘 항목 처리에 대한 우반구 제한의 이전 개념과 달리, 우반구에서는 개인적으로 친숙한 고유명사는 성공적으로 인식한다고 보고되고 있다. 따라...

좌반구가 언어영역을 담당하고, 복잡한 어휘 항목 처리에 대한 우반구 제한의 이전 개념과 달리, 우반구에서는 개인적으로 친숙한 고유명사는 성공적으로 인식한다고 보고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명사종류에 따라 의미적 시스템에 접근하는 반응속도 차이를 파악하는 것으로, 실어증집단과 정상집단을 대상으로 명사종류(고유명사, 보통명사) 및 자극양식(청각적 말소리, 시각적 글자)에 따라 의미처리 속도 및 정오반응에 차이가 있는지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 연구에는 청년층 15명, 중장년층 15명, 노년층 15명의 연령 집단과 실어증집단 15명으로 모두 45명이 참여하였다. 명사종류에 따른 차이를 알아보기 위해 자체적으로 유명인을 시대 및 범주별로 나누어서 선정한 연구를 참조하여 고유명사를 선별하였고, 한국어 사용 빈도를 참조하여 고빈도순으로 구성된 일반명사를 선별하였다. 선별된 고유명사와 일반명사의 유명함 정도를 설문조사를 통해 최종적으로 선정된 고유명사와 일반명사로 본 연구를 실시하였다. 본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정상집단에서 연령에 상관없이 자극양식따른 반응속도의 차이가 통계적으로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으나, 명사종류에 따른 반응속도에서 유의한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다. 세 집단 모두 자극양식에서 말소리자극보다 글자자극에서 더 빠른 반응속도를 보였으나, 노년집단은 말소리자극과 글자자극에서 모두 느린 반응속도를 나타내었다. 둘째, 실어증집단에서 명사종류에 따른 정오반응의 차이가 통계적으로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지만, 자극양식에 따른 정오반응에서 유의한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다. 실어증집단은 말소리자극과 글자자극에 상관없이 일반명사보다 고유명사에 대한 정반응률이 더 높았다. 마지막으로 실어증집단과 정상집단에서 의미접근 과제에 대한 상관관계를 알아보았다. 실어증집단에서 의미접근 과제에 대해 모두 유의한 상관관계가 있었고, 정상집단에서 또한 높은 상관을 나타냈다. 이러한 결과는 정상집단과 실어증집단 간의 차이를 비교해 볼 수 있고, 실어증집단에서 명사종류에 따라 나타난 결과를 바탕으로 본 연구의 결과가 임상에서 효율적으로 활용할 수 있는 요소로 유용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Unlike the previous concept that the left hemisphere is in chare of the speech area and the right hemisphere is restricted to dealing with complex vocabularies, there have been s that the right hemisphere successfully recognizes personally famil...

Unlike the previous concept that the left hemisphere is in chare of the speech area and the right hemisphere is restricted to dealing with complex vocabularies, there have been s that the right hemisphere successfully recognizes personally familiar proper nouns. Therefore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differences in reaction speed that approaches the semantic system according to kinds of nouns. Targeting aphasic and normal groups, this study aimed to find out if there were differences in the semantic processing speed and the positive or negative reaction according to kinds of nouns(proper noun, common noun) and modalities of stimuli(auditory modality, visual modality). A total of 45 people participated in this research including groups of 15 young, 15 middle-aged, 15 older and 15 aphasiac people. To find out differences according to kinds of nouns, this study consulted studies that had selected celebrities by times and categories to sort out proper nouns, and consulted frequency of using Korean language to sort out common nouns composed of in the order of high frequency. Through a survey of notability of selected proper and common nouns, this study was carried out by the finally selected proper and common nouns.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normal group showed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reaction speed according to modalities of stimuli regardless of age, but it did not show significant difference in reaction speed according to kinds of nouns. In modalities of stimuli three groups all showed faster reaction speed in the letter stimulus than in the voice, but the older people group showed slow reaction speed both in voice and letter stimuli. Second, the aphasiac group showed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positive or negative reaction according to kinds of nouns, but did not show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positive or negative reaction according to modalities of stimuli. The aphasiac group showed higher positive reaction rate in proper nouns than in common nouns regardless of voice or letter stimuli. Lastly, this study investigated in the aphasiac and normal groups correlation of the semantic approach task. The aphasiac group had significant correlation of the semantic approach task, and the normal group also showed high correlation. Through this result, differences in normal and aphasic groups can be compared; based on the results found out according to kinds of nouns in the aphasiac group, it is expected that the results of this study can be useful as an element to be effectively used in the clinic.

免费韩语论文韩语论文范文
免费论文题目: