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fine effect of would-be Korean language teachers' types of Korean language teachers training course and experience of contacting multi-culture and experience of multi-culture education by measuring multicultural sensi...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fine effect of would-be Korean language teachers' types of Korean language teachers training course and experience of contacting multi-culture and experience of multi-culture education by measuring multicultural sensitivity of Korean language teachers. Subjects of this study established to achieve above mentioned purpose are as follows.
First, what effect do types of Korean language teachers training course have on multicultural sensitivity of would-be Korean language teachers?
Second, what effect does experience of contacting multi-culture have on multicultural sensitivity of would-be Korean language teachers?
Third, what effect does experience of multi-culture education have on multicultural sensitivity of would-be Korean language teachers?
Participants of this study were 113 people who attended Korean language teachers training course at university and graduate school located in Seoul metropolitan area. A tool that revised an instrument developed by Cheol Hyun Lee(2013) was used to measure multicultural sensitivity in this study. Data for this study were collected from survey and on-line survey. Data were analyzed by descriptive statistic analysis, t-test and multivariate analysis of variance using SPSS program.
Finding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average of multicultural sensitivity of bachelor's degree course and non-degree course was higher than that of master's degree course and academic credit bank system but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among groups. When it comes to average of sub areas of multicultural sensitivity, multi-culture exclusiveness and practice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 There was a difference among groups depending on areas. Types of Korean language teachers training course do not have effect on multicultural sensitivity of would-be Korean language teachers.
Second, there was a difference in overall average of multicultural sensitivity of would-be Korean language teachers depending on experience of contacting multi-culture. When it comes to average of sub areas of multicultural sensitivity, multi-culture background knowledge area, multi -culture exclusiveness area, multi-culture practice area and multi-culture knowledge area showed a significant difference. Experience of contacting multi-culture has an effect on multicultural sensitivity of would-be Korean language teachers.
Third, there was a difference in overall average of multicultural sensitivity of would-be Korean language teachers depending on experience of multi-culture education. When it comes to average of sub areas of multicultural sensitivity, multi-culture background knowledge area, multi -culture interaction area and multi-culture knowledge showed a significant difference. Experience of multi-culture education has an effect on multicultural sensitivity of would-be Korean language teachers.
keyword: would-be Korean language teachers, multicultural sensitivity, experience of contacting multi-culture, experience of multi-culture education
본 연구는 예비 한국어교사를 대상으로 다문화감수성을 측정하여 이를 전반적으로 살펴보고, 예비 한국어교사의 다문화감수성에 한국어교원 양성과정, 다문화접촉 경험, 다문화교육 경험...
본 연구는 예비 한국어교사를 대상으로 다문화감수성을 측정하여 이를 전반적으로 살펴보고, 예비 한국어교사의 다문화감수성에 한국어교원 양성과정, 다문화접촉 경험, 다문화교육 경험이 어떠한 영향을 주는지를 밝히는데 목적이 있다. 이러한 목적은 달성하기 위하여 설정한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예비 한국어교사의 다문화감수성에 한국어교원 양성과정의 유형은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
둘째, 예비 한국어교사의 다문화감수성에 다문화접촉 경험은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
셋째, 예비 한국어교사의 다문화감수성에 다문화교육 경험은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
본 연구의 대상은 수도권 소재 대학, 대학원, 대학부설시관에서 한국어교원 양성과정에 재학 중인 학생 113명이다. 본 연구에서는 이철현(2013)을 수정하여 다문화감수성 측정도구로 사용하였다. 그리고 본 연구를 위한 자료 수집은 온라인 설문지와 설문지 병행을 통해 이루어졌고, 자료 분석은 SPSS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기술통계 분석, t-test, 다변량 분산 분석(multivariate analysis of variance)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결과를 요약하여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한국어교원 양성과정 유형은 학사 과정과 비학위과정의 다문화감수성 평균이 석사 과정과 학점은행제 과정보다 높았으나 집단별로 큰 차이를 보이 않았다. 다문화감수성 하위영역 평균에서는 다문화 배타성 영역과 다문화 실천의지 영역에서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하지만 유의미한 차이를 보인 영역에서도 특정한 집단이 높은 것이 아니라 영역에 따라 집단 별로 차이를 보였다. 따라서 한국어교원 양성과정의 유형은 예비 한국어교사의 다문화감수성에 영향을 주지 않는 것으로 분석할 수 있다.
둘째, 다문화접촉 경험에 따라 예비 한국어교사의 다문화감수성 전체 평균에서 차이를 보였다. 또한 다문화감수성 하위영역 평균에서는 다문화 배경지식 영역, 다문화 배타성 영역, 다문화 실천의지 영역, 다문화 지식 영역에서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따라서 다문화접촉 경험은 예비 한국어교사의 다문화감수성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분석할 수 있다.
셋째, 다문화교육 경험에 따라 예비 한국어교사의 다문화감수성 전체 평균에서 차이를 보였다. 또한 다문화감수성 하위영역 평균에서는 다문화 배경지식 영역, 다문화 상호작용 영역, 다문화 지식 영역에서 유의미한 차이를 보여 다문화교육 경험은 다문화감수성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분석할 수 있다.
,韩语论文,韩语毕业论文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