격표지 중출문의 어순 제약 [韩语论文]

资料分类免费韩语论文 责任编辑:金一助教更新时间:2017-04-27
提示:本资料为网络收集免费论文,存在不完整性。建议下载本站其它完整的收费论文。使用可通过查重系统的论文,才是您毕业的保障。

This aims to illustrate the scope of double subject case marker construction sentences and double - subject sentences by categorizing them into adjective-predicate sentences and intransitive verb sentences, and to examine the restrictions that ...

This aims to illustrate the scope of double subject case marker construction sentences and double - subject sentences by categorizing them into adjective-predicate sentences and intransitive verb sentences, and to examine the restrictions that occur after scrambling the word order.
In the second section it was agreed that 'topic' need to be established in order to formulate the characteristics of korean case suited to the Korean language, in which the Latin language is a case marker of form and relation with verb. It was also shown that the hierarchy of thematic roles was only retained when the same type of case particles were used consecutively in both the first and second noun phrases. Furthermore, following a investigation on the postpositional particles '-eun/neun' on their roles as case particles, the possibility was revealed that the expansion of the meaning of the case particles '-i/ga' did not invade the domain of the particles '-eun/neun' which follow double subject case marker construction sentences most naturally.
In the third section it was shown that a 'psychological subject' was just as necessary as the 'grammatical subject’ when the second noun phrase used as an inanimate subject. It is also worth noticing that double subject case marker construction sentences were used when the experiencer and the possessor were in the same sentence. Double - subject sentences discussed in this study are psychological adjectives, psychological intransitive verbs, evaluation adjectives, some mental property evaluation adjectives and the expansion of the meaning of ‘eopsda' when the second noun phrase used as an animate subject.
The fourth section is a summary of the study and its weaknesses.

본고는 주격표지 중출문을 형용사문과 자동사문으로 나누어 주격표지 중출문과 이중주어문의 범위를 밝히고 어순 재배치할 때 생기는 제약을 고찰한 논문이다. Ⅱ장에서는 서구의 서술...

본고는 주격표지 중출문을 형용사문과 자동사문으로 나누어 주격표지 중출문과 이중주어문의 범위를 밝히고 어순 재배치할 때 생기는 제약을 고찰한 논문이다.
Ⅱ장에서는 서구의 서술어(핵어)와의 형태관계 표지인 격을 한국어 문장 전체의 틀에 맞게 격 개념을 세우려면 ‘주제어’를 설정해야 한다는 의견에 동의하고, 의미역의 위계(경험주, 소유주, 행동주 > 대상 > 피동주 > 수령주)가 제1 명사구와 제2 명사구에서 같은 형태의 조사가 연속되었을 때는 지켜지지만 다른 형태의 조사가 연속되었을 때는 지켜지지 않음을 보였다. 또한 주격표지 중출문에 사용되는 ‘은/는’ 조사에 격조사성이 없는지를 살펴 주격표지 중출문에 가장 자연스럽게 연결되는 ‘은/는’ 조사의 영역은 ‘이/가’ 조사의 확장이 아직 미치지 못하고 있는 영역일 가능성을 살펴보았다.
Ⅲ장에서는 한국어는 제2 명사구가 주어이면서 무생물일 때 ‘문법적 주어’만큼이나 ‘심리적 주어(주격표지 중출문에서는 주로 소유주)’를 강력히 필요로 하고, 서술어의 속성을 소유한 대상(소유주)과 서술어를 느끼는 대상(경험주)을 한 문장으로 표현하고자 할 때 주격표지 중출문이 사용됨을 살펴보았다. 본고에서 밝힌 이중주어문은 제2 명사구가 유정물일 때 심리 형용사, 심리 자동사, 평가 형용사, 성질평가 형용사 일부, 확장된 의미의 없다 류에 쓰인 주격표지 중출문이다.
Ⅳ장에서는 본고의 내용을 요약하고 미진한 점을 서술하였다.

韩语论文网站韩语论文
免费论文题目: